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EGIVERS
Painting With Tony
토니 할아버지의 미술 시간
Guideposts 2019 | 08
Cover Story
'깊은 곳'에 그물을 내려라
Guideposts 2019 | 08
She didn’t consider herself a serious artist. Until she was asked to do something serious with her art.
LINDA ODOM Sarasota, Florida
린다 오덤은 미술로 진지한 일을 해달라는 부탁을 받을 때까지
자신을 진정한 예술가로 여기지 않았다.
린다 오덤 플로리다주 새러소타
The e-mail came from Tony’s son, Phil, asking if I could help his dad. Tony was a retired businessman in his late eighties, suffering from dementia. He was getting excellent care in an assisted-living facility, except for one thing. “Pop loved to paint more than anything,” Phil wrote. “I wonder if you could help him do it again.”
“I’m not really an artist,” I wanted to say. Actually, I was a flight attendant. True, I worked on weekends at a.
이메일은 토니의 아들 필이 보낸 것으로, 내가 토니를 도울 수 있는지 묻고 있었다. 토니는 80대 후반에 접어든 은퇴한 사업가였으며 치매를 앓고 있었다. 그는 생활 지원이 갖춰진 시설에서 훌륭한 보살핌을 받고 있었다. 딱 한 가지만 빼면 그랬다. 필은 이메일에 다음처럼 썼다.
“아버지는 다른 무엇보다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셨어요. 아버지가 다시 그림을 그리는 데 도움을 주실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실상 저는 화가가 아니에요”라고 얘기하고 싶었다. 사실 나는 비행기 승무원이
rehabilitation center, teaching art as therapy, helping people who were recovering from falls or broken limbs or long hospital stays. Art gave them a purpose, I liked to think. But I’d always worked with groups, never with someone one-on-one and never with a dementia patient.
Phil explained how his dad had become quiet, withdrawn. Once he had painted, and it had seemed to give him great satisfaction. If only he could have a brush in hand again. “It would mean so much to him,” Phil said. “To have that joy again.”
The joy of painting. The idea tugged at my heart. If there was anything I knew, it was how God could use the arts—painting, drawing, sculpting, music making—to help people find their way back to themselves, their best selves. As I said, I’m not a professional artist. But art came to me at a time when I desperately needed help.
Let me go back two decades. I was living in Atlanta and working long hours for Delta Airlines. I’d served as a flight attendant and then made my way up the management ranks. I could see myself running the place someday, being in charge. Not that the dream was wholly my own. It felt like an expectation, almost as though I’d borrowed it and was trying it on for size, like a nice suit that doesn’t quite fit.
Then came a string of disasters, real disasters. First, the tornado. I was lying in bed one evening in my top-floor apartment, worried about a presentation I had to give the next morning. Wind and rain battered the roof and walls. What if the windows break? I wondered. I could picture shards of glass flying at me like hail. Get in the closet! the thought came. I grabbed my pillow and comforter—and my alarm clock—and threw myself into the closet.
Almost instantly my ears popped. The wind made a nightmarish sound. The roof was sucked off, and rain poured in. I screamed at the top of my lungs. Never had I been so terri-fied. When the din finally died down—after a few
었다. 주말에 재활센터에서 일하면서 치료 요법으로 그림 그리기를 가르치며 낙상이나 부러진 팔다리, 장기간의 입원 생활에서 회복 중인 사람을 돕는 게 사실이기는 했다. 예술이 환자에게 목표를 부여한다고 생각하고 싶었다. 하지만 언제나 그룹과 함께했기 때문에 누군가와 1대 1로 작업한 적은 없다. 치매 환자와 함께한 적도 없다.
필은 아버지가 어쩌다 말이 없고 내성적으로 변했는지 설명했다. 한때 토니는 그림을 그렸고, 거기에서 굉장한 만족을 느낀 것 같았다. 그가 다시 손에 붓을 쥘 수 있다면 좋을 텐데.
“아버지에게는 그런 즐거움을 다시 누린다는 게 아주 의미 있을 거예요.”
그림 그리기의 즐거움이라는 생각이 마음을 움직였다. 내가 아는 게 있다면 하나님께서는 그림, 소묘, 조각, 작곡 같은 예술을 통해 사람이 본 모습을, 최고의 모습을 찾도록 도와주신다는 사실이었다. 말했듯이 나는 전문적인 화가는 아니었다. 하지만 도움이 절실했던 시기에 예술이 내게 다가왔다.
20년 전 일이다. 애틀랜타에 살면서 델타 항공에서 장시간 근무했다. 기내 승무원으로 일하다가 관리직으로 승진했다. 언젠가는 책임지는 자리에서 회사를 운영하는 내 모습이 그려졌다. 하지만 그 꿈은 온전히 내 것은 아니었다. 마치 기대처럼 느껴졌는데, 어디선가 빌려 온 것 같았다. 내게 잘 맞는 일인지 고민했고 근사하지만 맞지 않은 슈트 같았다.
그러다가 재앙이, 진짜 재앙이 연이어 터졌다. 먼저 토네이도가 있었다. 어느 날 저녁 꼭대기 층 아파트의 침대에 누워서 다음 날 아침에 해야 할 발표를 걱정하고 있었다. 비바람이 지붕과 벽을 사정없이 때렸다. ‘창문이 깨지면 어쩌나?’ 싶었다. 유리 파편이 우박처럼 내게 쏟아지는 모습이 그려졌다. ‘옷장 안으로 들어가!’라는 생각이 뇌리를 스쳤다. 베개와 이불―알람 시계까지―을 챙겨서 옷장으로 몸을 날렸다.
거의 즉시 귀가 멍해졌다. 바람이 악몽 같은 소리를 냈다. 지붕이 빨려 들어갔고 비가 퍼부었다. 있는 힘을 다해 바락바락 악을 썼다. 그렇게 겁에 질린 적이 없었다. 마침내 소음이 잦아들었을 무렵―영원처럼 느껴진 몇 분이 지난 후였다. 이불 아래서 살짝 내다보았다. 침대는 엉망이었고 아파트는 온통 망가졌다.
석 달 후에는 교통사고에 휘말렸다. 고속도로에서 대형 트럭이 갑자기 내 차선으로 방향을 틀면서 날 도로 밖으로 밀어냈다. 차는 박살 났고 트럭 운전자는 도주했다.
minutes that seemed like forever—I peeked out from under my comforter. My bed had been turned upside down, the place destroyed.
Three months later, I was in a terrible car accident. An 18-wheeler swerved into my lane on the highway and pushed me off the road. My car was totaled. The driver fled.
The third disaster affected me in a different way. Flight attendants and crew members like me, as well as passengers, were lost when Swissair Flight 111 crashed off the coast of Nova Scotia, killing everyone on board. Because Swissair and Delta were partners, I was put to work helping staffers and volunteers console the families who were suffering this tragic loss, the sort of thing we had all trained for—and hoped we’d never have to do.
Again and again I told myself I was okay. I could manage. After all, I was helping others, wasn’t I? I was serving them. But at night, I’d wake up sweating, my ears seeming to pop, or have dreams of the 18-wheeler that had almost killed me or thoughts of a jet at the bottom of the sea. One weekend I went with a girlfriend to Disney World. We went on the Twister ride, thinking it would be fun. As soon as the lights dimmed, I was back in a twister of my own. I started screaming—shrieking actually. A young mother looked askance at me and asked my friend, “Would you please make her shut up?” But I couldn’t. I couldn’t stop.
Finally Delta arranged counseling for me. One of the things that was suggested was an art class, art as therapy. The woman in charge asked us to paint. Me paint? I hadn’t held a brush in my hand since grammar school. Our teacher wanted us to close our eyes and picture our dream landscape. What did it look like? What were we doing? Who else was there? Not only did we have to see it, we had to paint it.
I painted a beach, waves lapping against the shore, a dog frolicking in the sand next to a small house with a book inside. It was no great work of art, but it was
세 번째 재앙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내게 영향을 미쳤다. 스위스에어 111편이 노바스코샤 앞바다에 추락해서 탑승한 전원이 사망했을 땐 탑승객뿐만 아니라 나와 같은 승무원도 혼란스러웠다. 스위스에어와 델타 항공은 제휴 회사였으므로 비극적인 사고로 고통받는 가족을 위로하는 직원과 자원봉사자를 돕는 일에 나도 투입되었다. 우리 모두 교육받은 일이기는 했지만, 결코 하고 싶지 않은 일이기도 했다.
끊임없이 괜찮다고 되뇌었다. 감당할 수 있었다. 어쨌거나 나는 다른 사람을 돕고 있었다. 그렇지 않은가? 나는 타인을 위해 봉사하고 있었다. 하지만 밤이면 땀을 흘리며 잠에서 깼고 귀가 멍해졌으며 대형 트럭에 치여 거의 죽는 꿈을 꾸거나 해저에 가라앉은 비행기가 생각났다. 어느 주말에는 친구와 함께 디즈니 월드에 갔다. 재미있겠다는 기대로 ‘트위스터(‘회오리바람’이라는 뜻―역주)’라는 놀이 기구에 올랐다. 불빛이 희미해지자마자 나만의 회오리바람 속으로 도로 빨려 들어갔다. 소리를 지르기 시작했다. 실상 비명이었다. 미심쩍은 눈길로 날 바라보던 젊은 엄마가 친구에게 물었다.
“친구가 입 좀 다물게 해 줄래요?”
하지만 그러지 못했다. 멈출 수 없었다.
결국 델타 항공은 내게 상담 일정을 마련해 주었다. 제안받은 것 중 하나가 미술 치료로서의 미술 수업이었다. 담당자는 우리에게 그림을 그리라고 했다. 내가 그림을 그린다고? 초등학교 이후로는 손에 붓을 잡아 본 적조차 없었다. 선생님은 눈을 감고 이상적인 풍경을 그려 보라고 했다. 어떻게 보이죠? 무얼 하고 있죠? 다른 사람은 누가 있죠? 우리는 풍경을 보고 그려야 했다.
해변을 그렸다. 바닷가에 부딪치는 파도, 작은 집 안에는 책이 있고 그 옆에는 모래에서 신나게 뛰어노는 개 한 마리를 그렸다. 대단한 명작은 아니지만, 내 작품이었다. 그저 들여다보고 있으면 행복해졌다.
“이 그림이 린다의 미래가 될 수 있어요. 린다는 이런 일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어요.”
선생님이 말했다.
그런 삶은 생각해 보지 않았다. 일과 다음 급여를 받는 것에 지나치게 몰두한 나머지 창조적인 자아와의 관계는 모두 잃어버리고 말았지만, 하나님께서는 그러지 않으셨다.
관리직을 그만두고 계속 승무원으로 지내면서 플로리다로 이사했다. 바닷가 근처의 집을 빌려서 성서를 읽기 시작했다. 그림은 꾸준히 그렸다. 언젠가는 역작을 창조하겠
mine. Just looking at it made me happy. “This could be your future,” the teacher said to me. “You could make it happen.”
I’d never thought of life that way. I’d been so immersed in work and getting the next paycheck that I’d lost all connection with my creative self. God hadn’t, though.
I quit the management job, stayed on as a flight attendant and moved to Florida. I rented a house near the beach and started reading the Good Book. I kept painting, not because I thought I’d create a masterpiece someday but because it brought joy to my life. I took classes in expressive arts, helping others experience what I had. I became a part-time teacher, working with groups, painting with them. I loved what I did. But did I have the skills to help someone like Tony? I just didn’t see how.
Phil took me to Tony’s apartment. I looked around at the paintings on the walls and felt completely intimidated. Vivid portraits, stunning landscapes—they were all things that Tony had done when he was younger. He’d been really good. One painting stood out for me. A beautiful depiction of Jesus. Linda, don’t be afraid, God seemed to say. Just be yourself.
I knelt by Tony’s chair. “Hi, I’m Linda,” I said. “What’s your name?”
“Tony Baby,” he said, then winked. We both laughed.
I took out my paints. At first he needed a little help with which end of the brush was which, but as I guided his hand his eyes lit up. He knew exactly where he wanted to put the strokes and which colors to use. We put on some music and painted for at least an hour, singing along with Frank Sinatra, “You Make Me Feel So Young.” Funny, it was Tony who made me feel young.
At the end, as I was cleaning up brushes, Phil asked, “So, Pop, what do you think?”
“About what?”
“About Linda.”
다는 생각 때문이 아니라, 그림 그리기가 삶에 기쁨을 가져다주었기 때문이다. 표현 예술 수업을 듣고 다른 이들이 나와 같은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도왔다. 시간제 교사가 되어 그룹을 가르치고 함께 그림을 그렸다. 내가 하는 일이 좋았다. 하지만 내게 토니 같은 사람을 도울 재주가 있나? 어찌해야 할지 알 수 없었다.
필이 토니의 아파트로 데려다주었다. 벽에 걸린 그림들을 둘러보다가 주눅이 들었다. 선명한 초상화와 놀라운 풍경화는 모두 토니가 젊은 시절에 그린 것이었다. 그는 정말 뛰어났다. 한 점이 유독 눈에 들어왔다. 예수님을 묘사한 아름다운 그림이었다.
‘린다, 겁내지 마라. 그저 너 자신이 되어라.’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듯했다.
토니의 의자 곁에 무릎을 꿇고 앉았다.
“안녕하세요. 린다예요. 성함이 어떻게 되세요?”
“토니 베이비요.”
토니는 대답하며 윙크했다. 우리는 둘 다 웃음을 터트렸다.
물감을 꺼냈다. 처음에 토니는 붓끝을 구분하는 데 도움이 좀 필요했지만, 내가 이끌어주자 눈이 빛났다. 그는 어디에 붓질하고 싶은지, 어떤 색을 쓸지 정확히 알았다. 우리는 음악을 틀어 놓고 적어도 한 시간 동안 그림을 그렸다. 프랭크 시나트라의 ‘당신 덕분에 젊어진 기분이에요’를 함께 부르기도 했다. 재미있게도 토니 덕분에 내가 젊어진 기분이었다.
끝날 무렵 내가 붓을 씻고 있는데 필이 물었다.
“그러니까요, 아빠, 어떻게 생각하세요?”
“뭘?”
“린다요.”
“린다는 언제 또 와?”
토니와 함께하는 미술 시간이 일주일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우리는 음악을 틀어 놓고 노래를 불렀는데, 언제나 토니가 가장 좋아하는 곡은 ‘문 리버’였다. 일 때문에 어딘가로 비행을 떠나면 사진을 찍어 와서 토니와 함께 아이패드로 보았다. 토니에게 리우데자네이루의 브라질 예수상 동영상도 보여 주었다. 거기서 영감을 받은 우리는 콜라주(색종이나 사진 등의 조각을 붙여 만든 그림―역주)로 팔을 넓게 벌리고 인류를 포옹
“When is she coming back?” he said.
Our art sessions became a highlight of my week. We’d play music, sing songs—Tony’s all-time favorite was “Moon River.” Whenever I flew someplace for work, I’d come back with pictures and we’d look at them together on my iPad. I showed him a video of the Christ the Redeemer statue in Rio de Janeiro. That inspired us to do a collage of Christ, arms stretched wide, embracing humanity.
We went outside and sketched by a lake, the clear blue water shimmering on the canvas. I came back from a trip to Grand Teton National Park, and we painted mountains. Tony had loved to ski back in the day. We listened to Bob Marley and sang along, “Don’t worry about a thing.” When I said goodbye to him that day, he replied, “Don’t you worry about a thing.” Tony hadn’t experienced the trauma I had, but painting had the same healing effect, transforming his final days.
On our last visit, two days before he died, he was so weak he couldn’t hold the brush by himself. I held his hand and guided it, and we painted. It was almost the way I felt guided by the Lord, bringing me here.
The memorial service was a few days later. As his children and grandchildren described the Tony they knew and loved, I recognized the man I had known only in the last year and a half of his life. Generous, creative, imaginative, kind, spiritual—despite the dementia. All those things were still there. Especially when he was allowed to do what he loved most.
하는 그리스도를 그렸다.
밖에 나가 호숫가에서 스케치하면 캔버스에 맑고 푸른 물이 일렁였다. 그랜드티턴 국립공원 여행에서 돌아왔을 때는 함께 산을 그렸다. 예전에 토니는 스키를 즐겼다. 밥 말리의 ‘아무 걱정하지 마세요’를 들으며 노래했다. 그날 작별 인사를 하는데 토니가 말했다.
“‘린다’도 아무 걱정하지 말아요.”
그는 내가 겪은 트라우마를 경험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그림 그리기는 토니의 마지막 날들을 바꿔 놓으며 똑같은 치료 효과를 냈다.
마지막 방문은 토니가 세상을 뜨기 이틀 전이었다. 기운이 너무 없어서 혼자서는 붓도 쥘 수 없을 정도였다. 내가 토니의 손을 잡고 이끌며 그림을 그렸다. 이곳에 날 데려다 놓으신 주님의 인도를 받는 기분이었다.
장례식은 며칠 후였다. 토니의 자녀들과 손주들이 그들이 알고 사랑한 아버지와 할아버지를 묘사할 때, 인생의 마지막 1년 반 동안 내가 알고 지낸 바로 그 사람임을 알 수 있었다. 치매가 있었지만 너그럽고 창조적이며 상상력이 넘치고 친절한 데다가 숭고한 사람이었다. 이 모든 게 여전히 그 자리에 있었다. 특히 토니가 가장 사랑한 일을 할 수 있을 때 그랬다.
...
이후 내용은 2019년 8월호 잡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