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SONAL BEST

My Own Way to Shine

나답게 빛나라


Guideposts 2025 | 04


PERSONAL BEST

Guideposts 2025 | 04

My Own Way to Shine

나답게 빛나라


ㅡ 

My husband, the pastor. My husband, the mayor. I loved Kevin, but sometimes I felt as if I lived in his shadow

목사인 남편, 시장인 남편, 나는 케빈을 사랑하지만 어떤 때는 내가 그의 그늘 아래 사는 느낌이다.


By LYNNE HARTKE,  Chandler, Arizona

린 하케  애리조나주 챈들러





What’s taking him so long? I waited in the hallway outside the fourth-grade classroom where my husband, Kevin, was reading to the class. I’d already finished reading to a class of third graders.

Read Across America, a week of encouraging reading and literacy, was something Kevin, who was our city’s mayor, and I both were excited to be a part of. I’d picked a story that gave me the chance to share about my Norwegian heritage. My class had seemed quietly interested. Now I wondered.

Was my husband upstaging me again? His book couldn’t have been more than 25 pages, mostly pictures about the ocean. I felt a familiar twinge of insecurity. Kevin is a crowd-pleasing dynamo, a big personality. I’m anything but—in keeping with my reserved Norwegian heritage, I suppose. Recently it felt as if I lived in Kevin’s shadow.

The classroom door burst open, and out came Kevin to a raucous ovation.

“Thanks for the story, Mr. Mayor!”

“When are you coming back to read?”

I looked at Kevin, then at the inflatable killer whale, an old pool toy he’d blown up and brought along as a prop.

“Did you even read the story?” I asked him.

“Of course,” Kevin said, with a mischievous grin.

After the reading, he’d started a game of “Don’t Let the Killer Whale Touch the Ground” as the kids batted the toy back and forth.

“So, basically, you turned the classroom into a killer whale mosh pit?”

I carried his book back to the car while he juggled the whale. I thought of the quiet class of third graders I had just left. Nobody had pumped their fists when I was done.


왜 이렇게 오래 걸리지? 

나는 4학년 교실 복도에서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 주는 남편 케빈을 기다리고 있었다. 나는 3학년 아이들에게 책 읽어 주기를 이미 끝낸 상태였다.

일주일간 독서와 문해력을 장려하는 ‘전국 책 읽어 주기 프로젝트(Read Across America)’는 우리 시의 시장인 남편 케빈과 내가 너무나 참여하고 싶던 일이었다. 나는 나의 노르웨이 유산을 공유할 기회가 될 이야기를 선택했다. 우리 반 아이들은 조용한 관심을 보였다. 나는 의아했다.

남편이 또 나보다 잘했나? 그가 택한 책은 스물다섯 페이지를 넘지 않고, 대부분 바다에 관한 그림이었다. 익숙한 찌릿한 불안감이 느껴졌다. 케빈은 사람들을 즐겁게 만드는 능력이 있는 외향인이었다. 나는 전혀 아니다. 아마도 나의 타고난 내성적인 노르웨이 성향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최근 나는 내가 케빈의 그림자 안에서 산다는 느낌이 들었다. 교실 문이 활짝 열리자 시끌벅적한 박수갈채를 받으며 케빈이 나왔다.

“이야기 들려주셔서 감사해요, 시장님!”

“언제 다시 책 읽어 주러 오시나요?”

케빈을 보았다. 그리고 범고래 캐릭터 풍선이 보였다. 오래된 물놀이용 캐릭터 풍선을 불어서 소품으로 가져온 것이다.

“책은 읽어 주긴 한 거야?” 그에게 물었다. “물론이지.” 

케빈이 장난기 가득한 미소를 보이며 말했다. 케빈은 책을 다 읽고 나서 ‘범고래를 땅에 닿지 않게 하기’ 게임을 했다. 아이들은 범고래 장난감을 앞뒤로 튕겼다.

“그러니까, 결국, 교실을 범고래가 이리저리 날뛰는 공연장으로 만들었다는 거야?”

남편이 범고래 풍선을 잡느라 곡예를 하는 동안, 나는 그의 책을 들고 차로 왔다. 내가 방금 떠난 조용했던 3학년 반을 떠올렸다. 내가 책을 다 읽었을 때, 누구도 주먹을 불끈 쥐며 반응해 주지 않았다.


Before becoming the mayor of Chandler, Arizona, Kevin had pastored a church for more than 30 years. I’d been comfortable there, a space where I was known by the congregation and felt my introspective personality was appreciated—valued, even, alongside Kevin’s gregariousness. I thought we complemented each other. Things changed in 2019, when Kevin was elected mayor. His new role involved endless invitations to multiple community events. I was expected to tag along. Comparisons to Kevin were inevitable.

One event still made me cringe. The city got an award from a local radio station. There was a celebratory presentation outdoors. One “fun” activity was a vintage Chevrolet tricked out as a karaoke machine with programmable tunes played over the radio. I landed next to Kevin in the front seat. The organizers asked us to sing a 1970s song as cameras rolled.

“Sing louder,” the station’s most popular DJ shouted above the din, sticking the camera inches from my face.

“I don’t know the words.”

“Just sing! Fake it!”

Kevin, naturally, was in his element, belting out the tune. I glued a smile on my face and moved my lips soundlessly. I’m not good at faking stuff.

At a festival weeks later, performers asked for volunteers to come up to learn a Bollywood dance number. Of course, Kevin was first in line. I slunk to the concession stand to grab a snow cone and make myself inconspicuous.

“Your husband is the best!” people exclaimed as we made the rounds later.

“Yes. Yes, he is,” I agreed. My insecurities notwithstanding, I was proud of Kevin. In his sixties, he’d managed to transform himself literally from pastor to popular mayor. Why couldn’t I make an adjustment? I’d endorsed his candidacy wholeheartedly, if from the wings. Deep down, I’d wanted to be more of a supportive public wife.

Truth was, I’d always wanted to be someone I wasn’t. Fun. Outgoing. Popular. Even a little wild. God, would it be so hard to give me a little more spunk? I’d wondered all my life.

I still felt stuck in my schoolyard days, wishing I knew what it took to join the cool kids. One recess game we used to play was Red Rover, where kids tried to break through the opposing line of players after somebody called their name. “Red Rover, Red Rover, send so-and-so right over.” I’d waited for someone to call my name. And waited. I wanted so badly to go bursting through that line, to not always be the bookworm A student that I was. My one nod to extroversion? Being the first to raise my hand in class.


애리조나 챈들러 시장이 되기 전 케빈은 30년 이상 목회 생활을 했다. 그곳에서 나는 편안했다. 신자들이 알아봐 줬고, 내성적 성격도 존중받았다. 심지어 케빈의 사교적 성향과 함께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우리는 서로를 보완한다고 생각했다. 2019년 케빈이 시장에 당선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케빈의 새로운 역할은 다양한 지역 행사에 끊임없이 초대받는 것도 포함되었다. 나도 함께 참여해야 했다. 케빈과 비교되는 일을 피할 수 없었다.

한 사건이 여전히 나를 위축시킨다. 우리 시는 지역 라디오 방송국에서 상을 받았다. 야외에서 축하 발표가 있었다. 한 가지 ‘재미있는’ 행사는 노래방 기계로 변장한 빈티지 쉐보레 자동차로, 라디오를 통해서 선택한 음악이 나왔다. 나는 맨 앞줄 케빈의 옆자리로 갔다. 주최 측에서 카메라로 촬영하면서 우리에게 70년대 노래를 불러 달라고 요청했다.

“더 크게 불러 주세요.” 방송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디제이가 코앞까지 바짝 카메라를 들이대면서 소음을 뚫고 소리쳤다. 

“가사를 몰라요.” “그냥 불러요! 대충이라도요!” 

케빈은 물 만난 고기처럼 무리 없이 노래를 힘차게 불렀다. 나는 미소를 장착한 채 소리 없이 입술만 움직였다. 나는 못하는 것을 어설프게 흉내 내는 것을 잘 못한다. 몇 주 후, 한 축제에서 공연자들이 무대 위로 올라와 볼리우드댄스를 배울 사람이 있느냐고 물었다. 당연히 케빈은 맨 앞에 줄을 섰다. 나는 눈에 띄지 않으려고 슬그머니 빠져나와 매점에 가서 스노우콘을 하나 집었다. 

“남편분이 대단하세요!” 사람들이 우리가 돌아다닐 때 환호했다.

“네네, 정말 그래요.” 나는 동의했다. 불안감이 느껴졌지만, 나는 케빈이 자랑스러웠다. 그는 60대의 나이에 자신을 말 그대로 목사에서 유명한 시장으로 변신시켰다. 나는 왜 적응할 수 없었던 걸까? 나는 뒤에서 남편의 입후보를 전적으로 지지했다. 속으로는 훨씬 더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아내가 되고 싶었다.

진실은, 나는 항상 내가 아닌 다른 누군가처럼 되고 싶었다. 재미있고, 외향적이며, 인기 많은 사람. 심지어 약간 거친 사람이 되고 싶었다. 

‘하나님, 제게 용기를 조금만 더 주시는 일이 어려우실까요?’ 

나는 일생을 궁금해했다. 나는 아직도 학창 시절 운동장에 남아서 쿨한 아이들 사이에 끼는 방법을 알고 싶었다. 쉬는 시간에 우리는 줄곧 레드로버 게임을 하곤 했다. 누군가 자신의 이름을 불러 주면 상대 팀이 만든 줄을 뚫고 지나가는 게임이었다. 

“레드로버. 레드로버. 땡땡이를 이쪽으로 보내.” 

나는 누군가 내 이름을 불러 주길 바랐다. 기다렸다. 나는 그 선을 뚫고 싶었지, 책벌레 학생으로 남고 싶지 않았다. 내가 유일하게 외향적인 모습을 허락하는 순간은? 수업 시간에 첫 번째로 손을 드는 것이었다.


The morning after the killer whale incident, Kevin and I sat at the kitchen table going over our schedules. I had not slept well; I’d lain in bed silently critiquing my classroom performance. Had I bored those kids to death? Should I have just stayed home?

“Darling,” I finally said, “I don’t think I’m cut out for public life. You’re such a natural. Being a pastor prepared you. This was God’s plan for you. But was it his plan for me?”

“It’s too late to bail out now,” Kevin said with a chuckle. Then he noticed I was on the verge of tears. He set aside his schedule. “Lynne, God made you who you are. He loves you as you are. And he wants you to love the person he made you to be.” He gave me the grin I loved. “And you are a perfect fit for me. The last thing I want is to be married to someone exactly like me.”

Kevin’s words made me feel better. They usually did. He was a pastor, after all. But I was still searching for an answer, still that girl on the playground wanting to be someone else.

The school asked us to read again. Kevin would go to the older classes, his outsize personality perfect for eye-rolling preteens. He’d have them eating out of his hand. The school had a different task for me: “Would you consider a special needs classroom? We can’t find a volunteer to read there.”

I paused. Did I want to set myself up for failure again? Still, I agreed. I didn’t want to let the kids down, even if they were stuck with me as the reader.

I walked into the classroom of five-year-olds. The head teacher welcomed me. Three teacher’s aides sat among the eight students. My book, about animals living in the woods, was a simple lesson about harmony in nature. Its award-winning illustrations would, I hoped, hold the kids’ attention. I read in a clear, calm voice. No killer whale for this class, just my subdued, book-loving self. Sometimes I dropped my voice to a whisper.

Despite my efforts, things fell apart. An aide took one child out of the classroom when he would not listen. Another child clapped the entire time. Another stared, fascinated, at the ceiling. I closed my book, doubting I’d connected with the kids at all.

Afterward, I apologized for not doing a better job. “Are you kidding?” the teacher said. “Your style was just right. Calm. Soothing. No surprises.”

She must have sensed my doubt. “You were exactly what the children needed. It would have been so easy to overstimulate them. I was worried about that. You have no idea how smoothly this went.” She gave my arm a squeeze. “Thank you so much.”

Kevin was addressing a knot of rapt kids in the school courtyard. I smiled at him doing his thing. As I headed to the car, something inside me shifted. I too had been taught a lesson, one I’d been trying to learn all my life. I was who I was—a little shy, a little quiet, a little reserved but totally me. I honored God by being myself.

“Thank you, Lord,” I said. “I would shout for joy and do cartwheels down the sidewalk, but as you know, that’s just not my style!”


범고래 사건이 있은 다음 날 아침, 케빈과 나는 식탁에 앉아 우리 일정을 살펴보고 있었다. 나는 잠을 제대로 못 잤다. 침대에 누워서 내 수업을 조용히 평가했다. 나는 아이들을 너무도 지루하게 만들지 않았나? 차라리 집에 있을걸 그랬나?

“여보.” 마침내 내가 입을 열었다. “나는 공적인 삶에 적합하지 않은 것 같아. 당신은 타고났잖아. 목사로 지낸 경험이 당신을 준비시켰어. 당신을 위한 하나님의 계획이었어. 그렇지만 나를 위한 계획이기도 할까?” 

“도망치기에는 이미 늦었어.” 껄껄 웃으며 케빈이 말했다. 하지만 내가 금방이라도 눈물을 터뜨릴 것 같다는 걸 눈치챘다. 그는 일정표를 옆으로 치웠다. 

“린, 하나님께서 지금의 당신을 만드셨어. 당신 모습 그대로 사랑하시고. 그리고 하나님께서는 당신이 그분이 만드신 당신을 사랑하길 바라셔.” 

그는 내가 사랑하는 그 미소를 지어 주었다. 

“그리고 당신은 내게 완벽한 사람이야. 나는 나와 완전히 똑같은 사람과 결혼하고 싶지 않아.” 

케빈의 말에 기분이 훨씬 좋아졌다. 그의 말은 항상 그랬다. 결국 그는 목사였으니까. 그러나 나는 여전히 답이 필요했다. 운동장에 있던 그 소녀는 여전히 다른 누군가가 되고 싶었다. 학교에서 내게 또 책을 읽어 주러 오라고 부탁했다. 케빈은 더 높은 학급에 가게 되었다. 그의 대담한 성격은 눈을 굴리며 지루한 티를 팍팍 내는 사춘기 직전의 아이들에게 완벽했다. 케빈은 아이들을 손아귀에 넣고 흔들었다. 학교는 나에게 다른 임무를 부탁했다.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반을 생각해 보시겠어요? 그 학급을 위한 봉사자를 찾기가 힘드네요.” 

나는 멈칫했다. 나를 또 실패의 무대에 세우고 싶은가? 그럼에도 알겠다고 했다. 아이들이 억지로 나를 책 읽기 강사로 만난다 해도, 아이들을 실망시키고 싶지 않았다. 나는 다섯 살 반 교실로 들어섰다. 담임교사가 나를 환영했다. 보조 교사 세 분이 여덟 명의 아이 사이에 앉아 있었다. 숲에 사는 동물에 관한 내 책은 자연과의 조화에 대한 간단한 교훈을 담고 있었다. 수상 경력이 있는 책 속 삽화들이 나의 바람대로 아이들의 주의를 끌길 바랐다. 나는 명확하고 차분한 목소리로 책을 읽었다. 이 교실에는 범고래가 아닌, 은은하고 책을 사랑하는 나만 있었다. 때때로 목소리를 낮춰 속삭이듯 읽었다.

이런 나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모든 것이 무너져 버렸다. 보조 교사가 집중하지 못하는 아이를 데리고 교실 밖으로 나갔다. 또 다른 아이는 내내 손뼉을 쳤다. 어떤 아이는 천장에 푹 빠져서 응시했다. 나는 책을 덮었다. 아이들과 전혀 교감하지 못한 것 같다는 의구심이 들었다. 수업 후, 나는 더 잘하지 못해서 미안하다고 했다. 

“무슨 말씀이세요? 정말 적절한 방식이었어요. 차분하고, 부드럽고, 자극적이지 않고요.” 선생님이 말했다. 그는 나의 의심을 알아차렸나 보다. 

“정확히 아이들에게 필요한 대로 하셨어요. 그 아이들을 자극하는 건 정말 쉬운 일이지요. 그 부분이 저는 걱정됐어요. 얼마나 순조롭게 진행하셨는지 몰라요.” 그는 내 팔을 꽉 잡았다. “정말 감사합니다.”

남편 케빈은 학교 건물 앞에서 초집중한 아이들 무리에게 말을 하고 있었다. 그가 말하는 방식이 미소 짓게 했다. 차로 돌아가는데, 내 마음에 어떤 변화가 생겼다. 나도 교훈을 얻었다. 일생을 배우려고 노력했던 그 교훈. 내가 누구인지 알게 되었다. 나는 조금은 수줍고, 조금 조용한 학교 운동장 속 아이이며, 그것이 완전히 나다운 내 모습이다. 나는 온전한 나로서 하나님께 경의를 표했다.

“감사합니다, 주님. 저는 기쁨에 넘쳐 소리치며, 인도에서 한 바퀴 도는 묘기를 부리고 싶지만, 아시다시피, 그건 제 스타일이 아니잖아요!”

우편 보내실 곳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고객관리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계좌안내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


우편 보내실 곳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고객관리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계좌안내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