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ING WITH PAIN

고통 중에도 춤을


Guideposts 2020 | 05


Living with pain

Guideposts 2020 | 05

고통 중에도 춤을 


Dancing was her life. So was pain

춤은 그의 인생이었다. 고통도 그랬다.


BY DEBORAH NOVAK, Huntington, West Virginia

데보라 노박   웨스트버지니아주 헌팅턴



Light streamed in through the windows of the yoga studio. I stood gingerly on my mat and took a deep breath, trying to keep myself centered. Focused. Calm. But I’d never been more afraid in my life. I exhaled. Pain knifed through my left leg. My hip had gone out during a performance of The Nutcracker a few weeks ago, and it wasn’t healing. Will I ever dance again? I asked.

I had been front and center in the “Waltz of the Flowers,” doing piqué turns in my hot-pink tutu, when I felt something shoot through my left hip. From that second on, every movement I made was torture. Standing en pointe, I gritted my teeth. I knew I had to carry on with the performance. But the doubts rolled in. This is what you get, I said to myself. Ballet is for young people. You’re 60 years old. Somehow I made it offstage and collapsed onto a chair, trying to breathe through the pain.


요가 스튜디오 창문으로 빛이 비쳤다. 나는 매트 위에 조심스럽게 선 채로 중심을 잡으려고 애쓰며 숨을 깊이 들이쉬었다. 집중하며. 차분하게. 그러나 인생에서 이보다 더 두려웠던 적은 없었다. 숨을 내쉬었다. 통증이 왼쪽 다리를 쿡쿡 찔렀다. 몇 주 전 <호두까기 인형(The Nutcracker)> 공연 중에 고관절이 틀어졌는데, 좀처럼 낫질 않았다. 

‘다시 춤을 출 수 있을까?’

나는 물었다. <꽃의 왈츠(Waltz of the Flowers)> 때, 선두를 맡아 핫핑크 튀튀를 입고 삐께 턴을 하는데, 왼쪽 골반에서 뭔가 찌릿하는 느낌이 있었다. 그 순간부터, 매 동작이 고문이었다. 발끝으로 설 때는 이를 악물었다. 공연을 계속해야 한다는 걸 알았다. 그런데 의심이 밀려왔다. 

‘이게 네가 얻은 결과야.’ 

혼잣말을 했다. 

‘발레는 젊은 사람들이 하는 건데. 넌 예순이잖아.’ 

어쨌든 자연스럽게 무대를 벗어나 고통 중에 숨 쉬려고 노력하며 의자 위로 푹 쓰러졌다. 


I’d been a ballerina forever. My mother signed me up for lessons here in Huntington, West Virginia, when I was five years old—a tomboy who loved football and hated tutus. I didn’t really fall in love with dance until six years later. That was when I discovered it was the closest thing to flying. I would run across the floor, leap into a grand jeté and soar through the air. Then I’d do one pirouette. Two. Three. Spinning like a top, I’d never felt so alive.

In high school, I danced with a ballet company in Huntington, working my way up to soloist. Then I moved to New York City, where I split my time between ballet and, my other love, theater. I studied at the American Ballet Theatre and at NYU’s Tisch School of the Arts, where I was taught by many of the greats. When I finished acting class with Stella Adler on 55th Street, I would walk up to 61st to take $3 dance classes at ABT with Patricia Wilde. My very first job out of school was as a dancer in the national touring company of Jesus Christ Superstar. Dancing and acting worked hand in hand.

Life in New York in the early 1970s was thrilling. But it wasn’t all footlights and standing ovations. I had the usual challenges that plague ballerinas. Cramping calves. Bleeding toes. I developed sciatica. The pain was unrelenting, chronic. But I pushed through.

As much as I loved ballet, I decided to hang up my pointe shoes when I turned 23. Most of my friends quit ballet around that time. It was a cultural thing. People didn’t realize back then that ballerinas could dance well into their twenties and beyond. I didn’t see anyone much older than me onstage. Most dancers became teachers and choreographers. I felt as if ballet was a passion for a younger person—the girl I had been. As Paul said in Corinthians, it was time to “put away childish things.” I had my acting career to consider. After all, I’d landed a recurring role on As the World Turns and was taping all the time.


평생 발레리나로 살아왔다. 내가 다섯 살 때, 엄마가 축구를 사랑하고 튀튀를 싫어하던 말괄량이 소녀인 나를 여기 웨스트버지니아주 헌팅턴에 있는 클래스에 등록시킨 것이다. 6년이 지나도록 정말이지 춤과 사랑에 빠지지 않았다. 그때 발레가 비행과 가장 가까운 것임을 깨달았다. 플로어를 가로질러 달리면서, 펄쩍 뛰어 그랑쥬떼를 하며, 허공으로 날아올랐다. 한 번의 피루엣을 성공했다. 그리고 두 번. 세 번. 팽이처럼 빙빙 회전하는 동안은 전혀 살아 있다는 느낌이 안 들었다.

고등학교 때, 헌팅턴의 한 발레단에서 춤추며 솔리스트가 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 그 후 뉴욕으로 이사를 가면서, 시간을 발레와 나의 또 다른 사랑인 연극을 위해 나누어 썼다. 나는 아메리칸 발레시어터(American Ballet Theatre)와 뉴욕대 예술학부에서 공부하며, 그곳에서 여러 대가들의 가르침을 받았다. 55번가에서 스텔라 애들러의 연기 수업이 끝나면, 아메리칸 발레시어터에서 패트리샤 와일드에게 3달러 짜리 댄스 수업을 듣기 위해 61번가까지 올라갔다. 학교를 떠나 가장 처음 가진 직업은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Jesus Christ Superstar)>의 전국 순회 공연단 무용단원이 된 것이었다. 춤과 연기는 밀접히 연관되어 작용했다.

1970년대 초반의 뉴욕 생활은 스릴이 넘쳤다. 그러나 그 스릴은 갈채와 기립박수만 말하는 것이 아니다. 나는 발레리나를 괴롭히는 전형적인 어려움을 겪었다. 종아리 근육 경련. 발가락 출혈. 좌골신경통도 생겼다. 고통은 수그러들지 않았고, 만성적이었다. 그러나 나는 밀고 나갔다.

발레를 무척이나 사랑했지만, 스물세 살이 되면서 발레슈즈를 벗기로 결심했다. 대부분의 친구들도 그때쯤 발레를 그만두었다. 문화가 그랬다. 당시 사람들은 발레리나가 20대 이후에도 춤을 잘 출 수 있을지 의심했다. 나는 무대에서 나보다 훨씬 연장자인 사람은 보지 못했다. 대부분의 무용수들은 선생님과 안무가가 되었다. 발레는 마치 나도 한때 속했던, 젊은 사람들만의 열정 같았다. 고린도서에서 바울의 말처럼, 이제는 ‘어린아이의 일을 버릴’ 때였다. 나는 내 연기 경력을 고려해야 했다. 결국 <애즈 더 월드 턴(As the World Turns)>에서 조연을 맡았고, 매번 녹화를 했다.


Still, saying goodbye to ballet left a hole in my heart. Nothing could match the sense of exhilaration I felt when movement melded to music and I lost myself in dance.

I tried to stay active. I went to the gym. Took aerobics classes. Lifted weights. These were the early days of Jane Fonda exercise tapes; it was still unusual to see a woman sweat. But I was persistent and kept my body in shape.

After 20 years of New York City apartment living, my husband—a filmmaker and writer—and I wanted a house of our own. We moved back to my hometown of Huntington, where I joined the Y. One day, I was at the gym there, trying to stretch out some of the tightness that radiated from my hip all the way down my leg. Music was blaring. TVs droned on in front of me. Somehow through all the noise, I heard a whisper: “I made you for other things, Deborah.”

I knew it was the voice of God. What does he mean? I thought.

I looked at the Nautilus machines. An idea formed in my mind. An image of the girl I had once been—joyful, leaping, turning. A ballerina. The gym around me fell away, and I was in a studio again. I went to one of the machines and used it as a ballet barre, holding on with one hand, raising and unfolding one leg in a developpé. Then I let go of the barre and…balanced! Was my developpé perfect? Far from it. But my extension was full and my placement firm. I was 48. After all these years, I could still dance!

I knew that returning to ballet wouldn’t be easy. I didn’t even have dance shoes and clothes anymore. I ordered tights and pointe shoes through a discount catalog. I didn’t realize until the shoes arrived that they were made of flexible plastic—with gel padding! So comfortable. Like sneakers. No break-in time necessary. Just right up en pointe. And the tights were compression. So much easier for extensions. And perfect for older ballerinas. Maybe I could do this after all.



아무리 그래도, 발레와의 이별은 가슴에 구멍을 남겼다. 음악에 동작이 녹아들고 춤에 몰두할 때 느끼던 흥분과 똑같은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나는 활동적인 생활을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체육관에 다녔다. 에어로빅 수업도 들었다. 역기운동도 했다. 당시는 제인 폰다의 운동 비디오가 나온 초창기였는데도, 아직 땀에 젖은 여성의 모습은 보기 드물었다. 그러나 끈덕진 성질의 나는 체력 관리를 계속했다.

20년 동안 뉴욕시 아파트에 살고 나니, 영화제작자 겸 작가인 남편과 나는 우리 집이 갖고 싶어졌다. 우리는 내 고향인 헌팅턴으로 돌아갔고, 그곳에서 나는 YMCA에 가입했다. 하루는 YMCA 체육관에서 엉덩이에서 다리 아래까지 쭉 퍼지는 어떤 긴장감을 풀려고 하고 있었다. 음악이 쾅쾅 요란하게 울렸다. 내 앞쪽의 텔레비전에서는 계속 웅얼거리는 소리가 들렸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그런 모든 소음 중에서 어떤 속삭임을 들었다. 

“나는 너를 다른 일을 위해 만들었단다, 데보라.”

하나님의 목소리임을 알 수 있었다. ‘무슨 뜻이지?’ 하고 생각했다.

웨이트 트레이닝 기계를 쳐다봤다. 마음속에서 어떤 생각이 형태를 이루기 시작했다. 한때 기쁨에 뛰어오르고, 터닝을 하던 소녀의 이미지. 발레리나였다. 나를 둘러싼 체육관의 모습이 사라지고, 나는 다시 스튜디오에 있었다. 운동기계로 다가가 그것을 발레 바처럼 써서, 한 손으로 잡고, 데벨로뻬 자세로 한쪽 다리를 올렸다 펴보았다. 그런 다음 바를 놓았는데… 균형이 잡혔다! 내 데벨로뻬가 완벽했냐고? 한참 멀었다. 그러나 다리가 완전한 높이까지 뻗었고, 자세 정렬과 체중 분배도 안정적이었다. 내 나이 마흔여덟이었다. 수년이 지났지만, 나는 아직 춤을 출 수 있었던 것이다!

발레리나로의 복귀가 쉽지 않을 것임을 알았다. 더 이상 발레슈즈와 옷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나는 할인 카탈로그에서 타이즈와 포인트 슈즈를 주문했다. 신발이 도착하기 전까지, 그것이 젤 패딩이 있는 유연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는지도 몰랐다! 너무 편했다. 마치 운동화처럼. 적응하는 시간은 필요 없다. 바로 발끝으로 서기. 그리고 타이즈는 압박 타이즈였다. 익스텐션 동작이 훨씬 쉬웠다. 그리고 나이 많은 발레리나에게 완벽했다. 어쩌면 발레를 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I started taking classes in Huntington. My classmates were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y were delightful. I thought of myself as I had been at that age, so full of wonder and ambition. The teacher was in her seventies. If I ever tried to make the excuse “I can’t do this. I’m too old,” she would just give me a look. As if to say, Try me, Deborah. Watching her dance reminded me that age was no barrier to ballet. 

When that teacher got sick and briefly had to close her studio, I moved to classes at the Charleston Ballet. The next oldest student there was 25, but that didn’t bother me. I danced my heart out. Jumping, leaping and spinning. This was what God made me for!

One day the artistic director took me aside. “Would you like to dance with our company?”

“Absolutely!” I said. I loved to dance for myself, but I was thrilled to think that I could perform ballet again.

Of course the pain was still there. But whenever I suffered aches, I remembered another artist who’d pushed through chronic pain. French Impressionist painter Pierre-Auguste Renoir had been confined to his home during his later years, nearly paralyzed by rheumatoid arthritis. Yet he’d kept painting. Fluid brushstrokes, vivid colors. He’d captured Mediterranean landscapes, the drama of classical mythology, wistful bathers. A true master. Painter Henri Matisse, 28 years his junior, often came to visit him. 

“Why do you continue to paint when you are in such agony?” Matisse is said to have asked him.

Renoir replied, “The pain passes, but the beauty remains.”

These words became my mantra. When my sciatica flared up, I coaxed my spine back into alignment by rocking on a foam roller. I found a good physical therapist and did the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exercises she recommended. I practiced yoga breathing to calm my mind and nervous system and to focus on something beyond the pain. I repeated to myself, “The pain passes, but the beauty remains.”

Then my hip had given out during The Nutcracker. Afterward nothing helped—not foam rolling, not stretching, not yoga breathing.

Here I was in the yoga studio, my left side throbbing, unable to focus on anything but the pain. I collapsed onto the mat, closed my eyes and surrendered. If you want me to stop dancing, God, make it very clear to me. I promise I’ll do what you want.

Almost immediately, I heard a thunderous voice. “Dance!” My eyes sprang open. There was no doubt about the path God saw for me. I knew what I had to do.


나는 헌팅턴에서 수업을 듣기 시작했다. 같은 반 동료들은 고등학생과 중학생이었다. 그들은 매우 유쾌했다. 내 스스로를 경이로움과 야망으로 가득했던, 그 시절의 나라고 생각했다. 선생님은 70대였다. 내가 ‘난 이걸 할 수 없어. 너무 늙었어’라고 변명이라도 한다면, 선생님은 나를 넌지시 쳐다볼 것이다. ‘어디 한번 해봐, 데보라’라고 말하듯이. 그의 춤을 보고 있으면, 그 나이가 발레에 장벽이 될 수 없음을 일깨워 주었다. 

선생님이 몸이 안 좋아 스튜디오를 잠시 닫아야 했을 때, 나는 찰스턴 발레단으로 수업을 옮겼다. 나 다음으로 나이가 많은 학생이 스물다섯 살이었지만, 별로 신경 쓰지 않았다. 춤에 온 힘을 쏟아부었다. 점프하고, 뛰어오르고, 회전하며. 이것이 바로 하나님께서 나를 만드신 목적이다!

어느 날 예술감독이 나를 한쪽으로 데리고 갔다. 

“우리 무용단과 함께 일해 보시겠어요?”

“무조건이요!” 

이렇게 말했다. 나를 위해 춤추는 것도 좋았지만, 발레 공연을 다시 할 수 있다고 생각하니 설레었다.

물론 고통은 여전했다. 그러나 통증이 느껴질 때마다, 만성통증을 겪어 냈을 또 다른 예술가를 기억했다. 프랑스 인상주의 화가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는 말년에 류머티즘성 관절염으로 거의 마비되어 집에 갇혀 지냈다. 그러나 그는 계속 그림을 그렸다. 유려한 붓놀림, 선명한 색상. 그는 지중해의 풍경, 고대 그리스·로마 신화의 연극, 생각에 잠긴 목욕하는 여인들을 그림에 담아 냈다. 28년 후배인 화가 앙리 마티스가 그를 종종 방문했다.

“이런 극도의 고통 중에도 그림을 계속 그리는 이유가 뭡니까?” 

마티스가 그에게 물었다고 한다. 르누아르는 대답했다.

“고통은 지나가 버리지만, 아름다움은 영원히 남는다.”

이 말은 내가 기도처럼 외는 만트라가 되었다. 좌골통이 갑자기 심해지면, 폼롤러 위에서 몸을 부드럽게 흔들며 척추를 달래어 다시 정렬시켰다. 훌륭한 물리치료사도 만나서 그가 권하는 스트레칭과 강화 운동을 했다. 요가를 연습하며, 마음과 신경을 안정시키고 고통을 넘어서는 것에 집중하기 위해 호흡을 했다. 나는 스스로에게 되뇌었다. 

“고통은 지나가 버리지만, 아름다움은 영원히 남는다.”

그러다 <호두까기 인형> 공연 중에 고관절이 틀어진 것이다. 이후로 아무것도 도움이 되지 않았다. 폼롤러도, 스트레칭도, 요가 호흡법도.

여기 요가 스튜디오에 있는데, 몸 오른쪽이 욱신거려 통증 외에는 아무것도 집중할 수 없었다. 나는 매트에 풀썩 쓰러져, 눈을 감고 항복했다. 

‘제가 춤추는 걸 그만두길 바라신다면, 주님, 제게 확실히 말씀해 주소서. 당신이 원하시는 대로 하겠다고 약속하겠습니다.’

거의 바로, 우레 같은 목소리가 들렸다. 

“춤!” 

눈이 번쩍 뜨였다. 하나님께서 보신 나의 길은 의심의 여지가 없었다. 나는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고 있었다.


Soon after, a friend put me in touch with an orthopedic specialist in Columbus, Ohio. He worked with athletes and was known for fast recoveries. I went to see him. After looking at my X-rays, the doctor said that I had been dancing with no cartilage whatsoever in my hip, just bone on bone. No wonder I was in such pain.

“You need a hip replacement,” he told me.

A hip replacement? could I really dance again after major surgery? I wondered, then caught myself. God had spoken. I would set my concerns aside and put my trust in him.

But lying in my hospital bed after the surgery, I felt the doubts return. What did I let them do? What if my body’s never the same?

A chipper nurse came into my room and said, “We’re going to walk now.”

I had been awake only an hour. “Oh, no, we’re not.”

He insisted on rolling me out of bed and helping me stand, supported by a walker. “Now take a step.”

“I can’t.”

“Just one. I’m right here with you.”

I took a step. Oh my goodness! I was shocked. There was no pain. You can walk again, Deb! I felt elated. Invigorated. I looked at the metal frame of the walker. Just as I had at the gym all those years ago, I felt the hospital drop away. I was in a ballet studio again. I envisioned the walker as a barre. Carefully I lifted my leg to touch it. The range of motion in my new hip was incredible.

The nurse nearly fell down laughing. “You’re going to be fine.”

Thank you, Lord, for making my path clear. In that moment I knew that I would return to ballet. And just four months later, after a smooth rehabilitation period, I found myself dancing in Swan Lake, twirling in the swan corps and the whimsical Hungarian czardas. The pain has passed, but the beauty remains.


바로, 한 친구가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 있는 정형외과 전문의와 연결시켜 주었다. 그는 운동선수들을 진료했고 빨리 회복시키는 것으로 유명했다. 그를 만나러 갔다. 내 엑스레이를 보더니 의사는 내가 고관절에 연골이 정말 하나도 없이, 뼈대 뼈만 붙은 상태로 춤을 춘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게 고통을 느낀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었다.

“고관절 치환술이 필요합니다.“

그가 내게 말했다.

‘고관절 치환술? 대수술 후에 정말 다시 춤을 출 수 있을까?’

나는 의아해하다가 생각을 멈추었다. 하나님께서 이미 말씀해 주셨다. 나는 걱정을 접어 두고 하나님을 믿기로 했다.

그러나 수술 후 병원 침대에 누워 있다 보니, 의심이 되살아나는 것 같았다. 

‘내가 왜 수술을 하게 뒀지? 내 몸이 예전 같지 않으면?

쾌활한 간호사가 내 방으로 들어오더니 말했다.

“우리 이제 걸어 볼 거예요.”

이제 깨어난 지 겨우 한 시간 되었는데. 

“아, 아니요, 걸을 수 없어요.”

그는 침대에서 나를 굴려서 보행기의 도움을 받아 일어설 수 있게 도와주겠다고 밀어붙였다. 

“이제 한 걸음 내딛어 보세요.”

“못하겠어요.”

“딱 한 발자국만. 제가 바로 옆에 있잖아요.”

한 걸음을 걸었다. ‘아니, 이럴 수가!’ 충격적이었다. 통증이 없었다. 

‘넌 다시 걸을 수 있어, 뎁!’ 

마냥 행복했다. 기운이 났다. 보행기의 금속 프레임을 봤다. 몇 년 전 체육관에서처럼, 병원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느꼈다. 나는 다시 발레 스튜디오에 있었다. 보행기를 바라고 상상했다. 조심스럽게 다리를 들어 만져 보았다. 새로 생긴 고관절의 운동 범위는 믿을 수 없었다.

간호사는 웃다가 거의 넘어질 뻔했다. 

“괜찮을 거예요.”

‘주님, 제가 갈 길을 확실히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 순간 나는 발레리나로 돌아갈 것을 알았다. 그리고 불과 4개월 후, 순조로운 재활 기간을 거친 후, 나는 스완 레이크(Swan Lake) 무용단에서 백조 군무들과 빙그르르 회전하고 즉흥적인 헝가리 차르다시 음악에 맞춰 춤추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했다. 고통은 지나갔지만, 아름다움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우편 보내실 곳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고객관리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계좌안내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

우편 보내실 곳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고객관리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계좌안내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