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ACLES AND HEALING

Lifted

그 소리에 닿다


Guideposts 2025 | 04


MIRACLES AND HEALING

Guideposts 2025 | 04

Lifted

그 소리에 닿다


ㅡ 

The author’s long, dark night of the soul led to a different kind of Easter miracle

그의 영혼은 길고 깜깜한 밤을 지나 특별한 부활절 기적에 닿았다.


By ROBERTA MESSNER,  Huntington, West Virginia

로베르타 메스너  웨스트버지니아주 헌팅턴





Past three o’clock in the morning, two weeks before Easter. I sat in the darkness of my car, parked in my driveway, feeling as if I were going insane. I’d been awake all night. I couldn’t stop twitching, moving, grabbing at myself. My mind raced. Bad voices clawed the edges of my brain. I tried everything I could to stop them. Racing up and down my attic stairs. Doing frantic jumping jacks. Bicycling my legs in the air. But it was hopeless. On the streets, they had a name for what ailed me: dope sick.

At 64, I was in withdrawal from opioids. For 28 years, I’d been prescribed OxyContin for pain relief. I have a genetic condition that causes invasive, noncancerous tumors to grow on nerve cells all over my body. I had undergone 34 surgeries over the years to remove the worst of them. But the tumors that remained caused me constant pain.

At first, the OxyContin was a godsend. It allowed me to keep my job as a nurse and live a normal life. But my town in Appalachia had been gripped hard by the opioid crisis. My insurer stopped paying for OxyContin. My doctor said new insurance rules required me to enroll at a pain management clinic for a new prescription. A specialist there took me off OxyContin entirely and put me on a new, weaker medicine for nerve pain to be taken every 12 hours.

“It’ll help you more than the OxyContin did,” the specialist assured me. “You might have some withdrawal symptoms as you go from one drug to the other. They shouldn’t be too bad.”


부활절 2주 전이었고, 새벽 3시가 지나고 있었다. 진입로에 주차해 놓고 어둠 속에서 차에 앉아 있었는데, 내가 미쳐 가는 것 같았다. 밤새 깨어 있었다. 경련을 일으키며 움직이다가 스스로 붙잡는 일을 멈추지 못했다. 머리가 바삐 돌아갔고 불쾌한 목소리가 뇌의 가장자리를 쥐어뜯었다. 목소리를 멈추려고 할 수 있는 건 다해 보았다. 다락 계단을 빠르게 오르내리고 미친 듯이 팔 벌려 뛰기를 했다. 자전거를 타듯이 허공에서 다리를 움직였다. 하지만 절망적이었다. 거리에 도는 뜬소문으로는 날 괴롭히는 게 금단 증상이라고 했다. 

예순넷에 오피오이드(마약성 진통제-역자 주) 금단 증상에 시달렸다. 지난 28년 동안 진통제로 옥시콘틴(오피오이드로 만든 진통제-역자 주)을 처방받았다. 내게는 전신의 신경세포에 양성 종양이 급속히 퍼지는 유전 질환이 있다. 가장 고생스러운 것들을 없애려고 수년에 걸쳐 서른네 차례 수술을 받았다. 하지만 남아 있는 종양들은 끊임없이 통증을 일으켰다. 

옥시콘틴은 처음엔 하나님께서 주신 선물이었다. 옥시콘틴 덕분에 간호사로서 계속 일하면서 정상적인 생활을 꾸릴 수 있었다. 하지만 애팔래치아에 있던 우리 동네에는 오피오이드 위기(1990년대 이후 오피오이드 계열 약물에 대한 오남용, 과도 복용, 중독으로 인한 사망자가 급증하면서 발생한 사회적 문제-역자 주)가 거세게 닥쳤다. 내가 가입한 건강보험사에서 옥시콘틴에 대한 지급을 정지했다. 새로운 보험 규정에 따르면 새 처방전을 받기 위해서는 통증 관리 클리닉에 등록해야 한다고 주치의가 설명했다. 클리닉의 전문의는 옥시콘틴을 완전히 빼 버리고는 그보다 약한 신경통 신약을 처방하며 12시간마다 먹으라 했다. 

“옥시콘틴보다 도움이 될 겁니다. 한 가지 약물에서 다른 약물로 바꾸는 동안 금단 증세가 몇 가지 있을 수 있지만, 그렇게 심하지는 않을 거예요.” 

전문가는 날 안심시켰다. 


The past three days had been hell on earth! I’d been taking OxyContin for a long time. Although I never deviated from my doctor’s instructions and she tapered me off slightly before I quit cold turkey, I’d built up a strong dependency. Deprived of OxyContin, my body panicked. It ached like a giant toothache. Pain signals coursed up and down my arms and legs. I called the clinic. I was told to tough it out. How? I shook with chills. My skin felt as if insects were crawling all over it. I couldn’t keep anything down. Worst of all, my mind buzzed with bad voices. They taunted me endlessly.

It’s going to be like this forever, Roberta….

You’re going crazy.

There’s no point in trying. Just give up already.

No one else knew what I was going through except my sister Rebekkah. She’d come to stay with me after I left the pain clinic. I’d sent a brief email to friends in my writing group, asking for prayers because I was going through a “rough time.” But I kept it vague. I was ashamed of my dependence on OxyContin. What would people think?

No one loves you.

Even God’s left you.

You’re all alone.

Not sure what else to do, I’d banished myself to my car in the early hours of the morning. It was usually the place I did my best praying. Now that I was here, though, I couldn’t think. I could barely get Jesus’ name out. I had too much trouble breathing. I was going to die in this car. God, where are you when I really need you? Have you totally left me this time?


지난 사흘은 지구상에 펼쳐진 지옥이었다! 나는 옥시콘틴을 오래 복용했다. 주치의의 지시를 어긴 적이 한 번도 없었고 약을 단번에 끊기 전에 주치의가 복용량을 점점 줄여 주기까지 했지만, 나는 강한 의존성을 키워 왔다. 옥시콘틴을 빼앗기자, 내 몸은 공황 상태에 빠졌다. 어마어마한 치통처럼 아팠다. 통증이 올 거라는 신호는 내 팔다리를 따라 위아래로 세차게 흘렀다. 클리닉에 전화를 걸었다. 참고 견뎌 내라는 얘기를 들었다. 어떻게? 소름이 끼치면서 몸이 떨렸다. 온몸에 벌레가 기어다니는 듯한 기분이 피부로 전해졌다. 어느 것도 토하지 않고 제대로 먹을 수 없었다. 최악은 내 머릿속이 불쾌한 목소리로 시끄러웠다는 거다. 목소리는 쉬지 않고 날 조롱했다. 

영원히 이런 식일 거야, 로베르타. 넌 미쳐 가는 중이지.

애써 봐야 소용없어. 그냥 당장 포기해.

여동생 레베카 말고는 내가 어떤 일을 겪고 있는지 아무도 몰랐다. 통증 클리닉에서 나온 후에는 여동생이 같이 지내 주려고 왔다. 글쓰기 모임의 친구들에게 짧은 이메일을 보내면서 ‘고달픈 시기’를 보내고 있으니 기도해 달라고 부탁하면서도, 그 이유를 밝히지는 않았다. 옥시콘틴 의존증이 부끄러웠다.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할까? 

아무도 널 사랑하지 않아.

하나님조차도 널 버리셨어. 너는 완전히 혼자야.

달리 뭘 해야 하는지 몰라서 이른 새벽에 나 자신을 차에 가두었다. 평소에 내 차는 최선을 다해 기도하던 곳이었다. 하지만 지금 여기서는 생각조차 할 수 없었다. 주님의 이름조차 가까스로 내뱉었다. 호흡하기도 너무 힘들었다. 차 안에서 죽겠구나. 

‘하나님, 제가 정말 필요할 때 어디 계시나요? 이번에는 정말 절 두고 완전히 떠나셨나요?’ 


The dashboard clock told me it was four o’clock. A piece of advice someone had told me ages ago came to me: “It’s the friends you can call at 4 A.M. who really matter.” I thought of my dear friend Sue. Her husband used oxygen for a lung condition—maybe it would help? We usually talked every day, but I hadn’t heard her voice since this whole withdrawal thing. She’d probably been calling, worried sick. I hadn’t checked my voicemails, emails or mailbox for days. I dialed Sue’s number on my cell and told her my situation.

“Come right over,” Sue said. “I’ll get the oxygen set up.”

Rebekkah drove me to Sue’s house in the cold, black night. Sue tucked me into a makeshift bed on her sofa and got the oxygen. I breathed it into my greedy lungs. She parked her chair by the sofa and massaged my agitated legs. Within minutes, I was no longer starved for air. I began to relax. Three hours later, I woke up to the smell of coffee and raisin toast. I’d slept for the first time in days.

Sue fixed up the guest room so I could stay with her as long as I needed. The pain and panic persisted. I didn’t know how much longer I could survive. I thrashed wildly at night, hitting my head on the brass headboard. Sometimes I awoke to the sound of Sue playing Easter hymns on her piano, convinced I was hallucinating.


계기반의 시계가 새벽 4시임을 알려 주었다. 한참 전에 누군가가 해 준 조언이 떠올랐다. 

“새벽 4시에 전화할 수 있는 친구야말로 정말 중요한 존재죠.”

소중한 친구 수를 떠올렸다. 수의 남편은 폐질환으로 산소를 사용했는데, 어쩌면 그게 도움이 될까? 평소 우리는 매일 얘기를 나눴지만, 이번 금단 증세를 겪기 시작하면서는 친구의 목소리를 듣지 못했다. 아마도 친구는 애태우면서 전화했을 거다. 며칠 동안 음성 사서함도, 이메일도, 우편함도 확인하지 못했다. 핸드폰으로 수에게 전화해서 내 상황을 이야기했다.  

“당장 와. 산소를 준비해 놓을게.” 친구가 말했다. 

레베카가 춥고 깜깜한 밤에 운전해서 날 수의 집에 데려다주었다. 수는 소파를 임시변통으로 침대로 만들고는 날 눕혀 놓고 산소를 가져왔다. 게걸스러운 내 폐로 산소를 들이마셨다. 친구는 소파 곁에 의자를 놓고 심하게 흔들리는 내 다리를 주물렀다. 몇 분이 지나자 더 이상 공기를 탐하지 않았다. 몸이 편안해지기 시작했다. 세 시간 후 커피와 건포도 토스트 향을 맡으며 잠에서 깼다. 며칠 만에 처음으로 잤다.

수가 손님방을 손본 덕분에 나는 필요한 만큼 친구 집에서 지낼 수 있었다. 통증과 공황은 끈질겼다. 내가 얼마나 더 견딜는지 알 수 없었다. 밤이면 거세게 몸부림치면서 놋쇠로 된 침대 머리에 머리를 들이받았다. 때때로 수가 피아노로 부활절 찬송가를 연주하는 소리에 눈을 떴는데, 내가 환각을 일으켰다고 확신했다. 


Then, four days before Easter, something changed. I awoke in the middle of the night with the most bizarre feeling. As if I were being held, wrapped in a giant hug. Safe and secure, buoyed by some force. As if I were being lifted up somehow. Tentatively, I listened for the voices. They were still there. But they were different this time.

You’re going to make it, Roberta! Don’t be afraid.

You aren’t going to just survive. You’re going to thrive.

This new medicine is going to work wonders!

I felt strong. Confident. Courageous. It defied all logic! I grabbed my journal and wrote down everything I was hearing. These voices…they weren’t mine.

The pain didn’t immediately subside. But I knew, without a doubt, I was going to be okay. On Easter morning, I awoke to Sue practicing the piano again, singing the hymn “He Arose.” I zipped up my jacket, poured myself a cup of coffee and found my way out to the front porch. It was daylight. I climbed into Sue’s big wicker porch swing and listened to the birds singing. Across the street, I could see a woman planting flowers as her husband washed windows. Yellow and white daffodils had pushed their way through the wintry soil. Pink dogwoods were in glorious bloom. It had been ages since I’d seen or contemplated such things. I thought again of the voices. The good ones, now running through my head regularly.

There’s nothing to fear, Roberta. You’re going to make it!

I knew this time I would.


그러다가 부활절을 나흘 앞두고 무엇인가가 달라졌다. 아주 기묘한 기분을 느끼면서 한밤중에 깼다. 커다란 품에 폭 싸여서 안긴 느낌이었다. 안전하고 보호받고 있으며 어떤 힘이 떠받쳐 주는 듯했다. 잘은 모르겠지만 어찌어찌해서 들어 올려진 기분이었다. 망설이면서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목소리는 여전히 거기에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달랐다. 

넌 해낼 거야, 로베르타! 두려워하지 마.

넌 그저 살아남는 게 아니야. 아주 잘될 거야. 

이 새로운 약은 기적을 낳을 거야!

기운이 나면서 자신감이 생기고 용기가 솟았다. 그건 모든 논리를 거슬렀다! 일기장을 붙잡고 내가 들은 걸 모두 썼다. 이 목소리는… 내 것이 아니었다. 

통증이 당장 가라앉지는 않았다. 하지만 의심할 여지 없이 내가 괜찮아질 것임을 알았다. 부활절 아침에 수가 피아노를 연습하면서 찬송 ‘예수 사셨다’를 노래하는 소리에 다시 잠이 깼다. 재킷의 지퍼를 올리고 커피를 한 잔 따라서 집 앞 현관으로 나섰다. 낮이었다. 고리버들 가지로 만든 큼지막한 현관 그네에 올라서 새들이 노래하는 걸 들었다. 길 건너편에는 남편이 창문을 닦는 동안 꽃을 심는 아내가 보였다. 노랗고 하얀 수선화가 겨울 흙을 뚫고 나왔다. 분홍빛 층층나무꽃이 아름답게 피었다. 이런 것들을 보거나 가만히 응시한 게 한참 전이었다. 목소리를 다시 떠올렸다. 이제는 선한 목소리들이 규칙적으로 내 머리에 퍼졌다.  

두려워할 것 없어, 로베르타. 너는 해낼 거야! 

이번에는 내가 그럴 것임을 알았다. 


After 10 days at Sue’s, I was well enough to return home. As I rejoined the living, I finally listened to my voicemails, read my email and collected the big stack of colorful envelopes and packages from my mailbox. I hadn’t told a single soul outside my inner circle what I was going through. And yet dozens—many dozens—of people had prayed for me anyway.

“I sensed you’re in crisis, Roberta,” one friend wrote. “I’m praying for swift healing.”

“I felt moved to pray for new pain relief for you,” another friend emailed.

Wanda in Montana had placed a lovely lace handkerchief inside healing passages in her Bible, prayed the verses and then tucked the handkerchief inside a gorgeous card that she sent me. Peggy and Mike in upstate New York mailed me a comfort blanket they’d prayed over. Karen in Georgia had been pausing by a bush of red roses every morning to talk to God specifically about me. The prayers got more and more specific.

“I suddenly felt you need God’s peace, Roberta. Lord, I am praying that you be with my friend and comfort her.…”

“Dearest Roberta, I knew you were in trouble, so I gathered my entire church and we were anointed with oil and prayed for you.”

Readers of my stories that have appeared in Guideposts magazines and books wrote in too.

“I found your address online and had to write to say that I am praying for you,” wrote a woman named Pauline from Michigan. “I sense you are in difficulty and am asking God for your healing from pain.”

The prayers went on. And on. I went back and checked the dates on the messages, then compared them to the dates in my journal. They were all dated a few days before Easter. The very time I’d had that feeling of being inexplicably held.

“It’s the friends you can call at 4 A.M.….” the advice went.

I had called. The greatest Friend of all—and his network of followers— had answered.


친구 집에서 열흘을 보냈더니 집으로 돌아갈 수 있을 만큼 좋아졌다. 생활에 복귀하면서 마침내 음성 사서함을 듣고 이메일을 읽었으며 우편함에 산더미처럼 쌓인 색색의 봉투와 소포를 챙겼다. 가깝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외에는 누구에게도 내가 무슨 일을 겪는지 얘기하지 않았다. 그런데도 수많은-정말 수많은-사람이 날 위해 기도해 주었다.  

“네가 위기에 처했다는 걸 알아챘어, 로베르타. 빠른 회복을 위해 기도하고 있어.” 

한 친구가 이렇게 썼다.

“네게 맞는 새로운 진통제를 위해 기도하고 싶은 마음이 들었어.” 

다른 친구는 이메일을 보냈다. 

몬태나주의 완다는 성경에서 치유가 되는 구절에 예쁜 레이스 손수건을 넣고 그 구절로 기도드린 다음, 멋진 카드에 그 손수건을 끼워서 내게 보냈다. 뉴욕주 북부에 사는 페기와 마이크는 기도할 때 쓰던 애착 담요를 우편으로 보내 주었다. 조지아주의 카렌은 아침마다 빨간 장미 관목 곁에서 잠시 멈춰서 하나님께 구체적으로 내 얘기를 말씀드렸다. 기도는 점점 더 구체적으로 되었다. 

“갑자기 네게 하나님의 평화가 필요하다고 느꼈어, 로베르타. 주님, 당신께서 제 친구와 함께하시며 위안을 주시기를 기도드립니다….” 

“친애하는 로베르타, 네가 곤경에 빠졌다는 걸 알았어. 그래서 교회 사람들을 다 모아서 성유를 바르고 널 위해 기도했어.” 

가이드포스트 잡지와 책에 실린 내 이야기를 읽은 독자들도 편지를 보내왔다. 미시간주의 폴린이라는 여성은 다음과 같이 썼다. 

“온라인으로 주소를 찾았어요. 당신을 위해 기도하고 있다는 걸 편지로 알려야 했거든요. 로베르타가 어려움에 처했다는 걸 알았고 하나님께 당신을 통증에서 치유해 주십사 부탁드리고 있어요.” 

기도는 계속 이어졌다. 끝없이 이어졌다. 거슬러 올라가서 메시지들의 날짜를 확인하다가 내 일기장의 날짜들과 비교해 보았다. 모두 부활절 며칠 전이었다.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안겨 있다는 느낌을 받던 바로 그때였다. 

“새벽 4시에 전화할 수 있는 친구야말로….” 

그 조언이 맞았다. 나는 전화를 ‘정말’ 걸었다. 누구보다도 뛰어난 친구와 그를 따르는 사람들로 이루어진 네트워크가 그 전화를 받았다.

우편 보내실 곳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고객관리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계좌안내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


우편 보내실 곳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고객관리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계좌안내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