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egivers

아빠의 자리


Guideposts 2021 | 09


Caregivers

Guideposts 2021 | 09

아빠의 자리


Before Mom passed, I made a promise to her

엄마가 돌아가시기 전에 나는 약속했다. 


By BETH GORMONG,  Farmersburg, Indiana

베스 고몽  인디애나주 파머스버그




I’d been imagining this moment for months. Finally it was here. The big reveal. “Dad, you are going to love this,” I said, swinging open the door to the in-law suite we had spent the winter building off our garage. “Surprise!”

My husband, Jeff, had put down new carpet in the sitting area. The walls gleamed with fresh paint. My college-age daughter, Jess, had added some big potted houseplants. There was a desk for Dad to write at and a comfy leather armchair and matching footstool where he could read his Bible. Perfect! It was March 2019, and I’d flown to Florida days earlier to help Dad drive home to Indiana after his two-month winter vacation. At 93, he wasn’t as comfortable driving long distances anymore, and I was happy for the time together.

Somehow I had managed to keep the secret to myself all those hours in the car. It went back to the promise I’d made to Mom just before she died eight months earlier. “It will be okay. You can go now,” I’d whispered. “I’ll take care of Dad.” Mom’s eyes had met mine, and I knew she understood. God had given me the chance to help Mom pass peacefully. In a way, I felt I owed it to him as much as her to keep that promise.

Mom and Dad lived two hours northeast of us, in Frankfort, Indiana. Dad had been a pastor and church district superintendent. He’d built a rich life there. Even retired, he led a Bible study, visited shut-ins, gardened and nurtured the trees he’d planted on his property. But life without Mom wouldn’t be the same. They’d been married for nearly 70 years. I didn’t want him trying to do everything on his own. That was the beauty of surprising him with the suite. Once he saw it, he’d be won over. And if he moved in with us, I could really be there for him.


몇 달간 상상해 온 순간이었다. 마침내 그때가 되었다. 대대적으로 선보일 때다. 

“아빠, 마음에 ‘쏙’ 드실 거예요.”

차고에서 떨어진 자리에 우리가 겨우내 지은 별채의 문을 휙 열어젖히며 말했다.

“짜잔! 놀라지 마세요!”

남편 제프가 앉을 자리에 새 카펫을 깔아 두었다. 벽은 갓 칠한 페인트로 반짝였다. 대학생 딸 제스는 큼직한 실내용 화분 몇 개를 보탰다. 아빠가 글을 쓸 책상, 성경을 읽을 편안한 가죽 안락의자와 그에 어울리는 발 받침도 있었다. 흠잡을 데 없군! 때는 2019년 3월이었고, 나는 플로리다까지 비행기를 타고 갔다. 아빠가 두 달간의 겨울 휴가를 보내고 나서 인디애나에 있는 집으로 운전해서 돌아오는 걸 돕기 위해서였다. 93세인 아빠는 이제 장거리 운전이 편치 않았고, 나는 함께 보내는 시간이 좋았다. 

어쨌든 차에 있는 내내 비밀을 간신히 지켰다. 비밀은 8개월 전, 돌아가시기 직전의 엄마와 했던 약속으로 거슬러 올라갔다. 

“괜찮을 거예요. 이제 가셔도 돼요. 제가 아빠를 돌볼게요.”

내가 속삭였다. 엄마의 눈이 내 눈과 마주쳤고, 엄마도 이해했다는 걸 알았다. 하나님께서는 엄마가 평화롭게 세상을 떠나게끔 도울 기회를 내게 주셨다. 어떤 면에서는 약속을 지키는 게 엄마뿐만 아니라 하나님께 지킬 의무처럼 느껴졌다. 

부모님은 우리 집에서 북동쪽으로 2시간 거리인 인디애나주 프랭크퍼트에서 살았다. 아빠는 목사이자 교구 관리자였으며 그곳에서 풍요로운 삶을 꾸렸다. 은퇴하고 나서도 성경 공부 모임을 이끌고 바깥출입이 어려운 이들을 찾아다니며 아빠 땅에 심은 나무를 가꾸고 돌보았다. 하지만 엄마가 안 계신 삶이란 예전 그대로일 수는 없었다. 두 분은 근 70년 동안 결혼 생활을 이어 왔다. 아빠가 모든 일을 혼자 해내려고 애쓰는 건 원치 않았다. 그게 별채로 아빠를 놀라게 하는 계획의 장점이었다. 일단 별채를 보면 설득될 터였다. 그래서 아빠가 우리 집으로 이사 오면 나는 정말 아빠를 위해 있을 수 있었다. 


“What do you think?” I said. Dad took in the collage of family photos I’d hung on the wall above the chair, the wardrobe waiting for his clothes, the framed picture of Mom on the bookcase.

“It’s beautiful,” Dad said. “But you didn’t do all this for me, did you? The guest room was fine.” His smile didn’t quite reach his eyes.

I pushed down a twinge of doubt. It was late, and we were both exhausted from the long drive. “Sleep well, Dad,” I said. “We’ll talk more in the morning.”

I slipped into bed beside Jeff. “Thanks for everything,” I said. “The suite looks great.” It had taken some doing to talk Jeff into giving up his office for Dad’s suite. Had it been a mistake? Tired as I was, I lay awake worrying. One day last fall, when I was visiting Dad, he’d mentioned the possibility of downsizing. Had I misread what he wanted?

At breakfast, Dad picked at the bananas in his cereal, quiet. It wasn’t like him. “Was the bed comfortable?” I asked.

“Very.”

“You’re ready to go home, aren’t you?” I forced a smile.

“Yes!” Dad said, suddenly animated. “I need to see if the old place is still standing.”

I watched as he closed his suitcase, afraid to bring up the idea of moving here permanently. He’ll be back soon, I told myself. Of course he had to go back to Frankfort. He needed to put his house on the market. Say goodbye to his friends.

I went out to his car with him. “Come back soon,” I said.

“I will,” he said, kissing me on the cheek. “I love you.”

A few days later, I called to check on Dad. “When can you come again?”

“Let’s see.... I have Bible study on Wednesday and teach Sunday School this week,” he said. “I’m taking a friend to the doctor Tuesday. Then Bible study again.”

At 93 years old, he had more going on than I did!

“I’ll be back soon,” Dad said. “I’m looking forward to relaxing in that addition you built. Right now I need to prune my trees. I’m thinking of digging up the lily bed....”


“어때요?”

내가 물었다. 의자 위 벽에 내가 걸어 둔 가족사진 콜라주, 아빠의 옷을 기다리는 옷장, 책꽂이에 둔 엄마 사진 액자를 아빠는 구경했다. 

“아름답구나. 그렇지만 이 모든 걸 날 위해 하지는 않았겠지? 손님용 방도 괜찮았단다.” 

아빠의 미소는 입가에만 머물렀다. 

찌릿하게 밀려오는 의심을 밀어냈다. 늦은 시각이었고 우리 둘 다 장거리 운전으로 기진맥진한 상태였다. 

“안녕히 주무세요, 아빠. 아침에 더 얘기해요.” 

침대의 제프 곁으로 미끄러지듯 들어갔다.

“전부 다 고마워요. 별채는 근사해 보여요.”

아빠의 별채를 위해 남편이 자기 사무실을 포기하도록 설득하는 데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했다. 그게 실수였을까? 피곤했지만 걱정하느라 깨어 있는 채로 누워 있었다. 지난가을 어느 날 내가 찾아갔을 때 아빠는 살림의 규모를 줄이는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다. 아빠가 원하는 바를 내가 잘못 짚었나? 

아침 식사 중에 아빠는 아무 말 없이 시리얼의 바나나를 조금씩 먹었다. 아빠답지 않았다.

“침대는 편하셨어요?”

“아주.”

“집에 갈 준비되셨죠, 그렇죠?”

나는 억지로 미소 지었다.

“그럼! 옛집이 잘 버티고 있는지 봐야지.” 

대답하는 아빠에게 갑자기 활기가 넘쳤다.

여행 가방을 닫는 아빠를 바라보는데, 완전히 이곳으로 이사하시라는 얘기를 꺼내기가 두려웠다. 

‘곧 돌아오실 거야.’ 

혼잣말을 했다. 물론 아빠는 프랭크퍼트로 돌아가야 했다. 집도 매물로 내놓아야 하고, 친구들에게 작별 인사도 해야 하니까. 

아빠의 차까지 따라나섰다. 

“얼른 돌아오세요.”

“그러마. 사랑한다.” 

아빠가 내 볼에 입 맞추며 말했다. 

며칠 뒤, 아빠의 안부 확인차 전화를 걸었다.

“언제 다시 오실 수 있어요?”

“보자… 수요일에는 성경 공부가 있고 이번 주 주일 학교에서 가르치기로 했어. 화요일에는 친구를 병원에 데려가야 하고. 그러고 나면 또 성경 공부가 있구나.” 

93세인 아빠는 나보다 해야 할 일이 많았다! 

“곧 돌아가마. 너희가 마련해 준 별채에서 쉬기를 고대하고 있단다. 지금 당장은 가지치기를 해야 해. 백합 화단도 캐낼까 생각 중이야….” 


We said goodbye. If he really liked the suite, why didn’t he want to move in? Why wouldn’t he let me take care of him the way I’d promised Mom?

Dad came to visit a couple weeks later but only for a few days. He was anxious to get back to his volunteer work, gardening, Bible study. A pattern that repeated itself every month.

At a family gathering that summer to celebrate my nephew’s graduation, my brother posed the question I’d been dancing around for months. “Dad, why don’t you sell your house and move in with Beth and Jeff?”

Dad set his fork down on his plate with a clank. “I’m not ready to sell my house yet,” he said, emphasizing each word. “I have a life in Frankfort, people who count on me. My memories of your mom are there. I’m not ready to give that up.”

I understood how hard this was for him. As much as I missed Mom, Dad must have missed her a thousand times more. Still, I was hurt. All the work we’d put into making that suite for him. I felt as if Dad was saying he didn’t want my help. And there was guilt too—I’d convinced Jeff to spend time and money on a remodeling project that wasn’t even necessary. How could something that felt so right turn out so wrong?

Summer faded into fall and winter. Dad visited every few weeks. There was nothing he needed from me to make his life better, easier, safer. Certainly not his own addition. He was as independent as ever. The one concession he made to age was letting me pick him up in Frankfort and bring him to our house for visits.

In February 2020, we began hearing about a virus making people sick on the East and West Coasts, especially among the elderly. It seemed a world away from rural Indiana. Week by week, we watched Covid-19 creep closer, not realizing it had already reached the heartland, long before test results confirmed there was no safe haven.

In late March, the governor announced that Indiana was going into lockdown. Jess was sent home from college. It felt as if we were under siege, everything uncertain: how long we’d have to shelter in place, whether we’d be able to avoid infection, the availability of food—toilet paper even.


작별 인사를 했다. 별채가 정말 마음에 드신다면 왜 이사하지 않지? 왜 내가 엄마와 약속한 방식으로 아빠를 챙겨 드릴 수 있게끔 하시지 않지?  

아빠는 2주 후에 방문차 왔으나 고작 며칠이었다. 그리고 봉사활동, 정원 일, 성경 공부로 몹시 돌아가고 싶어 했다. 매달 그런 양상을 되풀이했다. 

그해 여름 조카의 졸업을 축하하는 가족 모임에서 내가 몇 달 동안 교묘히 피했던 질문을 남동생이 던졌다. 

“아빠, 집을 팔고 누나랑 매형 집으로 이사하는 게 어떠세요?”  

아빠는 철컥 소리를 내며 접시에 포크를 내려놓고는 한 단어씩 힘주어 말했다. 

“아직 집을 팔 준비가 안 됐어. 프랭크퍼트의 생활과 내게 의지하는 사람들이 있어. 너희 엄마와 함께한 추억도 거기 있고. 그걸 내려놓을 준비가 안 됐어.”  

이게 아빠에게 얼마나 힘든지 이해했다. 내가 엄마를 보고 싶어 하는 것보다 분명 천 배는 더 엄마가 그리우실 거다. 그래도 나는 마음이 아팠다. 아빠를 위한 별채에 쏟은 그 모든 노고. 내 도움은 원치 않는다고 아빠가 말하는 것 같았다. 죄책감도 들었다. 불필요한 리모델링에 시간과 돈을 쓰자고 제프를 설득했으니까. 어떻게 정말 옳다고 생각한 일이 이렇게 그릇된 일로 바뀔 수 있지?  

여름이 저물어 가을과 겨울이 되었고, 아빠는 몇 주마다 오셨다. 아빠가 더 낫고 편안하며 안전한 삶을 꾸리기 위해 딸에게 원하는 건 없었다. 별채도 당연히 아니었다. 아빠는 여느 때처럼 독립적이었다. 나이가 들어 감에 따라 아빠가 양보한 한 가지는 우리 집에 오실 때 내가 프랭크퍼트까지 가서 모셔 올 수 있게 한 거였다.  

2020년 2월, 동부와 서부 해안 지역에서 사람들이 바이러스로 병들어 간다는 소식이 들려오기 시작했다. 노년층이 특히 그렇다고 했다. 인디애나 시골에서 한참 떨어진 세상일 같았다. 매주 코로나19가 점점 더 가까이, 서서히 다가오는 걸 지켜보았다. 바이러스가 이미 하트랜드(보수적인 가치관을 계승하는 미국 중서부 지역‒역주)에 도달했으며, 안전한 피난처는 없다는 걸 한참 전에 시험 결과가 입증했다는 사실도 깨닫지 못한 채. 

3월 말, 주지사는 인디애나주가 봉쇄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딸아이도 학교에서 집으로 돌아왔다. 모든 게 불확실한 채 집중 공격을 당하는 기분이었다. 한 자리에 얼마나 오래 피신해 있어야 하는지, 감염을 피할 수 있는지, 음식은 구할 수 있는지. 화장실 휴지마저도 그랬다. 


I called Dad and told him I was coming to get him before the lockdown order went into effect. He didn’t argue. We packed up his clothes, emptied his fridge and grabbed every roll of toilet paper in his house.

Back at our place, we settled into living together. It wasn’t like Dad’s other visits, when he never seemed quite at home. He was more relaxed, more a part of the rhythms of our family. I was more comfortable too. The question of where Dad should live no longer seemed important. Every minute felt as if it was meant to be treasured. The suite gave Dad a place he could be on his own to read his Bible or call his friends, yet still offered closeness to family and shelter from the threat of the virus. A need only God could have foreseen.

I got Dad reminiscing about his childhood and recorded his memories. Jess listened, rapt. The two of them bonded on their own. Dad would tease Jess about her preference for chicken over any other meat. Jess learned the exact amount of mayonnaise to make the chicken sandwiches that Dad pronounced sheer perfection.

As the weather warmed, Dad took to working in the yard. He pulled weeds, cleaned my tools and spread gravel around the tool shed.

One afternoon, Dad stuck his head in the door and said, “There’s a really nice hawthorn sapling that’s out of line with the rest of your trees. Would you like me to transplant it for you?”

“Sure,” I said. He strode off with the energy of a man half his age. “Wait,” I said. “I’ll help.”

By the time I caught up to him, he was already digging around the tree. What he called a sapling was taller than his six-foot frame.

“Let me take a turn,” I said. He handed me the shovel and told me where to dig. “Watch out for the roots,” he said. For the next hour, we took turns digging and resting until finally we were able to wiggle the roots free.

“Where do you want to plant it?” Dad said, holding the tree in one hand and the shovel in the other. I leaned against the shed, exhausted.

I pointed to two gingko trees he had given me the summer before. A half hour later, we were lugging buckets of water to help the hawthorn get off to a good start in its new home. Dad found some chicken wire and poles in the shed for staking the tree.

I thought of the promise I’d made to Mom. I’d imagined cooking for Dad and doing his laundry, giving him a well-earned rest after his years of service. Yet here he was doing things for me! Living together under lockdown had reminded me of something deeper. God had shown me that the heart of caregiving was connection. It wasn’t about what you wanted or hoped to do for the other person; it was about understanding what they needed. We’d been there for each other, and I knew that would continue even when Dad returned home.

After six weeks, lockdown ended. Dad was eager to get back to his own yard, telling us what he’d plant in his garden. Jess offered to drive him home. Saying goodbye was bittersweet. I hugged him close. “I love you,” I said as his arms tightened around me. What Dad needed most wasn’t in my house. It was in my heart.


아빠에게 전화해서 봉쇄령이 시행되기 전에 모시러 가겠다고 전했다. 아빠도 입씨름하지 않았다. 아빠의 옷을 챙기고 냉장고를 비웠으며 집에 있던 모든 화장실 휴지를 가져왔다. 

집으로 돌아와서 우리는 함께 사는 생활에 적응했다. 전혀 집에 있는 것 같지 않던 아빠의 여느 방문과는 달랐다. 아빠는 좀 더 느긋해졌고 우리 가족이 반복하는 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나도 좀 더 편해졌다. 아빠가 어디서 지내야 하는지 같은 질문은 이제 중요하지 않았다. 매 순간을 소중히 간직해야 할 것 같았다. 별채는 아빠가 혼자 성경을 읽고 친구들에게 전화하는 공간인 동시에, 가족과 가까이 있으면서 바이러스의 위협으로부터 안전한 피난처였다. 오직 하나님만 예견하실 수 있는 소용이었다.    

나는 아빠가 유년기의 추억을 풀어놓게 하면서 아빠의 기억을 기록했다. 딸아이는 넋을 놓고 귀담아들었다. 둘은 그들만의 유대를 쌓았다. 아빠는 다른 어떤 고기보다 닭고기를 좋아하는 손녀의 취향을 놀렸다. 제스는 할아버지가 완벽 그 자체라고 평가한 치킨샌드위치를 만드는 데 필요한 마요네즈의 정확한 양을 익혔다. 

날이 풀리고 아빠는 마당에서 일을 시작했다. 잡초를 뽑고 내 도구들을 깨끗이 닦았으며 도구 창고 주변에 자갈을 고르게 깔았다. 

어느 날 오후 아빠가 문으로 머리를 디밀고 얘기했다.

“다른 나무들과 줄이 맞지 않은 근사한 산사나무 묘목이 하나 있구나. 너희를 위해 옮겨 심어도 되겠니?”

“물론이죠.”

아빠는 아빠 나이의 절반밖에 안 되는 사람의 에너지가 있는 것처럼 성큼성큼 걸어가 버렸다.

“기다리세요. 도와드릴게요.”  

내가 따라잡았을 때쯤, 아빠는 이미 나무 주변을 파고 있었다. 묘목이라고 했던 나무는 1m 83cm인 아빠보다 컸다. 

“제 차례예요.”

아빠는 내게 삽을 건네며 어디를 파야 하는지 일러주었다.

“뿌리를 조심해.”

다음 한 시간 동안 우리는 번갈아 땅을 파고 쉬었다. 마침내 뿌리를 느슨하게 조금씩 움직일 수 있었다. 

“어디에 심고 싶니?”

아빠가 한 손으로는 나무를, 다른 한 손으로는 삽을 들고 물었다. 나는 기진맥진해서 창고에 기댔다. 

예전 여름에 아빠가 주신 은행나무 두 그루 옆을 가리켰다. 30분 후, 우리는 산사나무가 새로운 보금자리에서 기분 좋은 출발을 할 수 있도록 낑낑거리며 물통을 날랐다. 나무에 버팀목을 받치기 위해 아빠는 창고에서 철망과 장대를 찾았다. 

엄마와 했던 약속을 떠올렸다. 나는 요리와 빨래를 하면서 은퇴한 아빠에게 마땅한 휴식을 선사하는 모습을 상상했다. 하지만 여기서 아빠는 날 위해 일하고 계셨다! 봉쇄로 함께 살면서 좀 더 심오한 걸 깨달았다. 하나님께서는 돌봄의 핵심이 마음이 통하는 것임을 보여 주셨다. 다른 사람을 위해 내가 해 주고 싶거나 하고 싶은 일이 아니다. 그들이 필요로 하는 바를 이해하는 일이다. 우리 모녀는 서로를 위해 그 자리에 있었으며, 그건 아빠가 집으로 돌아가신 다음에도 이어지리라는 걸 알았다. 

6주 후에 봉쇄가 끝났다. 아빠는 정원에 무얼 심었는지 얘기하면서 간절히 아빠의 마당으로 돌아가고 싶어 했다. 제스가 운전해서 할아버지를 모셔다 드리겠다고 했다. 작별 인사는 시원섭섭했다. 아빠를 꼭 끌어안았다. 

“사랑해요.” 

내가 말하는데 아빠의 팔이 날 더 꼭 안았다. 아빠에게 가장 필요한 건 내 집에 없었다. 그건 내 마음 안에 있었다. 

우편 보내실 곳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고객관리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계좌안내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


우편 보내실 곳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고객관리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계좌안내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