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BEGINNINGS

하나님의 시간


Guideposts 2021 | 05


NEW BEGINNINGS

Guideposts 2021 | 05

하나님의 시간


I was happily married, happily employed, 

just plain happy. Until the accident

나는 행복한 결혼생활과 직장생활을 누리는 그저 행복한 사람이었다. 

그 사고를 마주할 때까지는 그랬다.


By PAUL FOCKLER, Houston, Missouri

폴 포클러  미주리주 휴스턴 



I couldn’t find my stocking cap. That’s how it all started. Though looking back on that day, I can see that isn’t what stands out. The weird thing is, I was only an observer to everything that happened afterward. But nothing would ever be the same for me again.

December 6, 2007. I’d rushed home from my job as a department manager at Walmart. I’d been there 11 years and, at 37, planned on retiring there. For a guy who never went to college, I felt lucky to have a good-paying job and wanted to hang on to it. I’d always made the safe choice in everything I did. All this talk about God having a plan. I wasn’t sure about that—at least for me. Better not to take chances.

The roads were starting to ice up. I was going out again to work on our church float for the Christmas parade. But where was my cap? Ah, yes, there it was, tossed in the closet. It would be getting dark soon. I gave my wife, Melissa, a kiss and headed out the door.

Traffic was busy on Highway 63. A quarter mile ahead was a bridge that spans Indian Creek. Suddenly everything came to a halt. I edged forward. Just before the bridge, I saw it. A sheriff’s deputy’s Crown Vic on the right side of the road. Crumpled. A few feet away was a full-size pickup. Damaged but not as badly. Must have been a horrible impact. The icy bridge.

I parked on the nearest crossroad and ran to the patrol car. I peered through the driver’s side window. Two officers in front, a guy behind the wheel and a woman in the passenger seat. Two prisoners in the back, a woman and a man. All unconscious. A grisly scene. I felt sick. Worse, I felt helpless.

A woman came up. “I’m a nurse,” she said.

Thank God! “What do we do?” I asked her.

“There’s not much we can do. We don’t have the equipment,” she said. “I called 911.”

I turned to the car. The driver was moving. 


겨울용 털모자를 찾을 수 없었다. 그렇게 모든 일이 시작됐다. 그날을 돌이켜 생각해 보면 그게 눈에 띄는 일은 아니었지만 말이다. 이상한 건 내가 그 후에 벌어진 모든 일을 그저 지켜보는 입장이었다는 거다. 하지만 내게는 그 무엇도 다시는 똑같을 수 없었다. 

2007년 12월 6일이었다. 부서 담당자로 일하는 월마트에서 급히 귀가했다. 그곳에서 11년째 근무한 나는 37세였고 나중에 거기서 은퇴할 생각이었다. 대학 문턱도 밟지 못한 내가 급여가 괜찮은 직업을 가졌으니 행운이라고 생각했고, 계속 유지하고픈 마음이었다. 언제나 내가 하는 모든 일에서 안전한 선택을 했다. 하나님께서 계획을 갖고 계신다는 그런 얘기는 확신할 수 없었다. 적어도 나한테는 아니었다. 모험은 하지 않는 편이 나았다.  

도로에 얼음이 쌓이기 시작했다. 우리 교회의 크리스마스 퍼레이드 장식 차량 작업을 하려고 다시 나가는 중이었다. 하지만 모자는 어디 있지? 아 맞다. 옷장 안에 던져 넣었지. 곧 어두워질 참이었다. 아내 멜리사에게 입을 맞추고 문으로 향했다. 

63번 고속도로는 차량으로 붐볐다. 400m 앞에는 인디언 크리크에 놓인 다리가 있었다. 갑자기 모든 게 멈춰 섰다. 앞으로 살금살금 나아갔다. 교량 직전에서 나는 보았다. 도로 오른편에 보안관보 크라운 빅이 찌그러져 있었다. 조금 떨어진 곳에 표준형 픽업트럭이 있었다. 망가졌으나 그렇게 심하지는 않았다. 분명 무시무시한 충격이었을 터다. 얼어붙은 다리였으니까. 

가장 가까운 교차로에 차를 대고 순찰차로 달려갔다. 운전석 옆 유리창을 들여다보았다. 앞에 경찰 둘이 있었는데 운전석에는 남자, 조수석에는 여자가 있었다. 뒤에는 수감자 둘이 있었고 여자와 남자였다. 모두 의식이 없었다. 소름 끼치는 장면이었다. 속이 메스꺼웠다. 더 끔찍한 건, 내가 어찌할 수 없다는 거였다. 

한 여자가 다가왔다.

“난 간호사예요.”

‘하나님, 감사합니다!’ 나는 여자에게 물었다. 

“뭘 해야 하죠?”

“할 수 있는 게 많지 않아요. 장비가 없으니까요. 911에 전화했어요.”

차 쪽으로 몸을 돌렸다. 운전자가 움직이고 있었다.


“Stay still,” I said, trying to keep my voice calm and firm. 

“Help is coming.” I wasn’t sure he heard me, but he didn’t budge. “It’s going to be okay.”

I went to the pickup truck. The driver and his young son were conscious but in shock. “Stay still,” I repeated. By then, the paramedics had arrived. They used the Jaws of Life to open the patrol car. They removed the victims with such skill and were so cool under pressure. Then everyone was on the way to the hospital. I said a prayer for the trauma team. Their work was just beginning. Yet I felt strangely numb. No, helpless. I wondered if anyone in the patrol car would survive.

It was too late to continue on to church, so I got back in my car and headed home. When I came through the door, Melissa looked startled. “Are you okay?” she asked.

I told her everything. “They were dying, and I didn’t know what to do.”

“You did everything you could,” Melissa said. “If it wasn’t for you looking for your hat, you could have been in the wreck. You could have been killed. Think about that.”

I had no appetite for dinner. I sat on the couch in silence, replaying every moment. The faces of the victims, especially the female officer, so young…

“I’ve got to call Mom,” I finally said. A retired nurse, she might be able to tell me if I’d overlooked something.

“What more could you have done, Paul?” she said. Mom wasn’t one to mince words. “You’re not a paramedic. You’re a manager at Walmart.”

That night, I barely slept. Or the night after that. News coverage didn’t help. The sheriff’s deputy had slid over the center line. The woman in the passenger seat, Laura Whittingham, was a student at the sheriff ’s academy and volunteering as a prisoner transport officer. She was 35—two years younger than me—and died at the hospital. Married with young children. One of the prisoners had died too. The others all pulled through. Laura Whittingham’s death hit me hard. Those poor kids, robbed of their mother. If only I’d been able to help.


“가만히 계세요.” 

차분하고도 확고한 목소리를 내려고 애쓰며 말했다. 

“도와줄 사람이 오고 있어요.”

내 얘기를 들었는지는 확실치 않았으나, 그는 꼼짝도 하지 않았다.

“괜찮을 거예요.” 

픽업트럭으로 다가갔다. 운전자와 그의 어린 아들은 의식이 있었지만 충격에 휩싸여 있었다.

“가만히 계세요.” 

반복해서 말했다. 그때쯤 응급의료대원들이 도착했다. 그들은 ‘조스 오브 라이프(사고 차량에 갇힌 사람을 꺼내는 데 쓰는 공구‒역주)’를 써서 순찰차를 열었다. 그런 기술로 피해자들을 옮기고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침착하게 행동했다. 그러고 나서 모두 병원으로 향했다. 외상 치료 팀을 위해 기도했다. 그들의 일은 이제 막 시작이다. 하지만 묘하게 넋이 나간 기분이었다. 아니다. 무력했다. 순찰차에 있던 누구라도 살아남을 수 있을까.  

계속해서 교회로 가기에는 너무 늦었기에 내 차로 돌아와서 집으로 향했다. 문으로 들어섰더니 멜리사가 깜짝 놀랐다. 

“당신 괜찮아요?”

아내에게 모든 이야기를 털어놓았다.

“사람들이 죽어 가고 있는데 뭘 해야 하는지 알 수 없었어요.”

“당신은 할 수 있는 걸 다 했어요. 모자를 찾지 않았다면 당신이 그 충돌 사고에 있었을 수도 있어요. 죽었을 수도 있다고요. 그걸 생각해요.” 

저녁 먹을 마음이 나지 않았다. 말없이 소파에 앉아서 모든 순간을 되새겼다. 피해자들의 얼굴, 특히 그 여경, 아주 젊은…. 

“어머니께 전화해야겠어.”

마침내 말했다. 어머니는 은퇴한 간호사니까 내가 못 보고 지나친 게 있는지 말해 줄 수 있을지도 모른다. 

“폴, 네가 뭘 더 할 수 있었겠니? 넌 응급의료대원이 아니고 월마트 관리자야.”

어머니는 거르지 않고 할 말을 다 하는 사람이다. 

그날 밤은 거의 잠을 이루지 못했다. 그다음 날 밤에도 그랬을 거다. 뉴스 보도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보안관보는 중앙선을 넘어 미끄러졌다. 조수석에 있던 여성 로라 휘팅엄은 보안관 학교 학생이었고 재소자 수송 경찰 업무를 자진해서 맡았다. 35세‒나보다 두 살 어렸다‒였는데 병원에서 세상을 떠났다. 기혼이었고 어린 아이들이 있었다. 수감자 한 명도 사망했다. 다른 이는 모두 고비를 넘겼다. 로라 휘팅엄의 죽음이 내게 큰 타격을 안겼다. 엄마를 잃은 불쌍한 아이들. 내가 도울 수 있었더라면. 


If only. My life had a few of those. I’d never needed some deep sense of purpose in my job. I wasn’t cut out to be one of those people. When I was in the fourth grade, my parents had pulled me out of public school and enrolled me in a private school, with barely a dozen students, run by our church. Our household was in a season of chaos, and my parents wanted me in a supportive environment. Most years, I was the only student in my grade. I struggled with motivation and graduated a year late. I thought there was something wrong with me. My self- confidence evaporated. I passed up all kinds of opportunities. A mission trip to Africa. Pursuing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performing arts, which I loved. College. I couldn’t imagine pushing myself that hard. Eventually good things had come my way. I met Melissa, a teacher, and got married. Was hired at Walmart and earned promotions. I’d done all right.

Now I was desperate to make a change. I kept thinking about the paramedics. Finally I brought up the topic to Mom.

“Is that what you want to be doing later in life?” she said. “Climbing in and out of wrecked cars? Why don’t you think about nursing?”

“What?” I said. “You know I didn’t go to college.”

“I wouldn’t suggest it if you couldn’t do it, Paul,” she countered. “You need to start believing in yourself and stop playing it so safe.” Like I said, Mom is blunt.

College? Nursing school? It all seemed too much. Still, I couldn’t ignore the feeling inside me. So I looked into nursing. Because I hadn’t graduated from an accredited school, I would have to get my GED first. And take the ACT exam. All this before I could even apply to college.

“You can’t give up,” Melissa said. “I’ll help you study. Do you ever wonder if God is trying to tell you something? That maybe there is a plan?” If Melissa believed in me and Mom did too, why couldn’t I? 

I started college in August 2008 and two years later was accepted into a nursing program. I stayed on part-time at Walmart to help pay the bills. It was a million times harder than I’d even imagined. There were a million times I wanted to quit. But one thing helped keep me going: Laura Whittingham. If only I could have done something.

She’d been a student too, with her own dreams. Occasionally, I tried to contact her family. I’d always come up short. But I never forgot her. Never forgot my feeling of helplessness.

I graduated in 2012—top of my class, no less. A registered nurse! Still I doubted if I could keep everything that I’d learned in my head.

“You’re never going to remember every detail. Nursing is complex,” Mom told me. “What’s most important in nursing is showing you care.”

I was amazed to discover that I was good at it. I too knew about fear and worry. I understood people questioning God. In sharing with patients, I began to feel a presence I had never really experienced.


‘그랬다면 좋았을 텐데.’ 

살아오면서 그런 게 몇 가지 있었다. 내 일에는 심오한 목표 의식이 전혀 필요하지 않았다. 나는 태어날 때부터 그런 사람에 어울리지 않았다. 부모님은 내가 4학년 때 공립학교에서 빼내어 사립학교에 등록시켰는데, 학생이 겨우 12명이고 우리 교회에서 운영하는 곳이었다. 우리 가정은 혼돈의 시기였고 부모님은 내가 힘이 되어 주는 분위기에서 지내기를 바랐다. 여러 해 동안 나는 학년의 유일한 학생이었다. 동기 부여 때문에 고생했고 한 해 늦게 졸업했다. 스스로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으며 자존감이 사라졌다. 갖가지 기회를 포기했다. 아프리카 선교 여행이 그랬고, 내가 아주 좋아하던 공연 예술 관련 직업 훈련을 받는 일도 그랬다. 대학은 나 자신을 그렇게 힘들게 밀어붙일 상상을 하는 것조차 힘들어서 포기했다. 마침내 내게도 좋은 일이 생겼다. 교사인 멜리사를 만나 결혼했고, 월마트에 채용되어 승진했다. 모든 걸 제대로 해냈다. 

이제는 간절히 변화를 이루고 싶었다. 응급의료대원들을 계속 생각했다. 결국 어머니에게 그 이야깃거리를 꺼냈다. 

“그게 인생 후반기에 하고 싶은 일이니? 심하게 망가진 차에 드나드는 일이? 간호학을 생각해 보는 건 어떠니?” 

“뭐라고요? 내가 대학에 가지 않은 걸 아시잖아요.”

“못하겠다면 권하지 않아, 폴.” 

어머니가 반박했다. 

“너 자신을 믿고 몸을 사리는 걸 그만둬야 해.”

얘기했듯이, 어머니는 단도직입적이다. 

대학교? 간호학교? 모두 과해 보였다. 하지만 내면의 느낌을 무시할 수 없었기에 간호학을 자세히 알아보았다. 나는 인가받은 학교를 졸업하지 않았으므로 우선 고졸 학력 인증서를 따고 대학 입학 학력고사를 치러야 했다. 대학에 지원하기도 전에 이 모든 일을 해야 하다니.   

“포기하면 안 돼요. 당신 공부를 도울게요. 하나님께서 당신에게 무언가 얘기하려고 애쓰시는 중이고, 계획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해 봤어요?”

멜리사가 말했다. 아내가 날 믿고 어머니도 그렇다면 내가 왜 그러지 못하겠는가?  

2008년 8월에 대학 생활을 시작했고 2년 후에는 간호학 과정에 입학했다. 비용을 보태려고 월마트에서 계속 시간제로 일했다. 생각했던 것보다 100만 배는 더 힘들었다. 그만두고 싶은 순간이 무수히 많았다. 하지만 한 가지가 날 계속 나아가게 했다. 로라 휘팅엄. 내가 무언가를 할 수 있었더라면. 

로라도 꿈을 가진 학생이었다. 가끔 로라의 가족과 연락하려고 애써 보기도 했다. 나는 언제나 부진했지만, 로라와 내가 느꼈던 무력감은 절대 잊지 않았다. 

2012년에 정확히 수석으로 졸업했다. 등록 간호사라니! 그래도 배운 걸 내가 계속 기억할 수 있을지 의심스러웠다. 

“모든 세부 사항은 절대 기억할 수 없어. 간호는 복잡하니까. 간호에서 가장 중요한 건 네가 마음을 쓰고 있다는 걸 보여 주는 거야.”

어머니의 얘기였다. 

내가 간호 업무에 뛰어나다는 걸 알고는 놀랐다. 나는 공포와 걱정을 알았다. 하나님께 의문을 가지는 사람을 이해했다. 환자와 생각을 나누면서 한 번도 경험한 적 없는 영향력을 느끼기 시작했다. 


One day, I was sitting with a family that had just lost a loved one. I knew they were believers. “He didn’t suffer,” I said. “He’s in a much better place, walking on streets of gold.” There was relief, in a way a kind of joy, in the faces of the family, that someone understood. Not long after that, I went on my first medical mission trip, to The Gambia. Caring for the people there, both adults and children, profoundly affected me. As if God had literally been waiting for me in Africa. Lovingly waiting for me to accept the plan he’d made for my life, a plan I once doubted and now embraced. I knew for certain that God was at work in my life.

Every day, driving to work at the hospital, I passed by the memorial—a simple wooden cross—that had been erected in Laura’s memory. I wondered what had become of her children. I wished I could tell them that their mother hadn’t died alone, how my life had been changed as a result of everything.

One Saturday in June 2017, Melissa and I were heading to town to go shopping. We were running very late, with one unexpected delay after another.

Before the bridge, I glanced reflexively at the memorial. Two young women stood at the cross. “It’s them,” I said.

I parked on the same side road I had more than nine years earlier. Melissa and I walked to the little cross where the young women stood. “Excuse me, are you related to Laura?” I asked.

“Yes, we’re her twin daughters,” one of them said.

“I stopped the night of the accident,” I said. “I was there the whole time with your mother and the others. They were never alone. That day changed my life. I went to college and became a nurse. I’ve always wanted to tell Laura’s family that something good came out of that tragedy.”

The two women, Hannah and Haley, looked at me. “This is a God moment,” Haley said. “We grew up in Oklahoma. This is our first visit to Mom’s memorial.”

“That means a lot,” Hannah added. “Thank you. But did you know we would be here?”

“I didn’t. My wife and I were supposed to be out of town today. This wasn’t part of the plan.” I paused. “Then again, maybe it was.”


하루는 사랑하는 이를 방금 잃은 가족과 앉아 있었다. 그들이 신앙인임을 알았다. 

“그는 고통스러워하지 않았어요. 황금으로 된 길을 걸으며 훨씬 더 좋은 곳에 있어요.”

가족의 얼굴에는 누군가 이해해 주었다는 기쁨 같은 안도가 떠올랐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감비아로 의료 선교 여행을 떠났다. 어른과 아이를 아울러 그곳 사람들을 간호한 일은 내게 깊은 영향을 미쳤다. 문자 그대로 하나님께서 아프리카에서 날 기다리고 계셨던 듯했다. 그분께서 내 삶을 위해 마련하신 계획을 내가 받아들이기를 애정을 기울여 기다리고 계셨다. 한때는 의심했으나 이제는 포용하게 된 계획이었다. 하나님께서 내 삶에서 애쓰고 계심을 확실히 알았다. 

매일 운전해서 병원으로 출근하다 보면 로라의 추모 공간에 세운 기념물‒소박한 나무 십자가‒을 지나쳤다. 로라의 아이들이 어떻게 됐는지 궁금했다. 그 아이들에게 어머니가 홀로 돌아가신 게 아니라고, 모든 일의 결과로 내 삶이 바뀌었다고 얘기할 수 있기를 바랐다. 

2017년 6월 어느 토요일에 우리 부부는 시내로 쇼핑을 나섰다. 예기치 못하게 지연되는 일이 계속 일어나는 바람에 굉장히 늦었다. 

그 다리에 이르기 전, 반사적으로 기념물을 힐끗 보았다. 젊은 여성 둘이 십자가 근처에 서 있었다.

“그 아이들이야.” 

9년도 더 전에 차를 세웠던 그 옆길에 차를 댔다. 아내와 함께 둘이 서 있는 작은 십자가로 걸어가서 물었다. 

“실례합니다만, 로라와 관계가 있나요?”

“네. 우리는 엄마의 쌍둥이 딸이에요.”

둘 중 하나가 대답했다. 

“나는 사고가 있던 밤에 멈춰 섰어요. 어머니를 비롯한 다른 이들과 내내 거기 있었죠. 그들은 절대 혼자가 아니었어요. 그날이 내 삶을 바꿨고요. 나는 대학에 진학해서 간호사가 되었답니다. 로라의 가족에게 그 비극에서도 좋은 일이 생겼다고 늘 얘기하고 싶었어요.”

두 딸, 한나와 헤일리가 날 바라보았다. 

“이건 하나님의 순간이네요. 오클라호마주에서 자라서 엄마의 추모 공간에 온 건 처음이에요.”

헤일리가 말했다.

“의미심장하네요. 감사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여기 올 걸 아셨나요?”

한나가 덧붙였다.

“몰랐어요. 아내와 나는 오늘 시내에 가기로 했거든요. 계획에 없던 일이었지요.” 

나는 잠시 말을 멈췄다.

“다시 생각해 보니 계획의 일부였을지도 모르겠네요.” 

우편 보내실 곳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고객관리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계좌안내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

우편 보내실 곳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고객관리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계좌안내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