SPIRITUAL NOTEBOOK
마라토너가 된다는 것은
Guideposts 2019 | 04
Mile 12. The 2017 Boston Marathon. I was cruising, a mile short of the halfway point in one of the most prestigious races on the planet. Besides the Olympics, it doesn’t get any bigger. For once I’d done everything right. The diet. The training. My mental and spiritual focus.
The fans along the tree-lined streets of Wellesley, Massachusetts, were cheering like crazy: “Let’s go, Meb!” “USA! USA!” I’m no longer surprised at people recognizing me. I’d run marathons since 2002, the only runner to have finished first in New York and Boston and medal at the Olympics.
No American man had won here in more than three decades before I crossed the finish line in 2014, the first Boston Marathon after the horrific bombings. A few days before the race, I met the Richard family, who had lost their eight-year-old son. Their strength inspired me. Even for someone used to the spotlight, it was an unforgettable experience. God’s hand had surely been working through me.
Now I was back. At 41, I was way older than the other elites.
Still, a top-three finish seemed possible. I was firing on all cylinders, almost to Wellesley College, where the students mass
19km. 2017년 보스턴 마라톤이었다. 지구상에서 가장 권위 있는 마라톤 대회에서 절반 지점까지 1.6km를 남기고 일정한 속도로 달리는 중이었다. 올림픽과 더불어 보스턴 마라톤보다 더 중요한 건 없었다.
이번에는 모든 걸 제대로 해냈다. 식단, 훈련, 정신적이며 영적인 것까지.
매사추세츠주 웰즐리의 3차선 도로를 따라 늘어선 팬들이 열광적으로 응원했다.
“가자, 멥!” “미국! 미국!”
날 알아보는 사람들이 더는 놀랍지 않다. 나는 2002년부터 마라톤을 했으며, 뉴욕 마라톤과 보스턴 마라톤에서 우승하고 올림픽 메달까지 딴 유일한 선수였다.
끔찍한 폭탄 테러 사건 이후 처음 개최된 2014년 보스턴 마라톤 대회에서 내가 첫 번째로 결승선을 통과할 때까지 미국인은 30년 넘게 이 대회에서 우승하지 못했다. 경주 며칠 전에 여덟 살 아들을 잃은 리처드 가족을 만났다. 그들의 강인함은 내게 용기를 주었다. 스포트라이트에 익숙한 사람에게도 잊지 못할 경험이었다. 분명 하나님의 손길이 날 맡고 계셨다.
다시 보스턴으로 돌아왔다. 마흔한 살인 나는 다른 엘리트 선수들보다 나이가 훨씬 많았다. 그래도 3등까지는 가능해 보였다. 한 무리의 학생들이 코스를 따라 미친 듯이 소리치기 때문에 ‘고함 터널’이라고 부르는 웰즐리 대학교 근처까지 전력을 다했다.
작은 언덕 직전에서 앞선 선수들이 속도를 올리기 시작했다. 문제없
along the route, hollering like mad—the Scream Tunnel, it’s called.
Just before a little hill, the runners ahead of me began to pick up the pace. No problem. I pumped my legs harder. But the other runners pulled farther away.
Pick it up. I had nothing. There was no soreness. No tightness. My quads were just dead. Like a car stuck in second gear.
I pray constantly when I run. Running 26 miles is mentally and physically taxing for even the most experienced runner. Every time I take it on, I vow never to do it again. Every muscle in my body aches. It’s days before I’m able to walk normally again. But exhaustion wasn’t usually an issue until the last two or three miles. I still had half the race to go. Like any marathoner, I’d lost way more than I’d won. I didn’t expect God to give me a victory every time.
But I’d always been competitive.
Until now. Lord, I’m done. I can’t do this anymore.
Growing up in San Diego, California, I’d never imagined myself as a worldclass runner. I’d been born in Eritrea,
a small 6war-torn country on the Horn of Africa. We lived in a stone hut with no running water, no electricity. When I was five, my father—a freedom fighter in a war against Ethiopia—had fled for his life. He’d walked 225 miles over seven days to get to the Sudan—the equivalent of a marathon every day for a week.
었다. 다리를 더 힘차게 움직였다. 그렇지만 다른 선수들이 훨씬 멀리 앞서 나갔다.
‘빨리 움직이자.’
아무 문제 없었다. 욱신거림이나 조이는 느낌도 없었다. 그저 대퇴사두근(넓적다리 앞쪽의 크고 강한 근육―역주)이 무감각할 뿐이었다. 2단 기어에서 꼼짝 못하는 자동차 같았다.
달릴 때는 쉬지 않고 기도했다. 아주 숙련된 선수조차도 42km를 달리는 건 정신적 으로나 육체적으로나 힘겨운 일이다. 달릴 때마다 다시는 하지 않겠다고 맹세한다. 몸의 근육 하나하나가 아프고, 다시 정상적으로 걸으려면 며칠이 걸린다. 그렇지만 보통마지막 몇 킬로미터까지 탈진이 문제 되지는 않았다. 아직 경주가 반이나 남아 있었다.
여느 마라톤 선수처럼 나도 우승한 적보다는 속도가 떨어진 적이 훨씬 더 많았다. 하나님께서 매번 내게 우승을 안겨 주실 거라고 기대하진 않았다. 하지만 난 언제나 경쟁심이 넘쳤다. 지금까지는 그랬다.
‘주님, 전 끝났어요. 더는 못하겠어요.’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자라는 동안 세계적인 육상 선수가 된 내 모습을 그려 본 적은 한 번도 없었다. 나는 아프리카 대륙 북동부에 있으며 전쟁으로 피폐해진 작은 나라 에리트레아에서 태어났다. 우리는 수도와 전기가 없는 돌 오두막에서 살았다. 내가 다섯 살 때, 에티오피아에 맞서 싸운 자유의 투사였던 아버지는 필사적으로 피신했다. 7일 동안 362km를 걸어서 수단에 닿았는데, 일주일 동안 하루도 쉬지 않고 마라톤을 한 셈이었다.
7년 후 우리는 미국으로 이주했다.
...
이후 내용은 2019년 4월호 잡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
SPIRITUAL NOTEBOOK
마라토너가 된다는 것은
Guideposts 2019 | 04
Mile 12. The 2017 Boston Marathon. I was cruising, a mile short of the halfway point in one of the most prestigious races on the planet. Besides the Olympics, it doesn’t get any bigger. For once I’d done everything right. The diet. The training. My mental and spiritual focus.
The fans along the tree-lined streets of Wellesley, Massachusetts, were cheering like crazy: “Let’s go, Meb!” “USA! USA!” I’m no longer surprised at people recognizing me. I’d run marathons since 2002, the only runner to have finished first in New York and Boston and medal at the Olympics.
No American man had won here in more than three decades before I crossed the finish line in 2014, the first Boston Marathon after the horrific bombings. A few days before the race, I met the Richard family, who had lost their eight-year-old son. Their strength inspired me. Even for someone used to the spotlight, it was an unforgettable experience. God’s hand had surely been working through me.
Now I was back. At 41, I was way older than the other elites.
Still, a top-three finish seemed possible. I was firing on all cylinders, almost to Wellesley College, where the students mass
19km. 2017년 보스턴 마라톤이었다. 지구상에서 가장 권위 있는 마라톤 대회에서 절반 지점까지 1.6km를 남기고 일정한 속도로 달리는 중이었다. 올림픽과 더불어 보스턴 마라톤보다 더 중요한 건 없었다.
이번에는 모든 걸 제대로 해냈다. 식단, 훈련, 정신적이며 영적인 것까지.
매사추세츠주 웰즐리의 3차선 도로를 따라 늘어선 팬들이 열광적으로 응원했다.
“가자, 멥!” “미국! 미국!”
날 알아보는 사람들이 더는 놀랍지 않다. 나는 2002년부터 마라톤을 했으며, 뉴욕 마라톤과 보스턴 마라톤에서 우승하고 올림픽 메달까지 딴 유일한 선수였다.
끔찍한 폭탄 테러 사건 이후 처음 개최된 2014년 보스턴 마라톤 대회에서 내가 첫 번째로 결승선을 통과할 때까지 미국인은 30년 넘게 이 대회에서 우승하지 못했다. 경주 며칠 전에 여덟 살 아들을 잃은 리처드 가족을 만났다. 그들의 강인함은 내게 용기를 주었다. 스포트라이트에 익숙한 사람에게도 잊지 못할 경험이었다. 분명 하나님의 손길이 날 맡고 계셨다.
다시 보스턴으로 돌아왔다. 마흔한 살인 나는 다른 엘리트 선수들보다 나이가 훨씬 많았다. 그래도 3등까지는 가능해 보였다. 한 무리의 학생들이 코스를 따라 미친 듯이 소리치기 때문에 ‘고함 터널’이라고 부르는 웰즐리 대학교 근처까지 전력을 다했다.
작은 언덕 직전에서 앞선 선수들이 속도를 올리기 시작했다. 문제없
along the route, hollering like mad—the Scream Tunnel, it’s called.
Just before a little hill, the runners ahead of me began to pick up the pace. No problem. I pumped my legs harder. But the other runners pulled farther away.
Pick it up. I had nothing. There was no soreness. No tightness. My quads were just dead. Like a car stuck in second gear.
I pray constantly when I run. Running 26 miles is mentally and physically taxing for even the most experienced runner. Every time I take it on, I vow never to do it again. Every muscle in my body aches. It’s days before I’m able to walk normally again. But exhaustion wasn’t usually an issue until the last two or three miles. I still had half the race to go. Like any marathoner, I’d lost way more than I’d won. I didn’t expect God to give me a victory every time.
But I’d always been competitive.
Until now. Lord, I’m done. I can’t do this anymore.
Growing up in San Diego, California, I’d never imagined myself as a worldclass runner. I’d been born in Eritrea,
a small 6war-torn country on the Horn of Africa. We lived in a stone hut with no running water, no electricity. When I was five, my father—a freedom fighter in a war against Ethiopia—had fled for his life. He’d walked 225 miles over seven days to get to the Sudan—the equivalent of a marathon every day for a week.
었다. 다리를 더 힘차게 움직였다. 그렇지만 다른 선수들이 훨씬 멀리 앞서 나갔다.
‘빨리 움직이자.’
아무 문제 없었다. 욱신거림이나 조이는 느낌도 없었다. 그저 대퇴사두근(넓적다리 앞쪽의 크고 강한 근육―역주)이 무감각할 뿐이었다. 2단 기어에서 꼼짝 못하는 자동차 같았다.
달릴 때는 쉬지 않고 기도했다. 아주 숙련된 선수조차도 42km를 달리는 건 정신적 으로나 육체적으로나 힘겨운 일이다. 달릴 때마다 다시는 하지 않겠다고 맹세한다. 몸의 근육 하나하나가 아프고, 다시 정상적으로 걸으려면 며칠이 걸린다. 그렇지만 보통마지막 몇 킬로미터까지 탈진이 문제 되지는 않았다. 아직 경주가 반이나 남아 있었다.
여느 마라톤 선수처럼 나도 우승한 적보다는 속도가 떨어진 적이 훨씬 더 많았다. 하나님께서 매번 내게 우승을 안겨 주실 거라고 기대하진 않았다. 하지만 난 언제나 경쟁심이 넘쳤다. 지금까지는 그랬다.
‘주님, 전 끝났어요. 더는 못하겠어요.’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자라는 동안 세계적인 육상 선수가 된 내 모습을 그려 본 적은 한 번도 없었다. 나는 아프리카 대륙 북동부에 있으며 전쟁으로 피폐해진 작은 나라 에리트레아에서 태어났다. 우리는 수도와 전기가 없는 돌 오두막에서 살았다. 내가 다섯 살 때, 에티오피아에 맞서 싸운 자유의 투사였던 아버지는 필사적으로 피신했다. 7일 동안 362km를 걸어서 수단에 닿았는데, 일주일 동안 하루도 쉬지 않고 마라톤을 한 셈이었다.
7년 후 우리는 미국으로 이주했다.
...
이후 내용은 2019년 4월호 잡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