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ISSUE
For the Love of Laurel
일과 사랑을 그대 품 안에
Guideposts 2019 | 08
SPECIAL ISSUE
일과 사랑을 그대 품 안에
Guideposts 2019 | 08
This small-town girl had big-time dreams.
Little did she know she’d find them at home
ERIN NAPIER Laurel, Mississippi
작은 시골 마을 출신의 한 소녀는 큰 꿈을 품고 있었다.
그 꿈을 고향에서 찾을 줄은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에린 네피어 미시시피주 로렐
My husband, Ben, and I are about to launch our third season of Home Town on HGTV, where we help folks in our town of Laurel, Mississippi, make and remake their houses into dreams come true. Truth to tell, the whole thing still boggles my mind. It is not at all what we thought we’d do or become when we met at Jones County Junior College.
I figured I’d be an art director for a publisher in a big city far away. Ben
내 남편 벤과 나는 HGTV에서 방영하는 <Home Town(고향)>의 세 번째 시즌 방송을 앞두고 있다. 우리 고향인 미시시피주 로렐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위해 그들이 꿈꿔 온 집을 지어 주거나 개조하는 일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고백하자면 이 모든 일에 아직도 정신을 못 차릴 지경이다. 벤과 내가 존스 카운티 주니어 칼리지에서 처음 만났을 때 우리에게 이런 일이 일어날 줄 상상이나 했겠는가.
당시 나는 고향에서 멀리 떨어진 큰 도시로 나가 출판사의 디자인 담당자가 되는 꿈을 가지고 있었다. 벤은 대학의 모든
was a fledgling history major who volunteered on every committee on campus. I was quiet and shy, not seeking out the limelight that seemed to belong to him. He was tall (six foot six) and broad-shouldered, bearded and magnetic without ever letting it go to his head. We fell for each other hard over the course of six days and soon after transferred to Ole Miss. And that’s where we got married on a cold November day.
Ben was the son of a Methodist preacher. His family had moved around a lot, so he didn’t really have a hometown. I did: Laurel, a sleepy old place that had seen better days. Founded in the 1880s, it had flourished when lumber mills were harvesting the area’s yellow pines. But industry moved on, and people moved out. Others might have hurried past the shuttered storefronts, but I kept seeing the myriad possibilities amid architecture that was worth preserving. What if there could be a bookstore on the corner or an Italian restaurant or a shop that sold sweet-smelling candles and soaps?
Ben and I made Laurel our home. Together, we fixed up a second-floor loft in a flatiron building in the historic district. The floorboards had nickel-size gaps, the nine-foot-tall single-pane windows were a century old and too expensive to replace, so we learned to love how the wind whispered through them in all seasons.
Ben had always been handy, but in redoing the place, he discovered his gift for woodworking: restoring old pieces of furniture, making an armoire from reclaimed material because we couldn’t afford to buy one. Though he had a job as director of youth ministry for a Methodist church around the corner, that armoire—made from an old door he found in the rafters of my grandfather’s woodshop—was a harbinger of things to come. I would wish for things, and he had the vision to make them happen.
As for my job, I commuted to an office cubicle at a tech company, where I
위원회를 쫓아다니며 자원봉사 활동을 열심히 하던 햇병아리 역사학도였다. 내성적이고 수줍음을 많이 타는 나와 달리 벤은 사람들에게 관심받는 것을 즐기는 성격이었다. 2m 가까이 되는 장신에 어깨가 딱 벌어지고 덥수룩하게 수염을 기른 벤은 자만하지 않으면서도 사람을 끄는 매력이 있었다. 미시시피 대학으로 옮긴 직후 우리 두 사람은 6일 동안 서로에게 푹 빠져 버렸고, 11월의 어느 추운 날 부부의 연을 맺었다.
벤의 아버지는 감리교 전도사였다. 가족의 잦은 이사로 벤은 딱히 고향이라고 부를 만한 곳이 없었다. 반면 나는 로렐이라는 도시에서 나고 자랐다. 한때는 번영했으나 지금은 따분하고 퇴락한 곳이다. 도시가 형성된 1880년대만 해도 이 지역의 소나무를 벌목하던 제재소들 덕분에 꽤 번성했으나, 제재소가 이동하면서 사람들도 도시를 떠났다. 사람들은 굳게 닫힌 상점들을 서둘러 지나쳐 가겠지만 내 눈에는 보존할 가치가 있는 건축물에서 무한한 가능성이 보였다. 저 모퉁이에 서점이나 이탈리안 레스토랑, 아니면 향초와 비누 파는 가게가 있다면 어떨까?
남편과 나는 로렐을 ‘우리의’ 고향으로 만들기로 했다. 먼저 한 유서 깊은 지역에 위치한 철골 구조의 2층 로프트를 구입해 개조하는 일에 착수했다. 마룻바닥은 동전 하나는 족히 들어갈 정도로 틈새가 넓었고, 백 년이나 된 높이가 3m에 이르는 통유리창은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 교체할 엄두가 나지 않았다. 결국 우리는 사계절 내내 바닥과 창문 사이로 새어 들어오는 바람의 속삭임을 즐기는 법을 터득했다.
원래부터 손재주가 좋던 남편은 집을 개조하면서 목공에 새로운 재능을 발견했다. 새 가구를 살 돈이 없었기 때문에 오래된 가구를 복원하고 재생 재료를 이용해 장롱을 만들었다. 당시 남편은 근처 한 감리 교회에서 청소년 사목위원회의 위원장을 맡고 있었다. 내 할아버지가 운영하시던 목공소의 서까래에서 발견한 낡은 문으로 만든 그 장롱이 앞으로 벌어질 일들의 전조였다. 내가 바라는 것이 있으면 남편은 그것을 현실로 만들어 줄 비전을 가지고 있었다.
당시 나는 한 기술 회사에서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었다. 일정한 수입이 있다는 사실을 감사하게 여겼지만 내가 꿈꾸던 일은 아니었기 때문에, 얼른 하루 일과를 끝내고 내가 정말 좋아하는 일을 하러 가고 싶어 종일 5시가 되기만을 기다렸다.
나는 대학을 졸업하자마자 프리랜서로 활동하며 디자인한 작품들을 블로그에 올리
worked as a designer. I was grateful to have a paycheck, but the work wasn’t at all what I’d dreamed of. I couldn’t wait for five o’clock to come each day. To do the work I loved.
I’d started a blog right after college to showcase my freelance design work, mostly birthday party invitations and wedding stationery. I did the invitations for our own wedding, using a simple 6typeface that felt like Ben and me, printed on ivory cotton paper in red and blue inks that reminded me of the November colors of the trees and sky. A childhood friend of mine was so taken with the design, she asked me to create a save-the-date announcement for her own wedding. “Think outside the box,” she said.
I came up with a classic design but, instead of printing it on card stock, screen-printed it on ivory handkerchiefs with lace around the edges. I snapped a photo of them to post on my blog—which I had named Lucky Luxe—packaged them in boxes and mailed them off. My friend was pleased; I was pleased. I figured that was it.
The next thing I knew, I got an e-mail from a woman in New York who’d seen what I’d done and wanted me to do something similar for her wedding. Then she shared the hankies on her blog, and within hours I had a rush of inquiries from customers all over the world, not to mention a call from Martha Stewart Weddings, saying it would be featuring me and my handkerchiefs on its website. Lucky Luxe was launched.
The challenge came for me when I had to decide whether I could do it full time. To be my own boss. The prospect scared me out of my wits. I am not by nature an optimist. I’ve always been afraid that if I don’t manage my expectations, the other shoe will drop. What if the business failed? What if we ran out of money?
기 시작했다. 주로 생일 파티 초대장과 청첩장이었다. 우리 결혼식 청첩장도 직접 디자인했다. 우리 두 사람의 분위기를 풍기는 단순한 활자체를 고안해 11월의 나무와 하늘을 연상시키는 붉은색과 파란색 잉크로 아이보리색 순면지에 인쇄했다. 어린 시절의 친구 하나가 그 디자인을 마음에 들어해 자기 결혼식 초대장도 만들어 달라고 부탁을 했다.
“틀에 얽매이지 말고 자유롭게 생각해.”
친구가 말했다.
나는 디자인은 고전적으로 하되, 일반적인 종이 카드가 아닌 가장자리가 레이스로 장식된 아이보리색 손수건에 인쇄하는 방법을 생각해 냈다. 완성된 청첩장을 사진으로 찍어 블로그에 올리고 ‘Lucky Luxe (럭키 럭스)’라고 이름을 붙였다. 그리고 포장을 해서 친구에게 우편으로 부쳤다. 친구가 무척 마음에 들어해 나까지 덩달아 기분이 좋았다.
‘바로 이거야.’
나는 생각했다.
이후 내 작품에 꾸준히 관심을 보인 뉴욕의 한 여성으로부터 메일 한 통을 받았다. 청첩장을 비슷하게 만들어 달라는 내용이었다. 그렇게 받은 손수건 청첩장을 자신의 블로그에 올렸다. 그러자 단 몇 시간 만에 전 세계 사람들로부터 주문이 쇄도했다. 그중 ‘마사 스튜어트 웨딩스’로부터 자사 웹사이트에 나와 내가 디자인한 손수건을 기획 기사로 싣고 싶다는 연락을 받았다. 그렇게 해서 ‘Lucky Luxe(럭키 럭스)’가 브랜드로 탄생하게 되었다.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할 순간이 되자 걱정이 되기 시작했다. 온전히 내 사업을 한다고 생각하니 간담이 서늘해졌다. 나는 태생적으로 낙천적인 성격이 아니라 스스로 기대치를 관리하지 않으면 다른 안 좋은 일이 생길까 항상 불안에 떠는 사람이다. 사업이 실패하면 어쩌지? 빈털터리가 되면 어쩌지?
나는 기도했다. 정말 간절하게 기도했다. 남편, 친구들과 가족, 그리고 교회 사람들에게도 조언을 구했다. 뜻밖에도 가장 친한 친구가 보낸 이메일의 한 글귀에서 해답을 찾았다.
“주님의 손이 어디를 가리키든지 그의 손이 길을 열어 줄 것이다.”
...
이후 내용은 2019년 8월호 잡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