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EGIVERS

끝내주는 사람


Guideposts 2020 | 05


Caregivers

Guideposts 2020 | 05

끝내주는 사람 


It seemed as if I was always doing something to 1aggravate my World War II veteran grandfather.

How would I take care of him?

나는 언제나 제2차 세계대전 참전 용사인 할아버지를 화나게 하는 일을

벌이는 것 같았다. 그런 내가 어떻게 할아버지를 보살피지?


BY MARY PEMBLETON, Asheville, North Carolina

메리 펨블턴 노스캐롤라이나주 애슈빌



It seemed as if I was always doing something to aggravate my World War II veteran grandfather.

How would I take care of him?

나는 언제나 제2차 세계대전 참전 용사인 할아버지를 화나게 하는 일을 

벌이는 것 같았다. 그런 내가 어떻게 할아버지를 보살피지? 


BY MARY PEMBLETON,  Asheville, North Carolina

메리 펨블턴  노스캐롤라이나주 애슈빌


That December day in 2014, I bounced my baby on my knee and tried to occupy my toddler while my 92-year-old grandfather rummaged through the closet for the right polo shirt to wear for our first trip to the Asheville, North Carolina, VA hospital. “Some people might think I’m prissy,” Grandaddy Bill said in his lilting Southern accent, “but I just like to look nice.” My grandfather had moved into our basement apartment from my sister’s house a month ago so that I could care for him as his Parkinson’s disease and mild dementia progressed.

I’d known this new arrangement was never going to be easy. But I was surprised that I was already gritting my teeth. Just convincing him to go in for a checkup today had been a struggle. “I hate being moved around,” he said. “I wish I hadn’t lived this long.”

An hour later, I wheeled Grandaddy Bill into the VA hospital. “Careful!” he yelled. “I’m sorry,” I told him. “I know you didn’t want to come today.” We took a seat in the waiting room. Dozens of veterans, young and old, male and female, walked and wheeled their way to the various clinics. A lanky man sitting across from us adjusted his Vietnam Veteran cap. “You’re World War II, aren’t you?” he said to Bill.


2014년 12월 어느 날 92세 할아버지가 노스캐롤라이나주 애슈빌에 있는 재향군인 병원에 처음 가면서 그에 어울리는 폴로 셔츠를 고르려고 옷장을 샅샅이 뒤지는 동안, 나는 아기를 무릎에 앉혀서 올렸다 내렸다 하는 동시에 걸음마 하는 큰아이와도 놀아 주느라 애쓰고 있었다. 

“내가 지나치게 격식을 차린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겠지. 하지만 그저 말쑥하게 보이고 싶을 뿐이야.”

빌 할아버지가 경쾌한 남부 억양으로 말했다. 

할아버지는 한 달 전에 언니 집에서 우리 아파트 지하층으로 이사했다. 덕분에 파킨슨병과 경미한 치매가 진행되는 동안 내가 할아버지를 돌볼 수 있었다. 

이러한 새로운 체계가 절대 쉽지 않으리라는 건 알았지만, 내가 이미 이를 악물고 있다는 사실은 놀라웠다. 그저 할아버지에게 오늘 검진을 받으러 가자고 설득하는 일부터 난관이었다. 

“여기저기 이사 다니는 일이 싫단 말이다. 이렇게 오래 살지 말았어야 했는데.” 

1시간 후, 빌 할아버지를 휠체어에 태우고 재향군인 병원에 들어섰다. 

“조심해!”

할아버지의 외침에 대답했다.

“죄송해요. 오늘 오기 싫으셨던 거 알아요.” 

대기실에 자리 잡고 앉았다.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수많은 참전 용사가 걷거나 휠체어를 타고서 각양각색의 진료과로 향했다. 우리 맞은편에 앉아 있던 키 크고 깡마른 남자가 베트남전 참전 용사 모자를 고쳐 쓰더니 할아버지에게 물었다.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셨죠, 그렇죠?”


Although deaf in his left ear, Grandaddy Bill still refused to get a hearing aid, so I repeated the man’s question loudly into his right ear. “World War II, yes, sir,” Bill said proudly. “Army, South Pacific.”

“Not many of you guys around anymore!” the man said.

“No, there sure ain’t,” Bill told him. “I used to organize a yearly Army reunion, but we had to call it off because it became a last man’s club.” Grandaddy Bill had been a charismatic host, throwing huge parties at the house where he and my grandmother used to live on the South Fork River in Belmont, North Carolina, near us.

This charming man could, however, be strict and impatient with his unruly young granddaughter. The first night I’d ever spent away from my parents was at my grandparents’ house. I was six. It was almost midnight, and I kept crying to go home. “Enough of this yammering!” Grandaddy Bill snapped. “No! Take me home!” I yelled. Back and forth we went, as stubborn as mules, until Bill drove me back to my parents’ place, so angry he didn’t speak a word the whole drive.

I breathed a sigh of relief when the rest of our visit to the VA passed uneventfully. A minor miracle—it seemed as if I was always doing something to aggravate my grandfather. Once when I was 10, I removed an ornament with my sister’s name etched in gold from my grandparents’ Christmas tree. I scratched out her name and wrote my own with the ornament’s hook. Grandaddy Bill came up behind me and yanked it out of my hand, frightening me. “You are just too much!” he yelled, his voice thunderous. Those words seared themselves into my brain. From that point on, I steered clear of my grandfather. My mother died when I was 17, and Grandaddy Bill said, “Let me help you.” He tried to take me in his arms, but I shrank away from him. The last thing I wanted was solace from this man I’d hardly spoken to in years, who’d petrified me as a child.


할아버지는 왼쪽 귀가 들리지 않으면서도 여전히 보청기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버텼기 때문에 내가 오른쪽 귀에 대고 남자의 질문을 크게 다시 말했다. 

“제2차 세계대전, 맞소. 육군이었고 남태평양에 있었소.” 

할아버지가 자랑스럽게 답했다.

“같이 참전한 사람이 별로 안 남아 있겠네요!” 

“그렇다오. 정말 얼마 안 된다오. 해마다 육군 친목 모임을 이끌었지만, 마지막 한 명만 남는 바람에 그만두어야 했지.”

할아버지는 카리스마 넘치는 주최자로서 할머니와 함께 거주하던 집에서 성대한 파티를 열었다. 그 집은 노스캐롤라이나주 벨몬트의 사우스 포크강 근처였고 우리 집에서도 멀지 않았다. 

하지만 이 매력적인 남자는 고분고분하지 않은 어린 손녀에게 엄격했으며 못 견뎌 했다. 내가 부모님과 떨어져서 보낸 첫 밤은 조부모님 댁이었다. 여섯 살이었고 자정이 가까웠을 땐 집에 가겠다고 계속 울어댔다. 

“이렇게 떠들어 대는 것 좀 그만둬!” 할아버지가 쏘아붙였다. 

“싫어요! 집에 데려다줘요!”

나는 소리 질렀다. 할아버지가 다시 부모님 댁으로 나를 태워 줄 때까지 우리는 결론 없는 논쟁을 끈질기게 계속했다. 몹시 화가 난 할아버지는 가는 내내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재향군인 병원 방문이 별일 없이 지나갔을 때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작은 기적이었다. 나는 언제나 할아버지를 화나게 하는 일을 벌이는 것 같다. 열 살이었을 때 한번은 조부모님의 크리스마스트리에서 언니의 이름이 금빛으로 새겨진 장식품을 떼어 냈다. 언니 이름을 긁어 내고는 장식품 고리를 이용해서 내 이름을 썼다. 뒤쪽에서 나타난 빌 할아버지가 내 손에서 장식품을 낚아채는 바람에 소스라치게 놀랐다. 

“너무하는구나!” 

외치는 할아버지의 목소리는 우레와 같았고, 그 말이 뇌리에 깊숙이 박혔다. 그때부터 할아버지를 피했다. 내가 열입곱 살이었을 때 엄마가 돌아가셨고, 할아버지는 “내가 도와주마”라고 말했다. 할아버지가 안아 주려고 했지만 나는 뒷걸음질 쳤다. 내가 마지막으로 원한 건 아이였던 나를 겁에 질리게 한 데다, 몇 년 동안 거의 말도 걸지 않은 할아버지로부터 위안을 얻는 거였다. 

Grandaddy Bill’s authoritarian nature carried over into our new relationship. Every morning, he would shout into the baby monitor at eight o’clock sharp, “Maaaarrryyy! Get down here with my breakfast!” I’d bring him his food, my jaw clenched. Later in the day, he’d yell, “Maaaarrryyy, come turn up the television!” Grandaddy Bill demanded a rigid schedule for his meals, his medications and his TV shows. His need for routine was a gift to me as a new mother in some ways. Still I resented his yelling and impatience. I tried to remind myself how hard it must be for someone who’d run his own successful architectural business to become dependent on others.

After months of mounting resentment, I told him, “Grandaddy Bill, I know it’s frustrating not to be able to do for yourself anymore, but I not only have the children to care for but sometimes I need to go the bathroom and eat as well. And the disrespectful way you speak to me has to stop.” This was the first time I’d ever had a real talk with my grandfather, much less admonished him.

“Yes, ma’am,” he said mockingly, but he seemed to take my words to heart and rarely spoke disrespectfully to me again. When he needed something, he even started asking, “Could I have some help?”

During our trips to the VA, we slowly got to know each other. When Bill went in for a monthly checkup, a young man in a wheelchair who was missing a leg introduced himself as an Iraq War veteran and asked Bill, “Were you in combat, sir?” All the veterans we met there treated the eldest among them like royalty.

“No, I was a mapmaker,” Bill said. “We’d go up in helicopters and snap aerial photographs and piece them together like a puzzle. I’d draw the maps from that.”

“Wow, Grandaddy Bill, I didn’t know that!” I said. “That’s so cool.”

“I’m a cool dude,” he said, chuckling. “After the war, I studied and practiced on my own, learning how to draw house plans.” I’d had no idea he’d started his business without a degree. “You’re the very definition of a self-made man,” I said.

A few months later, Grandaddy Bill had to have cataract surgery. Ornery as ever, he refused to take off his wedding ring, even after the doctor explained the risk of contamination and infection. “Since I first put this ring on, I’ve never once taken it off,” Bill said, “and I’m not about to start now.” He told the doctor how he and my grandmother, who’d died of cancer 12 years earlier, had loved going ballroom dancing. Another wonderful and surprising thing I’d never known!


빌 할아버지의 권위적인 기질은 할아버지와 나 사이에 생긴 새로운 관계에서도 여전했다. 할아버지는 아침마다 8시 정각이면 베이비 모니터(집 안 곳곳에서 아기방을 볼 수 있게 해주는 장치-역주)에 대고 소리를 질렀다. 

“메에에리이이! 내 아침 식사를 가지고 내려오너라!”

이를 악물고 음식을 가져갔다. 그날 오후 할아버지가 또 고함쳤다. 

“메에에리이이! 와서 텔레비전 소리 좀 높이거라!”

할아버지는 끼니, 약, TV 프로그램에 관해 엄격한 스케줄을 고집했다. 할아버지가 규칙적인 일과를 원한다는 건 어떤 면에서 엄마가 된 내게 도움이 되는 일이었다. 하지만 할아버지의 고함과 조급함은 불쾌했다. 자신의 건축업을 성공적으로 이끌던 사람이 타인에게 의존하는 일이 얼마나 힘들지 상기하려고 애썼다. 

몇 달 후 울분이 쌓여서 할아버지에게 얘기했다. 

“빌 할아버지, 이제 스스로 일을 처리할 수 없어서 실망스럽다는 건 알아요. 하지만 저에게도 챙길 아이들이 있고 때로는 화장실도 가고 먹기도 해야 해요. 그러니까 저한테 무례하게 얘기하는 건 그만두셔야 해요.”

그때가 처음으로 할아버지에게 제대로 얘기한 거였다. 경고와는 거리가 멀었다. 

“네, 알겠습니다.” 

비웃는 듯이 대답했지만, 할아버지는 내 얘기에 몹시 신경 쓰는 눈치였고 다시는 무례하게 말하지 않았다. 무언가 필요하면 부탁하기 시작할 정도였으니까. 

“좀 도와주겠니?” 

재향군인 병원에 드나들면서 우리는 천천히 서로를 알아 갔다. 할아버지가 월간 정기 검진을 받으러 갔을 때, 한쪽 다리 없이 휠체어에 앉아 있던 젊은이가 자기는 이라크전에 참전했다고 소개했다. 그리고 할아버지에게도 물었다. 

“전투에 참여하셨나요, 어르신?”

병원에서 만나는 모든 참전 용사는 그들 중 가장 연장자를 왕족처럼 떠받들었다.  

“그렇지 않소. 지도 제작자였지. 헬리콥터를 타고 위로 올라가서 항공 사진을 찍은 다음 퍼즐처럼 맞췄다오. 그걸 보고 지도를 그렸지.”

“와, 할아버지, 몰랐어요! 아주 멋진데요.”

“내가 좀 끝내주는 사람이지. 전쟁이 끝난 후에는 주택 평면도 그리는 법을 배우느라 독학하고 혼자 연습했어.”

할아버지가 소리 없이 웃으며 말했다. 나는 할아버지가 학위 없이 사업을 시작했다는 걸 몰랐다. 

“그야말로 자수성가의 표본이네요.” 

몇 달 후 할아버지는 백내장 수술을 받아야 했다. 늘 그랬듯이 고집부리며 결혼반지를 빼지 않겠다고 했다. 의사가 오염과 감염 위험성을 설명한 후에도 마찬가지였다.

“반지를 처음 낀 이후로 단 한 번도 뺀 적이 없어. 이제 와서 그럴 마음도 없고.”

할아버지는 의사에게 12년 전에 암으로 돌아가신 할머니와 함께 사교춤 추러 가는 일을 얼마나 좋아했는지 얘기했다. 내가 전혀 몰랐던 또 하나의 멋지고 놀라운 일이었다! 


“Don’t you love all this time we get to spend together here without the kids around?” I asked Bill after the surgery.

“I will say, it is nice to be away from those young’uns.” He smiled at me. “I know you need the break from ’em too. How are you feelin’ lately?”

“Fine, Bill,” I said. “Thanks for asking.” After all these years, my grandfather was actually offering me comfort. It was equally amazing to me that I could accept it. This man I’d avoided and been fearful of for most of my life was now becoming a cherished part of it, something I could never have imagined.

By the summer of 2016, the hearing in Grandaddy Bill’s right ear had gotten so bad that he grudgingly agreed to get a hearing aid. When the audiologist fit the device in his ear, Bill told her that it was too squeaky. I crossed my fingers that he would actually wear it—serving as his personal hearing aid had become a chore.

After the appointment, I asked Grandaddy Bill, “You ready to go to the gift shop and hunt down some chocolate?” “Is the Pope Catholic?” he said. Bill was a chocoholic who averaged 10 king-size candy bars a week. In addition to a lapful of chocolate, he also picked out several new polo shirts. As we finished up our shopping, he took out the hearing aid and handed it to me. “Throw this away,” he told me.


“여기서 애들 없이 저랑 둘이 보내는 이 시간이 마음에 들지 않으세요?”

수술 후에 할아버지께 물었다.

‘아이들한테서 떨어져 있으니 좋구나’라고 해야겠지. 너도 애들한테 벗어나 쉴 필요가 있다는 걸 알아. 요즘 기분은 좀 어떠니?”

할아버지가 내게 미소를 지었다. 

“좋아요, 빌 할아버지. 물어봐 주셔서 고마워요.”

이 모든 세월이 지나고 나니 할아버지는 실제로 내게 위안이 되었다. 내가 그걸 받아들일 수 있다는 점도 똑같이 경이로웠다. 거의 평생에 걸쳐 피했고 두려워했던 이 남자가 이제 삶의 소중한 일부가 되었는데, 상상할 수조차 없던 일이었다. 

2016년 여름 무렵, 오른쪽 귀의 청력마저 매우 나빠진 할아버지는 마지못해 보청기 사용에 동의했다. 장치가 귀에 꼭 맞게끔 청능사가 조절하는 동안 할아버지는 지나치게 날카로운 소리가 난다고 했다. 할아버지가 정말로 보청기를 사용하기를 기도했다. 할아버지의 인간 보청기가 되는 일은 힘들었으니까.  

청능사와 볼일이 끝나고 할아버지께 물었다. 

“선물 가게에 가서 초콜릿 좀 살 준비되셨어요?”

“두말하면 잔소리지.” 

할아버지는 일주일이면 초코바 큰 것을 평균 10개씩 먹는 초콜릿광이었다. 무릎 위에 가득 올린 초콜릿 외에 할아버지는 폴로 셔츠 몇 벌을 더 골랐다. 쇼핑을 마무리할 무렵, 할아버지는 보청기를 빼버리더니 내게 건넸다. 

“이거 내다 버려라.”


“But Grandaddy Bill…”

“I’m not wearing it, Mary, and that’s that,” he said. I was disappointed but knew when Bill had decided something, that was that.

Over the next two years, our visits to the VA became more frequent as Grandaddy Bill’s health continued to decline, Parkinson’s weakening his ability to swallow, his strength and his cognition. In March of 2018, Bill developed a nasty cough. When I came downstairs to his basement apartment to check on him one day, I found him lying in bed, his teeth chattering and his lips blue. “I’m calling an ambulance,” I said. He sat up. “No, Mary, you are not! I ain’t going into no hospital!”

“Sorry, Grandaddy Bill,” I said, laying my hand gently on his shoulder, “but it’s my job to take care of you.” It was the first time in our relationship that I’d overridden his authority, his autonomy. Our roles were shifting, and the more decisions I made for his care, the more I saw that my grandfather and I were cut from the same cloth. Like him, when I decided something, that was that. I wasn’t too much for him anymore. I was just what he needed.

In the following months, Grandaddy Bill fought one bout of pneumonia after another. The only place he still enjoyed visiting was the VA gift shop, a ritual after every appointment. When I took him in for lab tests on a blustery December day, he announced, “I want a World War II Veteran baseball cap.” We searched the gift shop shelves until another vet told us they no longer carried the WWII caps because there weren’t enough men left to buy them. We never got a chance to go to the gift shop again.

On New Year’s Eve 2018, I wheeled Grandaddy Bill into the VA emergency room. Through blue lips, he sang “Jingle Bells” over and over again. “Ouch,” he said as the nurses lifted him onto a stretcher. “What’s hurtin’, Bill?” I asked. “My pride,” he said in a moment of clarity before he began singing again. Then he stopped to look at me, and even through his confusion, he asked, “You okay, honey?”

“Oh, Bill, I’m going to miss you,” I said, squeezing his hand.

After this hospitalization, I moved him into a memory care assisted living facility, where he could get the specialized care he needed. Grandad-dy Bill died five months later. I knew I was blessed to have been given the opportunity—one that I’d taken, challenges and all—to get to know my grandfather before it was too late. He was indeed one cool dude.


“하지만 할아버지….” 

“그거 안 쓸 거다, 메리. 이러쿵저러쿵하지 마라.” 

실망스러웠지만 할아버지가 무언가를 결정하면 그걸로 끝이라는 걸 알았다. 

그 후로 2년에 걸쳐 할아버지의 건강이 계속 나빠지는 바람에 재향군인 병원에 가는 일이 더 잦아졌다. 파킨슨병 때문에 삼키는 능력과 힘, 인지 능력이 떨어졌다. 2018년 3월, 할아버지에게 심한 기침이 나타났다. 하루는 할아버지를 살펴보려고 지하 아파트로 내려갔는데, 침대에 누운 할아버지의 이가 덜덜 떨렸고 입술은 파랬다. 

“구급차를 부를게요.”

내가 말하자 할아버지가 바로 앉았다.

“아니다, 메리. 그러지 마라! 병원에는 안 간다!” 

“죄송해요, 할아버지. 하지만 할아버지를 돌보는 게 제 일이에요.”

할아버지의 어깨에 조심스럽게 손을 올리며 말했다. 우리 관계에서 처음으로 내가 할아버지의 권위와 자율성을 뛰어넘었다. 우리 역할이 바뀌었고 할아버지의 간호를 위해 내가 더 많은 결정을 내렸다. 그리고 우리가 매우 비슷하다는 사실을 더 확실히 알았다. 할아버지처럼 나도 무언가 결심하면 그걸로 끝이었다. 이제 나는 할아버지에게 너무 지나친 존재가 아니었다. 딱 할아버지가 원하는 사람이었다. 

그 후 몇 달 동안 할아버지는 폐렴과 싸웠다. 할아버지가 여전히 가고 싶어 하는 유일한 장소는 진료가 끝날 때마다 의식처럼 들르는 재향군인 병원 선물 가게였다. 바람이 거세게 불던 12월 어느 날 연구소 테스트를 위해 할아버지를 병원에 모시고 갔는데, 할아버지가 선언하듯 말했다.

“제2차 세계대전 참전 용사를 위한 야구 모자를 갖고 싶구나.”

모자를 살 사람이 충분히 남아 있지 않아서 제2차 세계대전 모자는 구비하지 않는다고 다른 참전 군인이 얘기해 줄 때까지 우리는 가게 선반을 뒤졌다. 그리고 다시는 선물 가게에 들를 기회가 없었다. 

2018년 12월 31일, 할아버지를 모시고 재향군인 병원 응급실로 향했다. 파란 입술 사이로 할아버지는 ‘징글벨’을 부르고 또 불렀다. 

“아프구나.”

간호사들이 들것으로 옮길 때 할아버지가 말했다.

“어디가 편찮으세요?”

“내 자존심.”

다시 노래를 시작하기 전 맑은 정신일 때 할아버지가 대답했다. 그러더니 노래를 멈추고 혼란스러운 와중에도 날 보고 물었다. 

“아가야, 너는 괜찮니?”

“오, 할아버지. 보고 싶을 거예요.”

할아버지의 손을 꽉 쥐면서 대답했다.  

그 입원 이후 할아버지를 기억 치료 요양 시설(알츠하이머병이나 치매처럼 기억력에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 적절한 환경을 갖춘 치료 시설-역주)로 모셨고, 할아버지는 그곳에서 필요한 특수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 그리고 5개월 후에 돌아가셨다. 너무 늦기 전에 할아버지를 제대로 알 기회-내가 포착했던 기회와 힘들었던 일을 비롯한 모든 것-를 누리는 축복을 받았다는 걸 알았다. 할아버지는 진정 끝내주는 사람이었다.


우편 보내실 곳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고객관리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계좌안내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

우편 보내실 곳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고객관리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계좌안내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