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ITH AND LIVING
His Own Path
아들의 길
Guideposts 2025 | 03
FAITH AND LIVING
Guideposts 2025 | 03
His Own Path
아들의 길
My son Tim was a lot like me. And maybe that’s why I worried about him
팀은 나와 무척 닮았다. 그래서 더 걱정스러웠는지도 모른다.
By RICK HAMLIN , Contributing Editor
릭 햄린 기고 편집자
The email from our son Tim came that November. He’d graduated from college and spent the following year living with us and taking care of kids—by being a “manny,” as he termed it. Then he took everything he’d earned and traveled around the world, on the cheap. He’d been on the road since June with a few buddies, sending us the occasional email.
I was worried about Tim. He was a talented kid, smart, thoughtful, kind, but he seemed a little aimless. What was he going to do with his life once his wanderlust wore off? I didn’t really want to compare him to his older brother, Will, the econ major, who got a job working for a big consulting firm right out of college. Will was launched. But for Tim, the history major, it was hard to know what shape his life would take.
He was musical, like me, and had done some theater in college, also like me. I’d gone to Italy where I studied voice for two years, earning a living by teaching English, before working as an actor and singer in both New York and Los Angeles. I certainly wasn’t in anything anybody’s ever seen, but I had been focused, hadn’t I? Well, at least I thought so. By the time I gave up the acting bug and decided to become a writer—and got that starting job at GUIDEPOSTS—I knew what I wanted to do with my life. I was launched.
Would Tim ever be?
He was good with kids, but he never talked about becoming a teacher. He played the guitar and had sung in a rock band, but then again, it wasn’t anything he seriously pursued. He’d been focused enough on this trip, determined even, traveling through Europe, North Africa, the Middle East. Nothing to worry us too much. (He didn’t mention his trip through the Sinai Peninsula.)
Then came this email from India. “Dad, lots of American kids come here and stay at an ashram for a while,” he wrote, about his fellow travelers exploring Hinduism. “If I did that, I’d rather find a place that’s connected to the faith I grew up with. Is there something like that at home?”
Wow. Tim hadn’t shown any sort of religious bent in college. But then, he’d always been a spiritual kid. My wife, Carol, used to call him “the pious tot,” the way he’d clutch his hands together in prayer in church, kneeling on the pew cushions.
11월에 아들 팀에게서 이메일이 왔다. 아들은 대학을 졸업한 다음 해에 우리와 함께 지내면서 아이들을 돌봤다. 자기 말로는 ‘매니(many, 유모 또는 보모를 뜻하는 nanny에 남성을 의미하는 male을 합쳐서 만든 말-역자 주)’라고 했다. 그러다 번 돈을 모두 들고 세계 여행을 떠났다. 6월부터 몇몇 친구와 함께 여행 중이었으며 가끔 우리에게 이메일을 보냈다.
아들이 걱정스러웠다. 재능 있는 아이였고 똑똑하고 사려 깊으며 친절했지만, 목표는 좀 없어 보였다. 방랑벽이 사그라들면 아들은 무엇을 할 작정일까? 경제학을 전공하고 대학을 졸업하자마자 큰 컨설팅 회사에서 일하기 시작한 큰아들 윌과 팀을 비교하고 싶은 마음은 추호도 없다. 윌은 세상으로 나갔다. 하지만 역사를 전공한 팀은 그 삶을 어떻게 꾸려 갈지 알 수 없었다.
팀은 나처럼 음악을 좋아했고, 역시 나처럼 대학에서 연극을 했다. 나는 뉴욕과 로스앤젤레스에서 배우와 가수로 일하기 전에 이탈리아로 건너가 영어 교습으로 생계를 유지하면서 2년 동안 성악을 공부했다. 분명 나는 어떤 누구도 살지 않은 삶을 살았지만, 그럼에도 거기에 집중했다. 누구도 알지 못하는 처지였지만, 집중하고 있었다. 그렇지 않은가? 적어도 그랬다고 생각한다. 연기를 포기하고 내 삶에서 하고 싶은 일이라고 확신한 작가가 되기로 마음먹었다. 그리고 가이드포스트에서 글 쓰는 일을 시작했다. 나는 세상에 나섰다.
팀도 과연 그럴까?
팀은 아이들과 잘 지냈지만 교사가 되겠다는 얘기는 한 번도 꺼낸 적이 없다. 록밴드에서 기타를 치고 노래했지만, 역시나 진지하게 붙들고 늘어지지는 않았다. 유럽, 북아프리카, 중동을 도는 이번 여행에는 충분히 집중했으며 단호하기까지 했다. 우리를 지나치게 걱정시킬 만한 일은 없었다. (아들은 시나이반도를 거쳐서 여행한다는 얘기는 하지 않았다.)*
그러던 중 인도에서 이메일이 왔다. 아들은 힌두교를 알아보려는 동료 여행자들에 대해 썼다.
“아빠, 많은 미국 아이들이 여기 와서 한동안 아시람(힌두교 신자의 수행 장소-역자 주)에 머물러요. 나라면 성장기를 함께한 믿음과 이어진 장소를 찾을 텐데요. 집 근처에도 그런 곳이 있나요?”
세상에. 팀은 대학에 다니는 동안 어떤 종교적 성향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또 생각해 보면 아들은 언제나 영적인 아이였다. 아내 캐럴은 팀을 “독실한 꼬마”라고 부르곤 했는데, 교회에서 신도석 쿠션에 무릎을 꿇고 두 손을 꽉 쥔 모습 때문에 그랬다.
He’d been baptized at the Episcopal church where we worshipped. He’d been confirmed there, gone to Sunday school, and performed in many a Christmas pageant. He sang in the children’s choir. When I took him to school in the morning, thumbing through my pocket Bible on the subway, he often asked to see his favorite verse. “You know, Dad, the one about alpha and omega.” We’d turn to the book of Revelation, and he would read it aloud, “I am the alpha and omega,” the first and last letters of the Greek alphabet.
Was this email the beginning of something new? I emailed him back, telling him about an Episcopal monastery of Benedictine brothers up along the Hudson River. “Maybe you could visit,” I wrote. I’d been there on a church retreat and enjoyed worshipping with them.
Later that month, Tim returned from his travels, his hair long, his beard scruffy. He looked so unkempt that Carol made him take off his clothes in our foyer. She took the clothes and everything in his bag down to the laundry room while Tim took a shower. That night at dinner, we heard about his travels. (Maybe that was when we learned about the trip through the Sinai.) Thanksgiving and Christmas came and went. I wondered when he’d reach out to the Holy Cross Brothers, worried that this was something else he wouldn’t pursue.
Then in January, he emailed them and visited for a couple of days. “I’d like to stay for a while,” he told them. They invited him back. He could worship with them, pray the offices five times a day, read Scripture, seek their counsel, help in the kitchen and garden. Oh, those good brothers! Tim spent eight weeks at the monastery, then took the bus home. This time he didn’t need to leave his clothes at the door.
That night at dinner, he had an astounding announcement: “I think I’d like to become an Episcopal priest.”
“That’s wonderful,” Carol and I said. At the same time, I was also worried (not that it should surprise you by now). Did Tim understand what a long journey it would be, getting sponsored by a church, supported by a bishop, going through months—years—of discernment?
팀은 우리가 출석하던 성공회 교회에서 세례를 받았다. 그곳에서 견진성사를 받고 주일 학교에 다녔으며 크리스마스 가장 행렬에 여러 번 나갔다. 어린이 성가대에서 노래도 했다. 내가 아침에 학교에 데려다주면서 지하철에서 작은 성경을 쓱 훑어볼 때면 종종 자기가 가장 좋아하는 구절을 보게 해 달라고 부탁했다.
“아시잖아요, 아빠. 알파와 오메가에 관한 구절이요.”
우리는 요한계시록을 폈고 팀은 소리 내어 읽었다.
“나는 알파와 오메가요.” 그리스 알파벳의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였다.
이 이메일이 새로운 일의 시작일까? 허드슨강 위쪽에 있는 베네딕토회 성공회 수도원에 관해 이야기하며 답장을 썼다.
“그곳을 방문할 수도 있을 거야.”
나는 피정으로 그곳에 가 봤고 그들과 함께 예배드리는 일이 즐거웠다.
그달 말에 팀은 여행에서 돌아왔다. 머리는 길었으며 수염은 제멋대로였다. 매우 흐트러진 모습이라 아내는 아들에게 현관에서 옷을 벗으라고 했다. 그리고 아들이 샤워하는 동안 아내는 옷을 비롯해 가방에 있던 모든 것을 세탁실로 가져갔다. 그날 밤 저녁 식사를 하면서 팀의 여행 이야기를 들었다. (아마도 그때 시나이반도를 통과하면서 여행했다는 걸 알았던 것 같다.) 추수감사절과 크리스마스가 다가오고 지나갔다. 아들이 언제쯤 성십자가 사제회에 관심을 보일지 궁금해하면서 이마저도 아들이 착실히 실행하는 일이 아닐까 봐 걱정했다.
그러다 1월에 아들은 성십자가 사제회에 이메일을 보내고 며칠 방문했다.
“한동안 머물고 싶어요.”
팀은 그들에게 얘기했고 사제회는 아들을 다시 초청했다. 아들은 그들과 함께 예배드리고 하루에 다섯 차례씩 절차에 따라 기도했으며, 성경을 읽고 조언을 구하면서 부엌일과 정원 일을 거들었다. 오, 선량한 형제들이여! 팀은 수도원에서 8주를 보낸 다음 버스를 타고 귀가했다. 이번에는 문간에서 옷을 벗을 필요가 없었다.
그날 밤 저녁을 먹으면서 아들은 놀라운 선언을 했다.
“성공회 사제가 되고 싶은 것 같아요.”
“그거 대단하구나.”
아내와 내가 말했다. 동시에 나는 걱정스럽기도 했다. (지금쯤이면 놀랍지도 않을 거다.) 팀은 교회와 주교의 도움을 받으면서 통찰력으로 가득한 몇 달-몇 년-을 보낸다는 게 얼마나 긴 여정인지 이해했을까?
It was another long journey, 10 years from the time he made that announcement to the joyous day of his ordination this past January. Tim covered much ground, from his volunteer work at our church’s soup kitchen, to a 10-month stint in South Africa with the Holy Cross Brothers, living at their monastery, working in their school. He followed the love of his life, Henley, to Los Angeles, where he joined a church that had been founded by Japanese Americans and now offered services in Spanish for the Mexican community. He was sponsored by the L.A. diocese but, at the insistence of the bishop, had to spend an additional year at another parish.
He and his bride, Henley, moved back to New York so he could attend seminary. They found a place half a block away from us, which proved especially joyous—and convenient—when they had their son, Silas. We grandparents were close by to babysit. Seminary was hard work, but Tim savored it, especially learning Greek; he could now read about the alpha and omega without any translation. He spent a summer working for a hospice program and volunteered for two years at a parish in the South Bronx, preaching in both English and Spanish.
I worried about what kind of job he might find, with a two-year-old and another baby due. Enough with the worries, Dad! By now, I should have learned to trust more—in my son and in God. Last spring, I gave a talk at a church in Connecticut and chatted with the rector about my kids. The older son, Will, in San Francisco, was working for Pinterest. And the younger one, Tim, was soon to be ordained in the Episcopal Church.
“Have him call me,” the rector said, following up with an email. After a slew of interviews for both Tim and Henley, he was offered a position, one that came with not only an apartment for the young family but also free nursery school.
How blessed we are to have them a 45-minute drive away. We’re on hand many a Sunday to help out, especially with the arrival of little Mae. The church has multiple services, including one with all the kids present. More than once have we heard Tim preach holding his son in his arms. I wonder if someday he will worry about his son’s future the way I worried about his.
I’ve come to believe that this sort of worry is more about love than a lack of faith. Of course, I trusted my children to God’s loving care. But worry is a form of care too, isn’t it?
팀이 그렇게 선언했을 때부터 서품을 받은 지난 1월의 즐거운 날에 이르기까지 10년은 또 다른 긴 여정이었다. 아들은 우리 교회의 무료 급식소에서 봉사하는 것부터 성십자가 사제회와 함께 10개월 동안 남아프리카의 수도원에서 기거하면서 학교에서 일하는 것까지 많은 진척을 보였다. 그리고 평생의 사랑인 헨리를 따라 로스앤젤레스로 가서 일본계 미국인들이 설립했으며 현재는 멕시코인 공동체를 위해 스페인어로 예배드리는 교회에 합류했다. 아들은 로스앤젤레스 교구의 도움을 받았으나 주교의 주장에 따라 다른 교구에서 1년을 더 보내야 했다.
팀과 그의 신부 헨리는 뉴욕으로 돌아온 덕에 신학교에 다닐 수 있었다. 두 사람은 우리 집에서 반 블록 떨어진 집을 찾았는데, 그것은 특히 손자 실라스가 생겼을 때 편리하고도 즐거운 일이었다. 우리는 가까이에서 아이를 봐주는 조부모였다. 신학교는 힘들었지만 팀은 과정을 즐겼는데, 그리스어를 배울 때 유달리 그랬다. 이제 아들은 번역 없이도 그리스어를 읽을 수 있다. 그는 호스피스 프로그램에서 일하면서 여름을 보냈고 사우스 브롱크스에서 영어와 스페인어로 설교하면서 2년 동안 봉사활동을 했다.
두 살배기와 조만간 태어날 둘째가 있는 아버지인 아들이 어떤 종류의 일자리를 찾을지 걱정스러웠다.
“걱정은 충분해요, 아빠!”
이쯤이면 아들과 하나님을 더 믿는 법을 배워야 했다. 지난봄에 코네티컷주의 교회에서 강연하고 교구 목사와 내 아이들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다. 큰아들 윌은 샌프란시스코에서 지내며 핀터레스트에서 근무하는 중이었다. 둘째 팀은 조만간 성공회에서 서품을 받을 터였다.
교구 목사는 이메일을 보내면서 “아들한테 제게 전화하라고 하세요”라고 했다. 팀과 헨리는 둘 다 여러 차례 면접을 봤고, 팀이 일자리를 구했다. 어린아이를 키우는 가족을 위한 아파트에 무료 어린이집까지 제공하는 자리였다.
아들 가족이 차로 45분 거리에 있다니 우리는 얼마나 축복받았는가. 우리는 일요일이면 아들네를 도와주려고 대기하는데, 메이가 태어나고부터 더 그렇다. 교회에는 예배가 여러 번이고, 아이들까지 전부 참석하는 예배도 있다. 팀이 아들을 안고 설교했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는다. 언젠가는 아들이 내가 그랬듯이 손자의 미래를 걱정하지 않을까 궁금하다.
이런 종류의 걱정은 믿음의 부족이라기보다는 사랑에 더 가깝다는 걸 믿게 되었다. 물론 나는 내 아이들을 하나님의 애정 넘치는 보살핌에 맡겼다. 하지만 걱정도 보살핌의 한 종류다. 그렇지 않은가?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