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MILY TIME


아버지로 산다는 것


Guideposts 2019 | 05


When I got married, I thought I was ready to be a husband and father. My wife, Soroya, and I were in our twen-ties then, enjoying life together and starting our careers. She was a kindergarten teacher. I was a supervisor at a call center.

Four years into our marriage, we found ourselves with two boys. Marriage and fatherhood felt as natural as breathing.

Then lost my job.

The experience rattled me to the


결혼을 하면서 나는 내가 남편이자 아버지가 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아내 소로야와 나는 당시 이십대였는데, 함께 인생을 즐기고 경력도 쌓기 시작한 때였다. 그는 유치원 선생이었다. 나는 콜센터 감독관이었다.

결혼하고 4년이 지나고 보니, 옆에 두 아들이 있었다. 결혼생활과 아버지 역할은 숨쉬기만큼이나 자연스러웠다.

그때 직장을 잃고 말았다.

그 경험은 완전히 당혹스러웠다. 갑자기, 아버지가 되는 일이 생각처럼 쉬울지 확신이 들지 않았다. 아버지는 20년 동안


core. All of a sudden, I wasn’t sure being a dad would be so easy. My father had held a job for 20 years, and here I was unemployed after a mere seven.

Eventually I found new work, but by then we had had two more kids and life had become a blur of laundry, grocery shopping, diaper changes, commuting and ferrying our children from one activity to another. I wanted to be a loving, involved father, a mentor to my kids. When our oldest was little and an only child, fatherhood pretty much meant hanging out with him. Now everything seemed so complicated, so…hectic. Could I keep up with being a father?

I had no example to draw on. Growing up, my family was pretty much the opposite of how Soroya and I ran our house. Mom stayed home. My dad worked and supported the family. He was gone a lot on business trips. I never saw him wash a dish or do a load of laundry. He worked hard and came home tired.

He loved my sisters and me, but he expressed his love not in words or hugs but in time spent with us on weekends. He showed me how to use the tools he kept neatly arranged in his workshop in the garage. One time, he helped me build a pinewood derby car. He set high standards and tolerated no nonsense. I loved him. But I can’t say I felt as if I knew him.

Still, I always assumed I’d grow up to be like him—loving, a little stern, supporting my family by working hard and spending time with my kids on the important stuff. But that style of fatherhood just wouldn’t work now. I felt as if I was making things up as I went along.

One weekend, needing to fix a leak in the kitchen sink, I called Dad. That was one thing I did know—he knew how to fix stuff. Dad, now retired, offered to come over and show me what to do. After he walked me through the repair, I blurted out a question.

“How did you do it, Dad?”


직업이 있었는데, 나는 이제 겨우 7년 만에 실업자가 되었다.

결국 새 일자리는 찾았지만, 그즈음 우리는 두 명의 아이가 더 생겼고, 빨래, 장보기, 기저귀 갈기, 출퇴근 그리고 아이들을 이 활동 저 활동으로 나르는 정신없이 흐릿한 삶이 되었다. 나는 내 아이들에게 다정하고 착실한 아버지이자 조언자가 되고 싶었다. 첫째가 어리고 외동이었을 때, 아버지란 거의 아이와 어울린다는 것을 의미했다. 지금은 모든 것이 너무나 복잡하고, 너무나… 미친 듯이 정신없어 보인다. 아버지 역할을 계속 할 수 있을까?

나는 의지할 만한 본보기가 없었다. 내가 나고 자란 우리 가족은 소로야와 내가 우리 가족을 이끄는 방식과는 거의 정반대였다. 엄마는 전업주부였다. 아버지는 일을 하면서 가족을 부양했다. 출장도 많이 갔다. 아버지가 설거지를 하거나 빨래를 하는 모습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열심히 일을 하고 지쳐서 집으로 돌아왔다.

“그걸 어떻게 하신 거예요, 아버지?”

의아한 듯이 나를 쳐다보았다.

“뭘?”

아버지는 말했다.

“아버지가 되는 거요. 힘드셨어요? 저는 가끔 그래요.”

아버지가 어떤 답을 할지 전혀 알 수 없었다. 우리는 이런 대화를 나눈 적이 없다. 내가 아버지에게 정말 묻고 싶었던 건, ‘저는 아버지처럼 될 수 없는데, 어떻게 해야 하죠?’였다. 그러나 그렇게 말할 수는 없었다.

아버지는 잠시 생각했다.

“이야기가 길어질 것 같구나.”

아버지가 말했다.

“커피 좀 마시겠니?”

얼마 후 우리는 커피가 담긴 머그잔을 손으로 감싸 쥔 채 카페에 앉아 있었다. 나는 약간 겸연쩍었다. 그런 상황은 우리에게 미지의 영역이었다.

“네가 정말 알고 싶은 건 내가 왜 곁에 있었냐는 거지, 그래?”

아버지가 말했다.


He looked at me quizzically. “Do what?” he said.

“Be a father. Did you find it hard? I do sometimes.”

I had no idea how he would reply. We’d never had such a conversation. What I really wanted to ask him was: I can’t be like you, so what should I do? But I couldn’t say that.

Dad thought a moment. “This sounds like a longer conversation,” he said. “Want to grab some coffee?”

Soon we were sitting at a café, hands wrapped around mugs of coffee. I felt a little self-conscious. This was uncharted territory for us.

“What you really want to know is why I stuck around, right?” Dad said. I nodded. Many fathers of other kids I’d known growing up were absentee at best. Dad was pretty much my only model for fatherhood.

“That’s easy,” Dad said. “You kids kept filling me up. In a deep way.”

I worked up my courage. “Then why were you gone so much? You worked all the time. Soroya and I aren’t like you and Mom. We share household stuff. I don’t know how to juggle it all.”

Dad smiled. “We’re not as different as you might think. Let me tell you a few things about me. Then maybe you’ll understand.”

Dad had never talked like this. He got a thoughtful look and said, “If you think I was a traditional father, you should have met my dad. He worked as a courier for a bank, a job that had him on the move all day. He came home and went straight to his recliner, where he read the paper and smoked his pipe.

“We owned a rental property, and on weekends Dad made me go with him to do repairs. I hated it at the time, but you know what? That was the only time I really got to talk to him. He was very organized and conscientious, and he taught me to be the same.

“My mother supplied the love. She had the kindest eyes and the warmest


나는 고개를 끄덕였다. 내가 자라면서 본 다른 아이들의 아버지들은 대부분 기껏해야 부재중인 아버지(가족을 버리고 따로 살며 양육비 등을 주는 아버지―역주)였다. 아버지는 거의 완전히 나의 유일한 아버지 모델이었다.

“그건 쉬워.”

아버지가 말했다.

“너희는 계속 나를 채워 주었어. 깊이 있게 말이야.”

나는 용기를 냈다.

“그럼 왜 그렇게 자주 집을 비우셨어요? 항상 일만 하셨잖아요. 소로야와 저는 엄마와 아버지 같지 않아요. 우리는 집안일을 분담해요. 어떻게 다 효율적으로 해내야 할지 모르겠어요.”

아버지는 미소를 지었다.

“우리는 네가 생각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아. 나에 대해 몇 가지 말해 줄게. 그러면 아마 이해하게 될 거야.”

아버지는 한 번도 이렇게 말한 적이 없다. 그는 사려 깊은 표정으로 말했다.

“내가 전통적인 아버지라고 생각한다면 ‘우리’ 아버지를 만나 봤어야 해. 할아버지는 은행 배달원이셨는데, 하루 종일 이동해야 하는 일이었어. 집에 오면 곧장 안락의자로 가서 신문을 읽으면서 파이프 담배를 태우셨지.”

“우리는 임대부동산이 있었는데, 주말마다 할아버지가 수리를 하러 같이 가자고 하셨어. 그때는 정말 싫었는데, 그거 아니? 그때가 할아버지와 이야기할 수 있는 유일한 시간이었어. 할아버지는 굉장히 체계적이고 성실한 분이었는데, 나한테도 똑같이 하라고 가르치셨지.”

“어머니는 사랑을 채워 주셨어. 세상에서 가장 인자한 눈과 가장 따뜻한 미소를 가지셨지. ‘일어나렴, 아들아, 그리고 하나님께 찬양을 드려라.’ 할머니는 매일 아침 이렇게 말씀하셨단다. 나는 어디든 할머니가 계시기만 하면 아무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어.”

“그러다 갑자기 내가 아홉 살 때 할머니가 심장마비로 돌아가신 거야.”

“흑인 교회에서는 아이들이 ‘어머니의 날’에 생명을 상징하는 붉은 꽃을 꽂거든. 할머니가 돌아가신 후, 나는 ‘어머니 날’에 흰 꽃을 꽂아야 했어. 왜냐하면 우리는 어머니를


smile. ‘Wake up, son, and give God the glory,’ she’d say each morning. I always felt as if everything was all right when she was there.

“Then, all of a sudden, when I was nine, Mama had a heart attack and died.

“In black churches, children wear red flowers on Mother’s Day to symbolize life. After Mama died, I had to wear white flowers on Mother’s Day because we had lost our mother. It made me feel like an outcast.

“Dad did the best he could and made sure we had everything we needed. My older sister was a teacher, so she helped us with schoolwork. I grew up equipped to succeed. But there was a hole in my heart after Mama died. I sort of didn’t know who I was.

“For a long time, I tried to base my identity on work. I became a marketing manager for a tool manufacturing company, overseeing trade shows in many different parts of the country. That’s why I traveled so much. I felt guilty being away from you kids. Here I was staying in five-star hotels with sunken bathtubs while you guys were at home eating beans and weenies.”

He stopped and looked as if he were working himself up to say something. “In 1992, I traveled to a convention in St. Louis. A Caucasian businessman from Arkansas approached me. He started speaking to me in the contemporary street vernacular.” That’s how Dad talked, always very precise in his diction.

“‘Yo, my brother, what’s with the B2B?’ this guy said to me. He went on like that. Finally I asked him what he was doing.

“‘Just keeping you honest,’ he said with a laugh.

“‘I know who I am, and I don’t need you to tell me,’ I responded.

“That wasn’t the only time things like that happened to me. You want to know one of the reasons why I worked so hard? Because of the discrimination I faced. I had to work twice as hard to get as far ahead as other guys did.

“But I’ll tell you something. Even after I overcame all that and succeeded in


잃었기 때문이야. 그것은 나를 외톨이처럼 느끼게 만들었어.”

“할아버지는 최선을 다했고 우리에게 필요한 모든 것을 갖다 주셨어. 선생님이던 누님은 우리들 학교 공부를 도와주었지. 나는 성공을 위한 실력을 갖추며 자랐어. 그러나 할머니가 가신 뒤 가슴에 구멍이 생겼어. 뭐랄까, 내가 누군지 모르겠더라고.”

“오랫동안 나는 일을 바탕으로 정체성을 찾으려 애썼지. 전국의 다양한 지역에서 무역 박람회를 감독하는 공구 제조회사의 마케팅 매니저가 되었단다. 그래서 출장을 많이 간 거야. 너희와 떨어져 있으면서 죄책감을 느꼈어. 너희가 집에서 콩소시지를 먹는 동안 나는 바닥에 움푹 들어간 욕조가 있는 별 다섯 개짜리 호텔에 묵고 있었으니까.”

아버지는 여기서 멈추더니 무슨 말을 하려고 마음의 준비를 하는 듯 보였다.

“1992년에 세인트루이스의 한 협의회에 출장을 갔었어. 아칸소 출신의 백인 사업가가 내게 다가오더라. 그는 그 당시 속어를 써 가며 내게 말을 걸기 시작했어.”

이게 바로 항상 정확한 어법을 사용하는, 아버지의 표현 방식이다.

“‘어이, 형씨, B2B하고는 무슨 관련이신가?’라고 그 남자가 내게 말했어. 계속 그런 식으로 말했지. 그래서 결국 내가 뭐 하는 거냐고 물었지.”

“‘그냥 항상 솔직하라고’ 하며 그가 웃으며 말했어.”

“‘나는 나 자신을 잘 알고 있고, 당신이 나한테 이래라저래라 할 필요는 없습니다’라고 대답했지.”

“그런 일이 일어난 건 그때뿐이 아니었어. 내가 왜 그렇게 열심히 일했는지 알고 싶니? 내가 당한 차별 때문에. 나는 다른 사람들보다 앞서가려면 두 배 열심히 일해야 했어.”


my profession, I discovered work wasn’t the solid foundation I thought it would be. It brought me no great joy. My joy, and my strength, came from God and my family. I worked as much as I had to—but not one iota more. I had to learn to find that balance.”

His expression softened. “I see you striving for that balance too, Nyon. Here’s my advice. Pour everything you can into your family. Make God your number-one priority, your family second, and everything else will fall into place. Follow those principles, and you and Soroya and the kids will be okay.”

I’ve told Dad’s story all at once here, but in fact it came out slowly over many cups of coffee. Our conversations became a standing date. Dad never said exactly why he opened up to me like that, but I think maybe it was because I had opened up to him, asking him to tell me about himself.

The more we talked, the more I realized Dad was exactly the mentor I needed. He was right. We were more alike than I knew.

And his advice, born of struggles I hope I never have to face, is timeless.

These days, I put God first, family second. So far everything else is falling into place.


“그렇지만 하나만 말해 줄게. 내가 그 모든 것을 극복하고 내 분야에서 성공한 후 나는 일이 내가 생각했던 안정된 기반이 되어 주지 못한다는 걸 깨달았어. 그것이 내게 큰 기쁨을 가져다주지 못한 거야. 나의 기쁨과 힘은 하나님과 가족에게서 오는 거였어. 나는 내가 해야 할 만큼은 일했지만, 눈곱만큼도 더 많이 하지는 않았어. 균형을 잡는 법을 배워야 했지.”

아버지의 표정이 부드러워졌다.

“니온, 너도 그 균형을 찾기 위해 노력하렴. 내 조언은 이거야. 가족에게 가능한 모든 것을 쏟아부어라. 하나님을 최우선 순위로 삼고, 가족을 둘째로 삼으면, 다른 모든 것이 제자리를 찾을 거야. 그 원칙만 따르면, 너와 소로야와 아이들은 아무 문제 없을 거다.”

여기서 아버지의 이야기를 한 번에 써 놓긴 했지만, 사실 여러 잔의 커피를 마시면서 천천히 흘러나온 이야기다. 우리의 대화 시간은 고정적인 데이트가 되었다. 아버지는 왜 내게 그렇게 마음을 열었는지 정확하게 말한 적은 없지만, 아마도 내가 마음을 열고, 아버지에 대해 말해 달라고 부탁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야기를 나누면 나눌수록, 아버지가 내게 필요한 바로 그 조언자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아버지가 맞았다. 우리는 내가 아는 것보다 더 비슷했다.

그리고 내가 결코 직면하지 않기를 바라는 투쟁 속에서 태어난 그의 조언은 시대를 초월한다.

요즘 나는 하나님을 1순위로, 가족을 2순위로 둔다. 지금까지 다른 모든 것이 제자리를 찾아가고 있다.



우편 보내실 곳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고객관리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계좌안내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

FAMILY TIME

아버지로 산다는 것


Guideposts 2019 | 05



When I got married, I thought I was ready to be a husband and father. My wife, Soroya, and I were in our twen-ties then, enjoying life together and starting our careers. She was a kindergarten teacher. I was a supervisor at a call center.

Four years into our marriage, we found ourselves with two boys. Marriage and fatherhood felt as natural as breathing.

Then lost my job.

The experience rattled me to the


결혼을 하면서 나는 내가 남편이자 아버지가 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아내 소로야와 나는 당시 이십대였는데, 함께 인생을 즐기고 경력도 쌓기 시작한 때였다. 그는 유치원 선생이었다. 나는 콜센터 감독관이었다.

결혼하고 4년이 지나고 보니, 옆에 두 아들이 있었다. 결혼생활과 아버지 역할은 숨쉬기만큼이나 자연스러웠다.

그때 직장을 잃고 말았다.

그 경험은 완전히 당혹스러웠다. 갑자기, 아버지가 되는 일이 생각처럼 쉬울지 확신이 들지 않았다. 아버지는 20년 동안


core. All of a sudden, I wasn’t sure being a dad would be so easy. My father had held a job for 20 years, and here I was unemployed after a mere seven.

Eventually I found new work, but by then we had had two more kids and life had become a blur of laundry, grocery shopping, diaper changes, commuting and ferrying our children from one activity to another. I wanted to be a loving, involved father, a mentor to my kids. When our oldest was little and an only child, fatherhood pretty much meant hanging out with him. Now everything seemed so complicated, so…hectic. Could I keep up with being a father?

I had no example to draw on. Growing up, my family was pretty much the opposite of how Soroya and I ran our house. Mom stayed home. My dad worked and supported the family. He was gone a lot on business trips. I never saw him wash a dish or do a load of laundry. He worked hard and came home tired.

He loved my sisters and me, but he expressed his love not in words or hugs but in time spent with us on weekends. He showed me how to use the tools he kept neatly arranged in his workshop in the garage. One time, he helped me build a pinewood derby car. He set high standards and tolerated no nonsense. I loved him. But I can’t say I felt as if I knew him.

Still, I always assumed I’d grow up to be like him—loving, a little stern, supporting my family by working hard and spending time with my kids on the important stuff. But that style of fatherhood just wouldn’t work now. I felt as if I was making things up as I went along.

One weekend, needing to fix a leak in the kitchen sink, I called Dad. That was one thing I did know—he knew how to fix stuff. Dad, now retired, offered to come over and show me what to do. After he walked me through the repair, I blurted out a question.

“How did you do it, Dad?”


직업이 있었는데, 나는 이제 겨우 7년 만에 실업자가 되었다.

결국 새 일자리는 찾았지만, 그즈음 우리는 두 명의 아이가 더 생겼고, 빨래, 장보기, 기저귀 갈기, 출퇴근 그리고 아이들을 이 활동 저 활동으로 나르는 정신없이 흐릿한 삶이 되었다. 나는 내 아이들에게 다정하고 착실한 아버지이자 조언자가 되고 싶었다. 첫째가 어리고 외동이었을 때, 아버지란 거의 아이와 어울린다는 것을 의미했다. 지금은 모든 것이 너무나 복잡하고, 너무나… 미친 듯이 정신없어 보인다. 아버지 역할을 계속 할 수 있을까?

나는 의지할 만한 본보기가 없었다. 내가 나고 자란 우리 가족은 소로야와 내가 우리 가족을 이끄는 방식과는 거의 정반대였다. 엄마는 전업주부였다. 아버지는 일을 하면서 가족을 부양했다. 출장도 많이 갔다. 아버지가 설거지를 하거나 빨래를 하는 모습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열심히 일을 하고 지쳐서 집으로 돌아왔다.

“그걸 어떻게 하신 거예요, 아버지?” 의아한 듯이 나를 쳐다보았다.

“뭘?”

아버지는 말했다.

“아버지가 되는 거요. 힘드셨어요? 저는 가끔 그래요.”

아버지가 어떤 답을 할지 전혀 알 수 없었다. 우리는 이런 대화를 나눈 적이 없다. 내가 아버지에게 정말 묻고 싶었던 건, ‘저는 아버지처럼 될 수 없는데, 어떻게 해야 하죠?’였다. 그러나 그렇게 말할 수는 없었다.

아버지는 잠시 생각했다.

“이야기가 길어질 것 같구나.”

아버지가 말했다.

“커피 좀 마시겠니?”

얼마 후 우리는 커피가 담긴 머그잔을 손으로 감싸 쥔 채 카페에 앉아 있었다. 나는 약간 겸연쩍었다. 그런 상황은 우리에게 미지의 영역이었다.

“네가 정말 알고 싶은 건 내가 왜 곁에 있었냐는 거지, 그래?”

아버지가 말했다.


He looked at me quizzically. “Do what?” he said.

“Be a father. Did you find it hard? I do sometimes.”

I had no idea how he would reply. We’d never had such a conversation. What I really wanted to ask him was: I can’t be like you, so what should I do? But I couldn’t say that.

Dad thought a moment. “This sounds like a longer conversation,” he said. “Want to grab some coffee?”

Soon we were sitting at a café, hands wrapped around mugs of coffee. I felt a little self-conscious. This was uncharted territory for us.

“What you really want to know is why I stuck around, right?” Dad said. I nodded. Many fathers of other kids I’d known growing up were absentee at best. Dad was pretty much my only model for fatherhood.

“That’s easy,” Dad said. “You kids kept filling me up. In a deep way.”

I worked up my courage. “Then why were you gone so much? You worked all the time. Soroya and I aren’t like you and Mom. We share household stuff. I don’t know how to juggle it all.”

Dad smiled. “We’re not as different as you might think. Let me tell you a few things about me. Then maybe you’ll understand.”

Dad had never talked like this. He got a thoughtful look and said, “If you think I was a traditional father, you should have met my dad. He worked as a courier for a bank, a job that had him on the move all day. He came home and went straight to his recliner, where he read the paper and smoked his pipe.

“We owned a rental property, and on weekends Dad made me go with him to do repairs. I hated it at the time, but you know what? That was the only time I really got to talk to him. He was very organized and conscientious, and he taught me to be the same.

“My mother supplied the love. She had the kindest eyes and the warmest


나는 고개를 끄덕였다. 내가 자라면서 본 다른 아이들의 아버지들은 대부분 기껏해야 부재중인 아버지(가족을 버리고 따로 살며 양육비 등을 주는 아버지―역주)였다. 아버지는 거의 완전히 나의 유일한 아버지 모델이었다.

“그건 쉬워.”

아버지가 말했다.

“너희는 계속 나를 채워 주었어. 깊이 있게 말이야.”

나는 용기를 냈다.

“그럼 왜 그렇게 자주 집을 비우셨어요? 항상 일만 하셨잖아요. 소로야와 저는 엄마와 아버지 같지 않아요. 우리는 집안일을 분담해요. 어떻게 다 효율적으로 해내야 할지 모르겠어요.”

아버지는 미소를 지었다.

“우리는 네가 생각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아. 나에 대해 몇 가지 말해 줄게. 그러면 아마 이해하게 될 거야.”

아버지는 한 번도 이렇게 말한 적이 없다. 그는 사려 깊은 표정으로 말했다.

“내가 전통적인 아버지라고 생각한다면 ‘우리’ 아버지를 만나 봤어야 해. 할아버지는 은행 배달원이셨는데, 하루 종일 이동해야 하는 일이었어. 집에 오면 곧장 안락의자로 가서 신문을 읽으면서 파이프 담배를 태우셨지.”

“우리는 임대부동산이 있었는데, 주말마다 할아버지가 수리를 하러 같이 가자고 하셨어. 그때는 정말 싫었는데, 그거 아니? 그때가 할아버지와 이야기할 수 있는 유일한 시간이었어. 할아버지는 굉장히 체계적이고 성실한 분이었는데, 나한테도 똑같이 하라고 가르치셨지.”

“어머니는 사랑을 채워 주셨어. 세상에서 가장 인자한 눈과 가장 따뜻한 미소를 가지셨지. ‘일어나렴, 아들아, 그리고 하나님께 찬양을 드려라.’ 할머니는 매일 아침 이렇게 말씀하셨단다. 나는 어디든 할머니가 계시기만 하면 아무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어.”

“그러다 갑자기 내가 아홉 살 때 할머니가 심장마비로 돌아가신 거야.”

“흑인 교회에서는 아이들이 ‘어머니의 날’에 생명을 상징하는 붉은 꽃을 꽂거든. 할머니가 돌아가신 후, 나는 ‘어머니 날’에 흰 꽃을 꽂아야 했어. 왜냐하면 우리는 어머니를


smile. ‘Wake up, son, and give God the glory,’ she’d say each morning. I always felt as if everything was all right when she was there.

“Then, all of a sudden, when I was nine, Mama had a heart attack and died.

“In black churches, children wear red flowers on Mother’s Day to symbolize life. After Mama died, I had to wear white flowers on Mother’s Day because we had lost our mother. It made me feel like an outcast.

“Dad did the best he could and made sure we had everything we needed. My older sister was a teacher, so she helped us with schoolwork. I grew up equipped to succeed. But there was a hole in my heart after Mama died. I sort of didn’t know who I was.

“For a long time, I tried to base my identity on work. I became a marketing manager for a tool manufacturing company, overseeing trade shows in many different parts of the country. That’s why I traveled so much. I felt guilty being away from you kids. Here I was staying in five-star hotels with sunken bathtubs while you guys were at home eating beans and weenies.”

He stopped and looked as if he were working himself up to say something. “In 1992, I traveled to a convention in St. Louis. A Caucasian businessman from Arkansas approached me. He started speaking to me in the contemporary street vernacular.” That’s how Dad talked, always very precise in his diction.

“‘Yo, my brother, what’s with the B2B?’ this guy said to me. He went on like that. Finally I asked him what he was doing.

“‘Just keeping you honest,’ he said with a laugh.

“‘I know who I am, and I don’t need you to tell me,’ I responded.

“That wasn’t the only time things like that happened to me. You want to know one of the reasons why I worked so hard? Because of the discrimination I faced. I had to work twice as hard to get as far ahead as other guys did.

“But I’ll tell you something. Even after I overcame all that and succeeded in


잃었기 때문이야. 그것은 나를 외톨이처럼 느끼게 만들었어.”

“할아버지는 최선을 다했고 우리에게 필요한 모든 것을 갖다 주셨어. 선생님이던 누님은 우리들 학교 공부를 도와주었지. 나는 성공을 위한 실력을 갖추며 자랐어. 그러나 할머니가 가신 뒤 가슴에 구멍이 생겼어. 뭐랄까, 내가 누군지 모르겠더라고.”

“오랫동안 나는 일을 바탕으로 정체성을 찾으려 애썼지. 전국의 다양한 지역에서 무역 박람회를 감독하는 공구 제조회사의 마케팅 매니저가 되었단다. 그래서 출장을 많이 간 거야. 너희와 떨어져 있으면서 죄책감을 느꼈어. 너희가 집에서 콩소시지를 먹는 동안 나는 바닥에 움푹 들어간 욕조가 있는 별 다섯 개짜리 호텔에 묵고 있었으니까.”

아버지는 여기서 멈추더니 무슨 말을 하려고 마음의 준비를 하는 듯 보였다.

“1992년에 세인트루이스의 한 협의회에 출장을 갔었어. 아칸소 출신의 백인 사업가가 내게 다가오더라. 그는 그 당시 속어를 써 가며 내게 말을 걸기 시작했어.”

이게 바로 항상 정확한 어법을 사용하는, 아버지의 표현 방식이다.

“‘어이, 형씨, B2B하고는 무슨 관련이신가?’라고 그 남자가 내게 말했어. 계속 그런 식으로 말했지. 그래서 결국 내가 뭐 하는 거냐고 물었지.”

“‘그냥 항상 솔직하라고’ 하며 그가 웃으며 말했어.”

“‘나는 나 자신을 잘 알고 있고, 당신이 나한테 이래라저래라 할 필요는 없습니다’라고 대답했지.”

“그런 일이 일어난 건 그때뿐이 아니었어. 내가 왜 그렇게 열심히 일했는지 알고 싶니? 내가 당한 차별 때문에. 나는 다른 사람들보다 앞서가려면 두 배 열심히 일해야 했어.”


my profession, I discovered work wasn’t the solid foundation I thought it would be. It brought me no great joy. My joy, and my strength, came from God and my family. I worked as much as I had to—but not one iota more. I had to learn to find that balance.”

His expression softened. “I see you striving for that balance too, Nyon. Here’s my advice. Pour everything you can into your family. Make God your number-one priority, your family second, and everything else will fall into place. Follow those principles, and you and Soroya and the kids will be okay.”

I’ve told Dad’s story all at once here, but in fact it came out slowly over many cups of coffee. Our conversations became a standing date. Dad never said exactly why he opened up to me like that, but I think maybe it was because I had opened up to him, asking him to tell me about himself.

The more we talked, the more I realized Dad was exactly the mentor I needed. He was right. We were more alike than I knew.

And his advice, born of struggles I hope I never have to face, is timeless.

These days, I put God first, family second. So far everything else is falling into place.


“그렇지만 하나만 말해 줄게. 내가 그 모든 것을 극복하고 내 분야에서 성공한 후 나는 일이 내가 생각했던 안정된 기반이 되어 주지 못한다는 걸 깨달았어. 그것이 내게 큰 기쁨을 가져다주지 못한 거야. 나의 기쁨과 힘은 하나님과 가족에게서 오는 거였어. 나는 내가 해야 할 만큼은 일했지만, 눈곱만큼도 더 많이 하지는 않았어. 균형을 잡는 법을 배워야 했지.”

아버지의 표정이 부드러워졌다.

“니온, 너도 그 균형을 찾기 위해 노력하렴. 내 조언은 이거야. 가족에게 가능한 모든 것을 쏟아부어라. 하나님을 최우선 순위로 삼고, 가족을 둘째로 삼으면, 다른 모든 것이 제자리를 찾을 거야. 그 원칙만 따르면, 너와 소로야와 아이들은 아무 문제 없을 거다.”

여기서 아버지의 이야기를 한 번에 써 놓긴 했지만, 사실 여러 잔의 커피를 마시면서 천천히 흘러나온 이야기다. 우리의 대화 시간은 고정적인 데이트가 되었다. 아버지는 왜 내게 그렇게 마음을 열었는지 정확하게 말한 적은 없지만, 아마도 내가 마음을 열고, 아버지에 대해 말해 달라고 부탁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야기를 나누면 나눌수록, 아버지가 내게 필요한 바로 그 조언자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아버지가 맞았다. 우리는 내가 아는 것보다 더 비슷했다.

그리고 내가 결코 직면하지 않기를 바라는 투쟁 속에서 태어난 그의 조언은 시대를 초월한다.

요즘 나는 하나님을 1순위로, 가족을 2순위로 둔다. 지금까지 다른 모든 것이 제자리를 찾아가고 있다.


우편 보내실 곳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고객관리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계좌안내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