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ING LONGER, LIVING BETTER

관계의 힘


Guideposts 2019 | 09


LIVING LONGER, LIVING BETTER

관계의 힘

Guideposts 2019 | 09



My widowed mother-in-law lived right down the road.

Sometimes it seemed much farther


DIANE STARK Brazil, Indiana



혼자되신 시어머니는 지척에 사셨지만 때로 훨씬 멀리 계신 것 같았다.


다이앤 스타크 인디애나주 브라질



I walked into my mother-in-law’s house, as always, without knocking. My father-in-law, Larry, had died months earlier, but part of me still expected to find him in his recliner in the living room, watching The Waltons on TV. “Hello,” I called out.

“I didn’t hear you come in,” Judy said, coming down the hallway from her bedroom. Not her real bedroom. Just the spare room she’d been sleeping in since Larry’s passing.

Larry and Judy had been married for


늘 그랬듯이 노크하지 않고 시어머니가 살고 계신 집에 들어섰다. 시아버지 래리가 몇 달 전에 돌아가셨는데도 내 일부는 여전히 시아버지가 거실 안락의자에 앉아 텔레비전으로 <월튼네 사람들>을 시청하는 모습을 기대하곤 했다. “여보세요”라고 불렀다.

“들어오는 소리를 못 들었구나.”

시어머니 주디가 침실에서 통로를 따라 걸어오며 말했다. 사실 시어머니의 진짜 침실은 아니었다. 시아버지가 돌아가신 후부터 주무시는 손님용 침실이었다.

두 분은 51년 동안 결혼 생활을 했다.



51 years. They’d had nine children; seven were still living. My husband, Eric, and I lived about a quarter mile away, so it was easy to pop in. But the past two years, ever since Larry had had several strokes, either Eric or I had been with Judy nearly constantly, helping with caregiving. His siblings had pitched in too. But with Larry gone—and despite my best intentions—it was sometimes days between visits.

I glanced at the kitchen table, where Judy’s Bible sat opened to a favorite verse. Next to it was a box of photos Eric had brought up from the basement the night Larry died. We’d looked through them as a family, choosing some to display at the funeral. Eric and I had both offered to take the box back to the basement, but Judy always shook her head.

She was only 73. I thought she would be okay on her own. Her quiet, can-do attitude had seen her through a lot over the years. I was sure she’d welcome the chance to get out of the house again whenever she wanted, to see friends or join a group at the senior center. But Judy hadn’t done any of that. It was as if she’d lost her joy in life, her grief compounded by loneliness. It broke my heart to see her like this.

“There are seven siblings and seven days in a week,” I told Eric that evening. He’s an engineer, so I knew he’d appreciate having a system. “Each sibling will take a day to call your mom or visit her. Then she won’t be lonely.”

“It’s a good idea,” Eric said. “But it’s not going to work. Everyone’s busy. If we could send her a text saying we’re thinking about her, the grandkids could get in on it too.”

“Yeah, well, that’s never going to happen either,” I said. With seven families and 13 teenagers or young adults among us, texting was our go-to way of communicating. When we were all caring for Larry, a family group text had been a lifesaver. That’s when Eric got Judy a smartphone, but she kept getting


아홉 자녀 중 일곱이 살아 있었다. 남편 에릭과 나는 400m 떨어진 곳에 살았으니 잠시 들르는 건 일도 아니었다. 그렇지만 지난 2년 사이 시아버지에게 몇 차례 심각한 뇌졸중이 있고 난 후부터 남편이나 나는 간호를 도우면서 시어머니와 줄곧 붙어 있다시피 했다. 남편의 형제자매들도 함께했다. 하지만 시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에는―나의 선의에도 불구하고―며칠 걸러 한 번씩 찾게 되었다.

식탁을 보니 시어머니의 성경이 가장 좋아하는 구절에 펼쳐져 있었다. 그 곁에는 시아버지가 돌아가신 밤에 남편이 지하실에서 가져온 사진 상자가 있었다. 우리는 가족으로서 사진을 살펴보며 장례식에 놓을 몇 장을 골랐다. 남편과 내가 사진 상자를 다시 지하실에 가져다 두려고 했으나 시어머니는 언제나 고개를 저었다.

시어머니는 고작 일흔셋이었다. 혼자서도 잘 지내실 거라고 여겼다. 침착하고 해낼 수 있다는 태도 덕분에 시어머니는 수년간 많은 어려움을 극복했다. 원할 때면 언제든 다시 외출해서 친구를 만나고 노인 복지관 모임에 드는 기회를 반기실 줄 알았다. 하지만 시어머니는 그 무엇도 하지 않았다. 삶의 기쁨을 잃고 외로움 때문에 슬픔이 더 깊어진 것 같았다. 그런 시어머니를 바라보는 일은 가슴 아팠다.

“형제자매가 일곱 명이고 일주일은 7일이야.”

그날 저녁 에릭에게 말했다. 남편은 엔지니어니까 시스템을 마련하면 좋아하겠거니 생각했다.

“각자 하루씩 맡아서 어머니께 전화하거나 찾아가는 거지. 그러면 외롭지 않으실 거야.”

“좋은 생각이야. 하지만 출근하는 거랑은 다르잖아. 다들 바쁘니까. 우리가 어머니를 생각한다는 문자를 보내면 손주들도 같이 보낼 수 있어.”

“글쎄. 그럴 일은 절대 없을 것 같은데.”

일곱 가족에다가 열세 명이나 되는 십대와 청소년이 있었으니 우리가 의존하는 의사소통 방법은 문자 메시지였다. 다들 시아버지 간호에 매달렸을 때는 가족 그룹 문자 메시지가 구세주나 마찬가지였다. 그때 남편이 시어머니께 스마트폰을 사드렸지만 계속 혼란스러워하며 사용법을 잊으셨다. 결국 시어머니는 스마트폰을 되돌려주고 구형 플립 휴대전화로 되돌아갔다. 문자 메시지에도 관심이 없었다.

“핸드폰으로 통화하는 데 무슨 문제라도 생긴 거니?”



confused and forgetting the instructions. Eventually she gave the phone back and reverted to her old flip phone. She had no interest in texting.

“Whatever happened to using your phone for actually talking?” she’d say. I saw her point. There was no real reason we couldn’t call Judy to tell her something, other than that we’d all gotten used to a different way of communicating. The truth was, it was as hard for us to change back as it was for her to try something new.

Just as Eric predicted, my plan for a daily rotation never really got off the ground. Instead we went on communicating through text and e-mail, then had to remember to call Judy to keep her in the loop for any family get-together. If plans changed at the last minute, that meant another phone call. The bigger problem was that too often Judy missed the everyday chatter of our lives: the kids’ school projects, family snapshots, funny stories. Every few days I checked in on her, but it only reminded me how disconnected she was from friends and family, how lonely she probably was. I couldn’t fill her in on all the family news, but there had to be something I could do to involve her. Some way of convincing her not to be afraid of technology. I prayed about it but found no answers. Finally I gave up trying. Eric too.

Then Eric’s youngest sister, Cindy, announced her husband’s job had transferred him to Amsterdam. They’d be in the Netherlands for at least two years.

Days later, when Eric and I dropped by, Cindy’s move was all Judy could talk


시어머니의 얘기였다. 요점을 파악했다. 다들 다른 의사소통 방식에 익숙해졌다는 점을 제외하면 우리가 시어머니에게 뭔가 말하려고 전화하지 못할 ‘진짜’ 이유는 없었다. 사실 시어머니가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게 어려운 만큼이나 우리가 예전 방식으로 돌아가기도 어려웠다.

남편이 예상한 그대로 매일 교대하자는 내 계획은 절대 궤도에 오르지 못했다. 대신 우리는 계속 문자 메시지나 이메일로 소통하다가도, 시어머니께 전화해서 가족 모임을 알려야 한다는 걸 기억해 내야 했다. 막판에 계획이 바뀌면 다시 전화해야 한다는 뜻이었다. 더 큰 문제는 시어머니가 지나치게 자주 아이들의 학교 행사나 가족사진, 농담 같은 일상적인 이야기를 놓친다는 점이었다. 며칠에 한 번씩 확인했지만, 시어머니가 친구와 가족으로부터 얼마나 단절되어 있는지, 얼마나 외로울지 다시금 깨달을 뿐이었다. 가족 소식을 빠짐없이 알릴 수는 없었지만, 과학 기술을 겁내지 말라고 설득하는 것처럼 시어머니를 참여시키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있어야만’ 했다. 그것을 두고 기도했지만, 답을 찾지 못했다. 결국 애쓰는 걸 포기했다. 남편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다 남편의 막내 여동생 신디가 그녀 남편의 직장 때문에 암스테르담으로 이사한다는 소식을 전했다. 신디 가족은 최소한 2년 동안 네덜란드에 있을 터였다.

며칠이 지나고 우리 부부가 들렀을 때 시어머니의 대화 주제는 온통 신디의 이사였다.

“다들 국제 전화 요금제에 가입해야 할 텐데 비용이 얼마나 들지 누가 알겠니.”

“그 방법만 있는 건 아니에요. 애플리케이션이 있어요. 무료고요.”

남편이 말했고, 시어머니는 바닥을 응시했다.

“애플리케이션은 써 본 적이 없는데.”

“제가 기꺼이 알려 드릴게요.”



about. “We’re all going to have to get international calling plans,” she said. “Goodness knows what that costs.”

“It’s not the only way,” Eric said. “There are apps. Free ones.”

Judy stared at the floor. “I’ve never used an app.”

“I’ll be happy to teach you,” I offered.

“I’ll think about it,” she said.

Not long after Cindy moved to Amsterdam, Eric’s older sister got a new job in Texas. It was evident how much Judy missed her daughters.

One day, she said, “What was that thing I can get on my phone that will help me talk to Cindy for free? I’m missing out on too much. I need to be more connected.”

I could hardly believe it. The very thing I’d prayed for!

Another of Eric’s sisters bought Judy a less complicated smartphone. Eric downloaded the WhatsApp messaging app for her. Moments later she was talking to Cindy, the reception crystal clear. Judy couldn’t stop smiling.

When the call was over, Eric showed her how she could text using the app and even video-chat. At first, she used it only if one of us was there to help her. Then one day I took her to lunch.

“One of my friends uses WhatsApp,” she said. “She texts her grandkids with it. I think I might like to do that too.”

“That’s great,” I said, resisting the urge to push further. In God’s time, I reminded myself. Judy had grown more active socially too, joining a Bible study and going to lunch with friends.

A few days later, my phone pinged with a text. “Hi,” it read. Judy!

“You sent me a text,” I typed back.

“I sent one to everyone in my contact list!” Nothing could hold Judy back after that. With the press of a key, she had someone to pass the time with—a


내가 제안했다.

“생각해 보마.”

신디가 암스테르담으로 이사하고 얼마 되지 않아 남편의 누나도 텍사스에서 새로운 일을 구했다. 시어머니가 딸들을 그리워할 게 뻔했다.

어느 날 시어머니가 물었다.

“핸드폰에 받아서 신디랑 무료로 통화하도록 해 주는 게 뭐라고 했지? 너무 많은 걸 놓쳤어. 좀 더 연락하고 지내야겠어.”

믿기 어려웠다. 내가 기도했던 바로 그 일이었다!

남편의 다른 누이가 시어머니께 덜 복잡한 스마트폰을 사 드렸다. 남편이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왓츠앱’을 다운로드했다. 얼마 후 시어머니는 신디와 통화했고 수신 상태도 아주 좋았다. 시어머니는 미소를 멈추지 못했다.

통화가 끝나고 남편은 애플리케이션으로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법과 영상 통화까지 알려 드렸다. 처음에 시어머니는 도와줄 사람이 있을 때만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했다. 그러던 어느 날 시어머니와 함께 점심을 하러 나갔다.

“친구 한 명이 왓츠앱을 쓰는데 그걸로 손주들한테 문자를 보내더구나. 나도 그럴 수 있으면 좋을 것 같구나.”

“좋아요.”

좀 더 밀어붙이고 싶은 욕망을 참으며 답했다. ‘하나님께서 정하신 때에’라고 스스로 되뇌었다. 시어머니는 성경 공부 모임에 들고 친구들과 함께 점심을 먹으며 사회생활이 좀 더 많아졌다.

며칠 후 핸드폰에 문자 메시지가 도착했다.

“안녕.”

시어머니였다!

“문자 메시지를 보내셨네요.”

답장을 보냈다.

“연락처에 있는 모든 이에게 보냈어!”

그 후 무엇도 시어머니를 주저시키지 못했다. 시어머니는 버튼 하나를 누르더니 같이



connection that didn’t replace a face-to-face meeting yet offered an intimacy all its own.

Soon Judy wanted to tackle the laptop computer we kids had bought her for Christmas several years before. “There’s this pastor I like,” she said. “He sends out newsletters on e-mail. I’d like to subscribe.”

Eric set up an e-mail address for her and showed her how to find the pastor’s website. On her own, Judy e-mailed a contractor about a home improvement project. A granddaughter taught her how to look for recipes on Pinterest. She’s excited to learn how to shop online.

But her first love is still messaging. Staying in the loop with children and grandchildren, friends from church. Laughing at jokes. Sharing recipes. Extending birthday greetings or congratulations on a good report card. Sometimes it feels as if Judy is more in the loop than I am. And today when I visit her—still without knocking—I see a different woman. Happier. No longer lonely. She’s back in her real bedroom, and the box of photos has been returned to a shelf in the basement. (Her old Bible is still front and center.)

Loneliness is one of our society’s greatest problems. And when your family member is suffering, the problem really hits home. Yet all my attempts to make Judy change failed. Only God could do that.

Our immediate solution was the technology we’ve all come to depend on. But the real breakthrough was helping my mother-in-law reconnect with her family and friends, with her life.


5 Ways to Be a Better Listener

Diane Stark was right to worry about her widowed mother-in-law. Research shows that social isolation takes a toll on health,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G_


시간을 보낼 사람도 사귀었다. 얼굴을 마주 보고 만나는 일을 대신하지는 못하지만 그 나름의 친밀함을 제공하는 관계였다.

얼마 후에는 자식들이 몇 년 전 크리스마스에 사 드린 노트북 컴퓨터에도 도전하고 싶어 했다.

“좋아하는 목사님이 있어. 이메일로 소식지를 보내는데 나도 받아 보고 싶구나.”

남편이 시어머니의 이메일 계정을 만들고 목사의 홈페이지 찾는 법을 알려드렸다. 시어머니는 건설업자에게 주택 개조 공사에 관한 이메일을 스스로 보냈다. 손녀는 핀터레스트에서 조리법 찾는 법을 알려 드렸다. 시어머니는 온라인 쇼핑을 배우며 흥분했다.

그렇지만 시어머니의 첫사랑은 여전히 문자 메시지다. 자식과 손주들, 교회 친구들과 계속 소식을 주고받고 농담에 즐거워하며 조리법도 공유하고 생일 인사를 전하거나 우수한 성적을 축하하기도 한다. 때로는 시어머니가 나보다 소식을 더 잘 안다고 느낄 정도다. 요즘은 찾아가면―여전히 노크는 하지 않는다―전혀 다른 사람이 보인다. 더 행복하고 더는 외롭지 않은 사람이다. 시어머니는 이제 원래 침실로 돌아가셨고 사진 상자도 지하실 선반에 되돌려 놓았다. (오래된 성경은 지금도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고독은 우리 사회의 가장 중대한 문제 중 하나다. 가족 구성원이 괴로워하고 있다면 고독이라는 문제는 그야말로 급소를 찌른다. 시어머니를 바꾸려 했던 나의 모든 시도는 수포가 되었다. 오로지 하나님께서만 해내실 수 있었다.

우리의 즉각적인 해결책은 모든 이가 의존하게 된 과학 기술이었다. 하지만 진정한 돌파구는 시어머니가 가족, 친구, 생활과 다시 관계를 맺도록 도운 거였다.


좋은 경청자가 되는 다섯 가지 방법

다이앤 스타크가 홀로 된 시어머니를 걱정한 건 옳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회적 고립은 건강, 행복, 삶의 질에 큰 타격을 주는데 특히 나이가 들수록 그렇다. 그래서 ‘선한 사마리아인 협회’는 고립된 노인과 교회 자원봉사자 간의 직접 대면, 전화, 화상 통



especially as we get older. That’s why the Good Samaritan Society developed Kin Ministry, an innovative program that coordinates in-person, phone and video-chat connections between isolated seniors and volunteers from their faith community. Even though “technology can be an important part of the solution for loneliness,” says Denice Dengler, Kin Ministry’s manager, “people still want and need human connection.” Active listening is the key, according to Dengler and Barb Schwery, executive director of BeFriender Ministry, which trains the volunteers. Here are their tips for becoming a better, more active listener:


Do some self-reflection. We each have our own communication style, Schwery says. How have your life experiences shaped how you listen and communicate? What were things like in your family growing up? What is your role in life now? Also, consider how day-to-day occurrences affect your interactions. If someone cuts you off in traffic, say, how might that affect your conversations with colleagues later that day?


Meet the other person where they are. “If you visit someone who’s grieving, for example, they might not want to talk about it at first,” Schwery says. “Maybe they want to talk about gardening instead. Letting them lead the conversation builds trust.” They’ll talk about what’s really on their minds when they’re ready to.


Respond with understanding. In conversations, “people typically think, ‘What do I need to say next?’ rather than ‘How do I make sure I understood?’” Schwery notes. To better understand someone’s story from their perspective, restate what you think you heard. For example: “Sounds like you really miss your daughter.”


화 연락을 조직하는 혁신적인 프로그램인 ‘킨 미니스트리’를 개발했다. 킨 미니스트리의 간사인 데니스 뎅글러는 “외로움을 해결하는 데 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맡을 수 있다”고 말하면서도 “사람들은 여전히 인간적인 교류를 원하고 필요로 한다”고 말했다. 뎅글러뿐만 아니라 자원봉사자를 교육하는 ‘비프렌더 미니스트리’의 총책임자인 바브 슈베리에 따르면 적극적인 경청이 핵심이다. 여기 더 뛰어나고 더 적극적인 경청자가 되기 위한 조언이 있다.


자아 성찰을 하자. 모든 이에게는 고유의 의사소통 방식이 있다고 슈베리는 말한다. 당신의 인생 경험이 당신의 경청과 사람들과 소통하는 방식을 어떻게 형성해 왔는가? 자라는 동안 가족 관계는 어떠했는가? 현재 삶에서 맡은 역할은 무엇인가? 또한 매일 벌어지는 일들이 상호 작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고려해 보자. 예를 들어 운전 중에 누군가가 끼어들었다면 그날 오후 동료와의 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자. “예를 들어 슬픔에 빠진 사람을 만난다면, 처음에는 그 사람이 그 일을 말하고 싶어 하지 않을 겁니다. 대신 정원 가꾸기를 얘기하고 싶어 할 수도 있죠. 그들이 대화를 주도하게 하면 신뢰가 쌓여요.”

사람들은 준비가 되었을 때 진짜 속마음을 털어놓을 것이다.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응답하자. 대화에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내가 이해했다고 어떻게 확신하지?’보다는 ‘다음에 무슨 말을 하지?’를 생각해요” 슈베리의 지적이다. 누군가의 이야기를 그의 관점에서 더 잘 이해하려면 당신이 들었다고 생각하는 바를 바꿔서 다시 이야기해 보자. 예를 들어 “딸을 정말 그리워하는 것 같군요”처럼 말이다.



Think caring, not curing. You’re not there to teach or give advice. “Just be a listening presence,” Dengler says. Remind yourself, “I don’t have to have all the answers. It’s not up to me to fix this. I’m going in to learn.” Asking open-ended questions gives the other person the opportunity to choose how to respond.


Be nonjudgmental. It’s healing to talk about your experiences, thoughts and feelings without being judged or criticized. Provide a safe space for someone to do that. “Listen in the way you would like to be listened to,” Schwery says.


치료가 아닌 관심을 생각하자. 당신은 가르치거나 조언하려고 그 자리에 있는 게 아니다. “그저 듣는 존재가 되어 주세요”라고 뎅글러는 말한다. 스스로 “모든 답을 갖고 있을 필요는 없어. 이걸 고치는 일은 내게 달린 게 아니야. 나는 배우기 시작하는 중이야”라고 되뇌자. 개방형 질문을 던지면 상대방에게 응답 방식을 선택할 기회를 줄 수 있다.


개인의 가치관에 치우친 판단을 하지 말자. 평가나 비판 없이 경험, 생각, 감정을 털어놓는 일은 치유에 도움이 된다. 누군가가 그렇게 할 수 있는 안전한 자리를 마련해 주자. “당신이 경청되고 싶은 방식으로 경청하세요”라고 슈베리는 말한다.

우편 보내실 곳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고객관리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계좌안내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

우편 보내실 곳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고객관리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계좌안내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