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ISSUE
연약할 때 강함 되시는
Guideposts 2019 | 05
Some people call me an overnight sensation. I play Kate in the hit TV series This Is Us, and now I have my first feature film, Breakthrough, coming out this Easter. But I wouldn’t exactly call my success “overnight.” More like 365 nights and days—multiplied by a dozen years.
In Breakthrough, I play the mom of a boy who drowned and was declared dead. She refused to believe it and kept praying, praying when no hope seemed possible, praying when all the evidence argued against her prayers, praying that the boy would come back to life. Miraculously he did.
That kind of resilience is something I can relate to. In life and in prayer.
A year and a half ago, I was gearing up for the Emmys. I’d been nominated for best supporting actress in a drama series and convinced Mom that she had to come out to Hollywood to be my date for the red carpet. But one August morning back in Gainesville, Florida, where I’d grown up, she’d just come home from getting her hair done—prepping for the awards—and fell outside her car. An ambulance rushed her to the hospital. She’d had a massive stroke, two major clots in her carotid artery.
I took the first flight I could out of L.A. and drove from the airport two hours to get to Gainesville. Rushing to Mom’s bedside, I passed the hospital chaplain. “Oh my God, you’re Kate from This Is Us,” he said. No, not at that moment. I was just Chrissy looking for her mama.
The doctor said her prognosis was grim. The stroke was on the left side of the brain. He said he was certain she would have paralysis on her right side and that her speech and swallowing would be severely compromised. “You don’t know my mom,” I said.
I looked down at her unconscious form. They said it was unlikely that she could hear me or understand anything, but I refused to believe that. “You are strong,” I told her again and again. “You are healing.”
I could be there for only 36 hours—I had to get back to shoot another episode of This Is Us—but I was joined by my brother and three sisters, all of us gathering around Mom, talking to her, praying. A friend of Mom’s dropped by and took in the scene. “I cannot tell you,” she said, “how much the energy and light of Jesus is in your mom’s room. There is so much love here.”
So much love after so much struggle. It had taken a lifetime for me to even admit my need for love.
어떤 이들은 내가 하룻밤 사이에 벼락스타가 되었다고 말한다. 나는 인기 드라마 <디스 이즈 어스(This Is Us)>에서 케이트 역을 맡고 있고, 장편 영화로는 처음으로 출연한 <브레이크스루 (Breakthrough)>가 올해 부활절에 개봉을 앞두고 있다. 하지만 내 성공은 ‘하룻밤 사이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365일의 낮과 밤, 거기에 십수 년을 곱한 세월이 걸렸다고 말하고 싶다.
<브레이크스루>에서 나는 물에 빠져 익사한 한 소년의 엄마 역을 맡았다. 극중에서 엄마는 아들이 죽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그래서 일말의 희망도 보이지 않는 가운데 기도하고 또 기도하며, 모든 증거가 아니라고 말할 때에도 기도하고, 아들이 다시 살아 돌아오기를 간절히 바라며 기도한다. 그리고 기적이 일어난다. 아들이 정말 돌아온 것이다.
나는 그런 불굴의 정신을 이해할 수 있다. 그것은 내 삶과 기도와도 맞닿아 있으니까.
1년 반 전, 에미상 TV 드라마 부문 여우 조연상 후보에 오른 나는 시상식 준비에 한창이었다. 그리고 레드 카펫 행사에서 내 파트너가 되려면 할리우드로 와야 한다고 엄마도 설득했다. 8월의 어느 아침, 고향 플로리다주 게인스빌에서 여태 살고 있는 엄마는 시상식을 위해 머리를 손질하고 막 집에 도착했다. 그리고 차에서 내리면서 그대로 쓰러졌다. 구급차에 실려 병원으로 급히 이송된 엄마의 병명은 중증 뇌졸중이었다. 경동맥 두 군데에 심각한 혈전이 발견되었다.
나는 LA에서 출발하는 가장 빠른 비행기를 타고 공항에서 2시간을 운전해 게인스빌로 서둘러 갔다. 엄마가 누워 있는 병실로 다급하게 뛰어가는 길에 병원 전담 신부님께서 나를 알아보시고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세상에, <디스 이즈 어스>의 케이트 맞죠?”
아니요, 지금은 아니에요. 그 순간만큼은 엄마를 찾고 있는 그저 평범한 크리시일 뿐이었다.
의사는 예후가 좋지 않다고 했다. 좌뇌 부위가 손상돼 오른쪽이 마비되고, 말하는 것과 음식을 삼키는 일에 심각한 문제가 생길 거라고 했다.
“선생님은 저희 엄마를 모르세요.” 내가 말했다.
나는 의식이 없는 엄마를 물끄러미 바라보았다. 어떤 말을 해도 듣거나 이해하지 못할 거라고 했지만 나는 그 말을 믿지 않았다. 나는 엄마에게 계속 이렇게 말했다.
“엄마는 강한 분이시잖아요. 점점 좋아지고 계세요.”
내게 주어진 시간은 고작 36시간이었다. <디스 이즈 어스> 촬영이 잡혀 있어 돌아가야 했기 때문이다. 오빠와 세 자매가 병원에 도착하자 우리 모두는 엄마 주위에 모여 엄마에게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고 함께 기도했다. 엄마 친구 한 분이 병문안을 왔다가 이 광경을 보고는 말씀하셨다.
“너희 엄마 병실에 주님의 에너지와 빛이 말도 못하게 넘쳐흐르는구나. 이곳이 얼마나 사랑으로 충만한지.”
하지만 이런 충만한 사랑을 얻기 위해 그만큼의 대가도 치러야 했다.
Mom has been married twice. My father left us when I was eight years old. Mom struggled to raise the three of us on a 5pittance of child support. She worked the checkout line at Food 4 Less, going hungry to feed us.
I was the youngest and, by second grade, a 6latchkey child. Our electricity got shut off often, and I hated to be alone, especially when thunderstorms hit. I’d take myself to a grocery store—not Mom’s—and wander the aisles, staring at all the stuff we couldn’t afford: the Capri Suns, the Chips Ahoy! I got to know the store’s Muzak playlist by heart.
Mom remarried and had two more kids. We finally had food in our refrigerator, but I felt as if I had to eat it before it disappeared. Eventually my stepfather would make me stand on the bathroom scale and 7berate me over every ounce I’d gained.
One bright light was my gift for mimicry. I would entertain my two little sisters by imitating the actors I would hear on TV. The family would laugh. For a moment I’d be in the limelight, which felt good. But then I’d retreat to the shadows again, afraid of my stepfather’s 8wrath.
At age 15, I got a job at McDonald’s, working at the drive-through. To keep myself entertained, I’d turn each customer moment into an 11-second mini performance. I’d put on a British accent when I spoke in the mic, asking for the order, then the drivers would see me at the window and I’d give them my best Southern: “How y’all doin’ tonight?” Not that I ever thought I should try acting in any high school shows.
Instead I sang. Our choir director, Miss Rollo, singled me out. Junior year she told me I should go to choir camp that summer and strongly suggested that I would be able to get a scholarship, the only way I could afford it. The whole thing was magic, working with teachers who seemed like me, square pegs in round holes.
내가 여덟 살 때 아버지는 우리를 버리고 떠나셨다. 엄마는 얼마 되지 않은 아동 수당으로 우리 세 남매를 힘들게 키우셨다. 식료품 체인 ‘푸드 포 레스’에서 계산대 점원으로 일하며 먹을 것은 우리에게 다 양보하고 당신은 배고픔을 견뎌야 했다.
막내였던 나는 초등학교 2학년 때까지 학교가 끝나면 아무도 없는 집에 혼자 있어야 했다. 집에 전기가 자주 끊기곤 했는데, 특히 천둥 번개가 치는 날엔 혼자 있는 게 너무 싫어 집을 나와 식료품 가게로 향했다. 물론 엄마가 일하는 가게는 아니었다. 나는 식료품점의 통로를 어슬렁거리며 내가 살 수 없는 물건들을 물끄러미 바라보곤 했다. 카프리선, 칩스 아호이! 가게에서 흘러나오는 배경 음악은 거의 외우다시피 했다.
엄마가 재혼을 하신 뒤 나에게 여동생 두 명이 생겼다. 마침내 냉장고는 음식들로 채워졌고, 나는 그것들이 사라지기 전에 얼른 해치워야 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혔다. 결국 새아버지는 나를 욕실에 있는 체중계로 데려가 살이 조금이라도 찌면 호되게 꾸짖으셨다.
나는 남을 흉내 내는 데 천부적인 재능이 있었다. TV에서 본 배우들을 흉내 내면 여동생들이 무척 즐거워했고 다른 가족들도 따라 웃었다. 그 순간만큼은 나의 독무대라는 생각이 들자 기분도 덩달아 좋아졌다. 그러다가도 새아버지의 분노가 두려울 때는 그림자 속으로 숨어 버렸다.
열다섯 살 때는 드라이브스루 형태의 맥도널드 햄버거 가게에서 일했다. 나는 손님을 맞이하는 11초를 나만의 작은 공연 시간으로 만들어 지루함을 달랬다. 주문을 받기 위해 마이크에 대고 말을 할 때는 영국식 억양으로, 손님이 음식을 받는 창구로 오면 남부 사투리로 실력 발휘를 했다.
“안녕들 하셔유?”
그럼에도 고등학교 때 연극 무대에 서야겠다는 생각을 해 본 적은 없었다.
대신 합창부 활동을 했다. 합창부 감독이던 롤로 선생님이 나에게 특별히 관심을 보이셨고, 3학년 여름 합창 캠프에 참가하면 장학금을 받을 수 있을 거라고 나를 설득하셨다. 대학에 갈 수 있는 방법은 그 길뿐이었다. 모든 일이 마법 같았다. 선생님들은 자격이 없는 나를 너무나 좋아해 주셨다
Senior year I auditioned for chamber choir and not only got in but was given solos. We even went to State, where I performed “The Lass From the Low Countree,” a beautiful song written by folk singer John Jacob Niles.
I loved singing in church too. Somehow our family had stopped going, but I’d go by myself and sing along to my grandmother’s favorite hymn, “On Eagle’s Wings,” or “Be Not Afraid” or “Here I Am, Lord.” Here I am, Lord, I’d say. I felt safe, secure, noticed, loved. Me, Chrissy.
With all that insecurity, all that self-doubt, it still amazes me that I made my way out to Hollywood. Maybe some of it was just to get away from home. Escape. After graduating high school, I had started as an assistant for a talent manager based in Orlando, and that led to what was supposed to be a short 9jaunt to L.A., promoting some of our younger talent. Instead of going back, I stayed and became an agent myself.
4학년에 올라가서는 실내 합창단 오디션을 봤다. 합격은 물론 독창 기회까지 주어졌다. 급기야 우리는 플로리다주 합창 경연에 참가하게 되었다. 거기서 나는 포크 가수 존 제이콥 나일스의 아름다운 노래 ‘남쪽에서 온 아가씨’를 불렀다.
교회 성가대 활동도 무척 좋아했다. 어느 순간부터 우리 가족은 교회에 가지 않았지만, 나는 혼자 가서 ‘독수리 날개 치듯’ ‘두려워 말라’ ‘주여, 내가 여기 있나이다’와 같은 할머니가 가장 좋아하시던 찬송가들을 따라 부르곤 했다. ‘주여, 제가 여기 있나이다.’ 나는 이렇게 혼잣말을 했다. 안전하고, 든든하고, 관심 받고, 사랑받는 기분이 들었다. 저예요, 크리시.
내 안에 가득 찬 그 모든 불안감, 그 모든 자기 회의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나는 할리우드에서 자리를 잡았다. 어쩌면 집에서 도망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탈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올랜도에 근거지를 둔 한 연예 매니저의 보조로 일을 시작했다. 우리 회사의 신인들을 홍보하기 위해 LA로 짧은 출장을 갔다가 그 길로 LA에 남아 에이전트 일을 시작했다.
...
이후 내용은 2019년 5월호 잡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
SPECIAL ISSUE
연약할 때 강함 되시는
Guideposts 2019 | 05
Some people call me an overnight sensation. I play Kate in the hit TV series This Is Us, and now I have my first feature film, Breakthrough, coming out this Easter. But I wouldn’t exactly call my success “overnight.” More like 365 nights and days—multiplied by a dozen years.
In Breakthrough, I play the mom of a boy who drowned and was declared dead. She refused to believe it and kept praying, praying when no hope seemed possible, praying when all the evidence argued against her prayers, praying that the boy would come back to life. Miraculously he did.
That kind of resilience is something I can relate to. In life and in prayer.
A year and a half ago, I was gearing up for the Emmys. I’d been nominated for best supporting actress in a drama series and convinced Mom that she had to come out to Hollywood to be my date for the red carpet. But one August morning back in Gainesville, Florida, where I’d grown up, she’d just come home from getting her hair done—prepping for the awards—and fell outside her car. An ambulance rushed her to the hospital. She’d had a massive stroke, two major clots in her carotid artery.
I took the first flight I could out of L.A. and drove from the airport two hours to get to Gainesville. Rushing to Mom’s bedside, I passed the hospital chaplain. “Oh my God, you’re Kate from This Is Us,” he said. No, not at that moment. I was just Chrissy looking for her mama.
The doctor said her prognosis was grim. The stroke was on the left side of the brain. He said he was certain she would have paralysis on her right side and that her speech and swallowing would be severely compromised. “You don’t know my mom,” I said.
I looked down at her unconscious form. They said it was unlikely that she could hear me or understand anything, but I refused to believe that. “You are strong,” I told her again and again. “You are healing.”
I could be there for only 36 hours—I had to get back to shoot another episode of This Is Us—but I was joined by my brother and three sisters, all of us gathering around Mom, talking to her, praying. A friend of Mom’s dropped by and took in the scene. “I cannot tell you,” she said, “how much the energy and light of Jesus is in your mom’s room. There is so much love here.”
So much love after so much struggle. It had taken a lifetime for me to even admit my need for love.
어떤 이들은 내가 하룻밤 사이에 벼락스타가 되었다고 말한다. 나는 인기 드라마 <디스 이즈 어스(This Is Us)>에서 케이트 역을 맡고 있고, 장편 영화로는 처음으로 출연한 <브레이크스루 (Breakthrough)>가 올해 부활절에 개봉을 앞두고 있다. 하지만 내 성공은 ‘하룻밤 사이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365일의 낮과 밤, 거기에 십수 년을 곱한 세월이 걸렸다고 말하고 싶다.
<브레이크스루>에서 나는 물에 빠져 익사한 한 소년의 엄마 역을 맡았다. 극중에서 엄마는 아들이 죽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그래서 일말의 희망도 보이지 않는 가운데 기도하고 또 기도하며, 모든 증거가 아니라고 말할 때에도 기도하고, 아들이 다시 살아 돌아오기를 간절히 바라며 기도한다. 그리고 기적이 일어난다. 아들이 정말 돌아온 것이다.
나는 그런 불굴의 정신을 이해할 수 있다. 그것은 내 삶과 기도와도 맞닿아 있으니까.
1년 반 전, 에미상 TV 드라마 부문 여우 조연상 후보에 오른 나는 시상식 준비에 한창이었다. 그리고 레드 카펫 행사에서 내 파트너가 되려면 할리우드로 와야 한다고 엄마도 설득했다. 8월의 어느 아침, 고향 플로리다주 게인스빌에서 여태 살고 있는 엄마는 시상식을 위해 머리를 손질하고 막 집에 도착했다. 그리고 차에서 내리면서 그대로 쓰러졌다. 구급차에 실려 병원으로 급히 이송된 엄마의 병명은 중증 뇌졸중이었다. 경동맥 두 군데에 심각한 혈전이 발견되었다.
나는 LA에서 출발하는 가장 빠른 비행기를 타고 공항에서 2시간을 운전해 게인스빌로 서둘러 갔다. 엄마가 누워 있는 병실로 다급하게 뛰어가는 길에 병원 전담 신부님께서 나를 알아보시고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세상에, <디스 이즈 어스>의 케이트 맞죠?”
아니요, 지금은 아니에요. 그 순간만큼은 엄마를 찾고 있는 그저 평범한 크리시일 뿐이었다.
의사는 예후가 좋지 않다고 했다. 좌뇌 부위가 손상돼 오른쪽이 마비되고, 말하는 것과 음식을 삼키는 일에 심각한 문제가 생길 거라고 했다.
“선생님은 저희 엄마를 모르세요.” 내가 말했다.
나는 의식이 없는 엄마를 물끄러미 바라보았다. 어떤 말을 해도 듣거나 이해하지 못할 거라고 했지만 나는 그 말을 믿지 않았다. 나는 엄마에게 계속 이렇게 말했다.
“엄마는 강한 분이시잖아요. 점점 좋아지고 계세요.”
내게 주어진 시간은 고작 36시간이었다. <디스 이즈 어스> 촬영이 잡혀 있어 돌아가야 했기 때문이다. 오빠와 세 자매가 병원에 도착하자 우리 모두는 엄마 주위에 모여 엄마에게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고 함께 기도했다. 엄마 친구 한 분이 병문안을 왔다가 이 광경을 보고는 말씀하셨다.
“너희 엄마 병실에 주님의 에너지와 빛이 말도 못하게 넘쳐흐르는구나. 이곳이 얼마나 사랑으로 충만한지.”
하지만 이런 충만한 사랑을 얻기 위해 그만큼의 대가도 치러야 했다.
Mom has been married twice. My father left us when I was eight years old. Mom struggled to raise the three of us on a 5pittance of child support. She worked the checkout line at Food 4 Less, going hungry to feed us.
I was the youngest and, by second grade, a 6latchkey child. Our electricity got shut off often, and I hated to be alone, especially when thunderstorms hit. I’d take myself to a grocery store—not Mom’s—and wander the aisles, staring at all the stuff we couldn’t afford: the Capri Suns, the Chips Ahoy! I got to know the store’s Muzak playlist by heart.
Mom remarried and had two more kids. We finally had food in our refrigerator, but I felt as if I had to eat it before it disappeared. Eventually my stepfather would make me stand on the bathroom scale and 7berate me over every ounce I’d gained.
One bright light was my gift for mimicry. I would entertain my two little sisters by imitating the actors I would hear on TV. The family would laugh. For a moment I’d be in the limelight, which felt good. But then I’d retreat to the shadows again, afraid of my stepfather’s 8wrath.
At age 15, I got a job at McDonald’s, working at the drive-through. To keep myself entertained, I’d turn each customer moment into an 11-second mini performance. I’d put on a British accent when I spoke in the mic, asking for the order, then the drivers would see me at the window and I’d give them my best Southern: “How y’all doin’ tonight?” Not that I ever thought I should try acting in any high school shows.
Instead I sang. Our choir director, Miss Rollo, singled me out. Junior year she told me I should go to choir camp that summer and strongly suggested that I would be able to get a scholarship, the only way I could afford it. The whole thing was magic, working with teachers who seemed like me, square pegs in round holes.
내가 여덟 살 때 아버지는 우리를 버리고 떠나셨다. 엄마는 얼마 되지 않은 아동 수당으로 우리 세 남매를 힘들게 키우셨다. 식료품 체인 ‘푸드 포 레스’에서 계산대 점원으로 일하며 먹을 것은 우리에게 다 양보하고 당신은 배고픔을 견뎌야 했다.
막내였던 나는 초등학교 2학년 때까지 학교가 끝나면 아무도 없는 집에 혼자 있어야 했다. 집에 전기가 자주 끊기곤 했는데, 특히 천둥 번개가 치는 날엔 혼자 있는 게 너무 싫어 집을 나와 식료품 가게로 향했다. 물론 엄마가 일하는 가게는 아니었다. 나는 식료품점의 통로를 어슬렁거리며 내가 살 수 없는 물건들을 물끄러미 바라보곤 했다. 카프리선, 칩스 아호이! 가게에서 흘러나오는 배경 음악은 거의 외우다시피 했다.
엄마가 재혼을 하신 뒤 나에게 여동생 두 명이 생겼다. 마침내 냉장고는 음식들로 채워졌고, 나는 그것들이 사라지기 전에 얼른 해치워야 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혔다. 결국 새아버지는 나를 욕실에 있는 체중계로 데려가 살이 조금이라도 찌면 호되게 꾸짖으셨다.
나는 남을 흉내 내는 데 천부적인 재능이 있었다. TV에서 본 배우들을 흉내 내면 여동생들이 무척 즐거워했고 다른 가족들도 따라 웃었다. 그 순간만큼은 나의 독무대라는 생각이 들자 기분도 덩달아 좋아졌다. 그러다가도 새아버지의 분노가 두려울 때는 그림자 속으로 숨어 버렸다.
열다섯 살 때는 드라이브스루 형태의 맥도널드 햄버거 가게에서 일했다. 나는 손님을 맞이하는 11초를 나만의 작은 공연 시간으로 만들어 지루함을 달랬다. 주문을 받기 위해 마이크에 대고 말을 할 때는 영국식 억양으로, 손님이 음식을 받는 창구로 오면 남부 사투리로 실력 발휘를 했다.
“안녕들 하셔유?”
그럼에도 고등학교 때 연극 무대에 서야겠다는 생각을 해 본 적은 없었다.
대신 합창부 활동을 했다. 합창부 감독이던 롤로 선생님이 나에게 특별히 관심을 보이셨고, 3학년 여름 합창 캠프에 참가하면 장학금을 받을 수 있을 거라고 나를 설득하셨다. 대학에 갈 수 있는 방법은 그 길뿐이었다. 모든 일이 마법 같았다. 선생님들은 자격이 없는 나를 너무나 좋아해 주셨다
Senior year I auditioned for chamber choir and not only got in but was given solos. We even went to State, where I performed “The Lass From the Low Countree,” a beautiful song written by folk singer John Jacob Niles.
I loved singing in church too. Somehow our family had stopped going, but I’d go by myself and sing along to my grandmother’s favorite hymn, “On Eagle’s Wings,” or “Be Not Afraid” or “Here I Am, Lord.” Here I am, Lord, I’d say. I felt safe, secure, noticed, loved. Me, Chrissy.
With all that insecurity, all that self-doubt, it still amazes me that I made my way out to Hollywood. Maybe some of it was just to get away from home. Escape. After graduating high school, I had started as an assistant for a talent manager based in Orlando, and that led to what was supposed to be a short 9jaunt to L.A., promoting some of our younger talent. Instead of going back, I stayed and became an agent myself.
4학년에 올라가서는 실내 합창단 오디션을 봤다. 합격은 물론 독창 기회까지 주어졌다. 급기야 우리는 플로리다주 합창 경연에 참가하게 되었다. 거기서 나는 포크 가수 존 제이콥 나일스의 아름다운 노래 ‘남쪽에서 온 아가씨’를 불렀다.
교회 성가대 활동도 무척 좋아했다. 어느 순간부터 우리 가족은 교회에 가지 않았지만, 나는 혼자 가서 ‘독수리 날개 치듯’ ‘두려워 말라’ ‘주여, 내가 여기 있나이다’와 같은 할머니가 가장 좋아하시던 찬송가들을 따라 부르곤 했다. ‘주여, 제가 여기 있나이다.’ 나는 이렇게 혼잣말을 했다. 안전하고, 든든하고, 관심 받고, 사랑받는 기분이 들었다. 저예요, 크리시.
내 안에 가득 찬 그 모든 불안감, 그 모든 자기 회의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나는 할리우드에서 자리를 잡았다. 어쩌면 집에서 도망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탈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올랜도에 근거지를 둔 한 연예 매니저의 보조로 일을 시작했다. 우리 회사의 신인들을 홍보하기 위해 LA로 짧은 출장을 갔다가 그 길로 LA에 남아 에이전트 일을 시작했다.
...
이후 내용은 2019년 5월호 잡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