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Y@WORK
Reflect Joy!
기쁨으로 반사!
Guideposts 2024 | 7
JOY@WORK
Guideposts 2024 | 7
Reflect Joy!
기쁨으로 반사!
How could I supervise someone who resented me
for getting the job she wanted?
자기가 원하던 직책을 차지했다는 이유로
날 미워하는 사람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
By ELIZABETH GRAY, Fairfax Station, Virginia
엘리자베스 그레이 버지니아주 페어팩스 스테이션
When my department at work announced that they were hiring for my supervisor’s recently vacated position, I knew I wanted to apply for it.
I also knew there would be a big problem.
I am a licensed clinical social worker. I worked for an agency seeking to reduce family violence, suicide and other harmful behaviors in military families. It’s a challenging job but a rewarding one.
I coordinated a nationwide network of victim advocates. Others in the office worked on programs dealing with child abuse, domestic violence, spousal neglect and other issues. The job opening was to supervise the entire department.
I’d been a military social worker for nearly two decades. I had the skills and experience to move into leadership, and I felt ready to seek a promotion.
There was one problem. My colleague Brenda.
Brenda had been in the department a long time. She was hard to get along with. She complained about everything and flat out refused to do certain tasks. She criticized people, picked fights and dragged her feet on difficult assignments. Longevity and departmental politics kept her from getting fired.
Brenda had been turned down for promotions in the past, but that wouldn’t stop her from applying this time. She would not be happy to learn she had competition. Especially not from me.
Thinking about the inevitable encounter with her made me doubt myself. There were a lot of talented people in our office. Why was I worthy of becoming the supervisor? How did I know I’d be the best leader?
I prayed about it and felt I should at least try. My husband, Cody, encouraged me too. I applied for the job.
The rumor mill ensured that everyone knew who’d applied and who was selected for an interview. I was one of four interview candidates.
So was Brenda.
“How would you address conflict within your team?” the interview panel asked right off the bat. Was I imagining things, or did I sense they were referring to conflict with Brenda?
“With compassion, patience and transparency,” I said. “I find that most workplace conflict can be mitigated with a growth mindset.” I told them about an office dispute I’d defused a few years back.
최근 우리 부서에서 물러난 상사의 자리를 채용한다는 발표가 났을 때, 나는 그 자리에 지원하고 싶었다.
그러나 큰 문제가 있다는 점도 알았다.
나는 면허를 가진 임상 사회복지사다. 군인 가정의 가정폭력, 자살, 여타 유해 행동을 줄이려고 애쓰는 기관에서 일했다. 도전적이지만 보람 있는 일이었다.
나는 피해자를 지지하는 사람들로 이루어진 전국 네트워크를 조직했다. 사무실의 다른 사람들은 아동 학대, 가정폭력, 배우자의 태만 그리고 기타 문제를 다루는 프로그램을 맡았다. 공석은 부서 전체를 감독하는 자리였다.
거의 20년 동안 군 사회복지사로 일했다. 지도부가 될 만한 기술과 경력도 갖췄고 승진 준비도 되었다고 느꼈다.
문제가 하나 있었다. 동료 브렌다였다.
브렌다는 그 부서에 오래 있었지만, 같이 어울리기엔 힘든 사람이었다. 모든 것이 불만이었고 특정 업무는 단도직입적으로 거부했다. 사람들을 비난하고 시비를 걸었으며 까다로운 일에는 일부러 시간을 질질 끌었다. 오랜 근무 기간과 내부 세력 다툼 덕분에 해고되지는 않았다.
브렌다는 지난 승진에서 탈락했으나, 그 때문에 이번에 지원하는 걸 막을 순 없었다. 경쟁자가 있다는 걸 알면 기뻐하지 않을 거다. 특히 나랑 경쟁하면 말이다.
브렌다와의 피할 수 없는 충돌을 생각하니 나 자신이 미심쩍었다. 우리 사무실에는 재능 있는 사람이 아주 많다. 어째서 내가 관리자가 될 자격이 있다는 거지? 어째서 내가 최고의 리더가 될 줄로 아는 거지?
기도하다가 최소한 시도는 해 봐야 한다고 생각했다. 남편 코디도 용기를 북돋아 주었다. 그 직책에 지원했다.
소식통 덕분에 누가 지원했고 누가 면접에 뽑혔는지 모두 알았다. 나도 면접 대상자 네 명 중 하나였다.
브렌다도 마찬가지였다.
“팀 내 갈등을 어떻게 해결할 건가요?”
면접위원회가 즉석에서 질문을 던졌다. 내가 상상했던 걸까? 아니면 위원회가 브렌다와의 갈등을 언급한다는 걸 알아차린 걸까?
“연민, 인내, 투명성으로 해결할 겁니다. 성장하려는 마음이 있다면 직장 내 갈등 대부분은 완화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내가 몇 년 전에 해소한 사무실 내 논쟁을 이야기했다.
Soon I learned that Brenda and I were both finalists for the position. That’s when she pounced. “What makes you so special?” she snarled one day, confronting me in the hall. “I’ve been here longer than you. You should wait your turn!”
She tried to turn people in the office against me. “Why would you try to steal that job from her?” someone asked me.
“They interviewed you because you’re younger,” someone else said.
“Brenda told me you sucked up to the bosses,” said another.
Brenda’s tactics failed to get her the job. But she succeeded in rattling me to the core. When the announcement came that I’d be the new supervisor, I had no desire to celebrate. Instead, I was filled with dread at having to lead an office that now resented me.
And I dreaded managing Brenda.
I decided the only way to get off to a good start was to talk to my team members one-on-one, using all the social work skills I’d learned.
My “office” was the same cubicle I’d had before, so I held these conversations in a small conference room. Most went much better than I expected. People seemed willing to give me the benefit of the doubt. They appreciated that I took the time to meet with them, and together we set mutual goals.
Then came the conversation with Brenda. “Why should I accept you as my supervisor when all I feel is betrayal?” she demanded before she’d even sat down.
It went downhill from there. Brenda blamed me for her failure to get the job. Reiterated that I’d betrayed her. Expressed her disdain for me and the people who’d hired me. No amount of empathetic listening, reframing or seeking common ground worked. She stalked out of the room as mad as she’d been when she entered it.
곧 나와 브렌다가 최종 후보임을 알았다. 바로 그때 브렌다가 맹렬히 비난을 퍼부었다. 어느 날 복도에서 날 막아서며 사납게 물었다.
“당신은 무슨 이유로 그렇게 특별하죠? 내가 당신보다 여기서 오래 일했다고요. 차례를 기다려야죠!”
브렌다는 사무실 사람들이 내게 등을 돌리게 하려고 애썼다.
“왜 브렌다에게서 그 자리를 뺏으려고 하죠?”
누군가 내게 물었다.
“그들이 당신을 면담한 건 당신이 더 젊기 때문이에요.”
또 다른 사람이 말했다.
“당신이 상사들에게 아첨한다고 브렌다가 그러던데요.”
또 다른 누군가가 말했다.
브렌다는 책략으로 승진하는 데는 실패했다. 하지만 날 뼛속까지 불안하게 하는 데는 성공했다. 내가 새로운 관리자가 되었다는 발표가 나왔을 땐 축하하고 싶은 마음이 하나도 없었다. 대신 이제 날 싫어하는 직원들을 이끌어야 한다는 두려움으로 가득 찼다.
그리고 브렌다를 관리하는 일이 겁났다.
순조롭게 출발하는 유일한 방법은 그동안 배운 사회사업 수완을 모두 활용해서 팀원들과 일대일로 대화하는 거라는 결론을 내렸다.
내 ‘집무실’은 여전히 전에 쓰던 칸막이였으므로, 작은 회의실에서 대화를 나눴다. 대부분은 내 예상보다 훨씬 순조로웠다. 사람들은 기꺼이 날 믿어 주는 듯했다. 내가 시간을 들여 그들을 만나는 걸 고맙게 여겼고 함께 공동의 목표를 세웠다.
브렌다와 대화할 때가 되었다.
“배신감밖에 들지 않는데 왜 당신을 내 상사로 받아들여야 하죠?”
브렌다는 자리에 앉기도 전에 따져 물었다.
거기서부터 일이 잘 풀리지 않았다. 브렌다는 나 때문에 자신이 승진하지 못했다고 탓했다. 내가 자기를 배신했다고 되풀이해서 말했다. 나와 날 채용한 사람들을 향한 경멸을 드러냈다. 아무리 공감하면서 경청하고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며 공통점을 찾으려 해도 소용이 없었다. 브렌다는 들어올 때 모습 그대로 화를 내며 회의실을 성큼성큼 걸어 나갔다.
I walked back to my cubicle in shock. How was I supposed to manage someone like that? I felt simultaneously angry and deeply insecure. Maybe Brenda was right after all. Maybe I was in over my head.
I needed a quiet place to think. The conference room was occupied, and all I had was my cubicle. I lowered my head and pretended to look through files.
“God, you brought this opportunity to me, but this isn’t looking good,” I whispered. “How can I lead someone who thinks so little of me?” I took a deep breath to keep from crying.
Then a voice sounded in my head: Reflect joy.
Was that supposed to be a message from God? Who was feeling any joy right now?
The words sounded again. They were insistent enough that I sat up and wrote them on a piece of paper. I had no idea what they meant or how to put them into action. God seemed to think they were important. I wrote them again for emphasis.
And then it hit me. The words’ meaning was so obvious, I laughed out loud. I looked around to see if anyone heard me.
I did not have to absorb all the negativity Brenda hurled at me. Like the social worker I was, I could let her express her feelings, then reflect back something different.
I could show her and everyone else in the office that I consider it an honor to be entrusted with their work and the intense feelings it generates. I could project what I truly felt: that I love my job and am proud to serve with colleagues dedicated to making life better for military families.
I could even give thanks for the chance to lead Brenda. It would be a challenge but also a learning opportunity. With God’s help, I could figure things out.
충격에 휩싸여 내 칸막이로 돌아왔다. 저런 사람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지? 분노와 극심한 불안을 동시에 느꼈다. 어쩌면 결국 브렌다가 옳은지도 몰랐다. 나는 감당할 수 없는 상황에 부닥쳤는지도 모른다.
생각에 잠길 조용한 공간이 필요했다. 회의실은 사용 중이라 내게 남은 건 칸막이뿐이었다. 고개를 숙이고 파일을 훑어보는 척했다.
“하나님, 제게 이 기회를 주셨지만 좋아 보이지 않아요. 저를 하찮게 여기는 사람을 어떻게 이끌 수 있을까요?”
속삭이면서 울지 않으려고 심호흡했다. 그때 머릿속에서 목소리가 울렸다.
‘기쁨을 되돌려 주어라.’
하나님께서 보내신 메시지였을까? 지금 누가 어떤 기쁨을 느끼겠는가?
그 말이 다시 들려왔다. 굉장히 끈덕졌기에 나는 똑바로 앉아서 종잇조각에 그걸 썼다. 그 말이 무슨 의미인지, 어떻게 행동으로 옮겨야 하는지는 알 수 없었다. 하나님께서는 그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듯했다. 강조하려고 한 번 더 썼다.
그러다가 알아차렸다. 말의 뜻은 아주 명료했다. 크게 소리 내어 웃다가 누가 들었을까 봐 주변을 살폈다.
브렌다가 퍼붓는 부정적인 태도를 내가 모두 받아들일 필요는 없었다. 여느 사회복지사들처럼 브렌다가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도록 내버려 두고 나는 다른 것으로 되돌려 주면 되었다.
브렌다를 포함하여 사무실에 있는 모든 이에게 그들의 업무와 거기에서 비롯되는 진지한 감정을 맡겨 주는 걸 영광으로 여긴다는 걸 보여 줄 수 있었다. 내 진심을 명확히 나타낼 수 있었다. 그것은 나는 내 일을 사랑하며, 군인 가정을 위한 더 나은 삶을 만들고자 헌신하는 동료들과 함께 근무하는 걸 자랑스럽게 여긴다는 사실이었다.
심지어 브렌다를 이끌 기회에 감사할 수도 있었다. 힘든 일이지만 배움의 계기이기도 했다. 하나님의 도움으로 상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Starting that day, I changed my whole approach. When hard words were directed at me, I resisted the temptation to feel angry or wounded. I validated difficult feelings and projected joy, kindness and gratitude.
For Brenda, I took the extra step of writing the words “Reflect Joy” on every file that related to her work. In my calendar, I called one-on-one meetings with her “Joyful Reflections.” I grouped her emails under the heading “R.J.”
I also reminded myself that Brenda had had her own challenges in life. She had relocated multiple times for her spouse’s career and kept having to earn new academic degrees to keep up with job requirements. She was the primary caretaker for several members of her extended family and carried a lot of stress and responsibility. That didn’t give her the right to be hurtful. But it helped me keep our relationship in perspective.
“Thanks for trusting me with your feelings,” I’d say each time she complained. “How can I support you?”
My approach caught Brenda off guard. For a long time, she tried to derail me. Eventually, she seemed to give up and accept that I wasn’t going anywhere. It wasn’t a lovefest. But it kept the peace.
For me, the rewards were God-size. The more joy I reflected, the calmer and more assured I became. I developed an ability to flip into joy mode whenever people got upset or took out their frustrations on me.
I was an island of no-nonsense positivity in a stressful workplace where every case we dealt with was literally a matter of life and death.
Several years later, Brenda moved to another agency. On her last day in our department, she came to my cubicle. I braced myself for one final blast.
“Thank you for not giving up on me,” she said matter-of-factly. “And for always finding joy.” We shook hands, and she walked away.
I haven’t seen Brenda since then. I’m grateful to her for helping me learn one of my most valuable workplace lessons. No matter how hard a job is, joy can guide you through.
그날부터 접근법을 모두 바꿨다. 모진 말이 내게 직접 쏟아질 때도 화내거나 상처받으려는 유혹을 억눌렀다. 까다로운 감정들을 헤아리고 기쁨, 친절함, 감사를 명확히 드러냈다.
브렌다의 업무와 관련이 있는 모든 파일에는 ‘기쁨을 되돌려 주자’라고 쓰는 특별 조치를 취했다. 일정표에서는 브렌다와의 일대일 회의를 ‘즐거운 성찰’이라고 칭했다. 그녀의 이메일은 ‘R.J.(Reflect Joy의 약자-역주)’라고 제목을 달아 분류했다.
그리고 브렌다에게 나름대로 삶의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상기했다. 브렌다는 남편의 직업 때문에 여러 차례 옮겨 다녔고 직무 요건을 맞추기 위해 새로운 학위를 계속 취득해야 했다. 또한 여러 일가친척을 주로 돌보는 사람으로서 스트레스와 책임감이 상당했다. 그런 점이 타인에게 상처 입힐 권리를 보장받는 건 아니지만, 우리 관계를 균형 잡힌 시각으로 보는 데 도움이 되었다.
“날 믿고 감정을 털어놔 줘서 고마워요.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브렌다가 불평을 늘어놓을 때마다 말했다.
내 방식은 브렌다를 당황하게 했다. 브렌다는 오랫동안 날 방해하려고 애썼으나, 결국 포기하고 내가 아무 데도 가지 않는다는 점을 받아들인 것 같았다. 서로 존경하는 정도는 아니지만 평화는 유지되었다.
내게 그 보상은 대단했다. 기쁨을 더 많이 되돌려 줄수록 더 차분해지고 확신에 찼다. 사람들이 내게 속상해하거나 짜증을 낼 때마다 ‘기쁨 모드’로 바꿀 수 있는 능력까지 생겼다.
처리해야 하는 모든 사례가 말 그대로 삶과 죽음의 문제였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상당한 직장에서 나는 현실적인 긍정주의로 만든 섬에 있었다.
몇 년 후 브렌다는 다른 기관으로 옮겨 갔다. 우리 부서에서 보내는 마지막 날 브렌다가 내 칸막이로 왔다. 최후의 일격에 대비해서 마음을 다잡았다.
“날 포기하지 않아서 고마워요. 언제나 기쁨을 찾아 줬던 것도요.”
브렌다는 사무적으로 말했고, 우리는 악수했다. 그리고 그녀는 걸어 나갔다.
이후로는 브렌다를 보지 못했다. 직장에서 가장 소중한 교훈을 배우도록 도움을 준 그녀가 고맙다. 일이 아무리 힘들지라도 기쁨이 우리를 이끌어 줄 수 있다는 사실 말이다.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