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BEGINNINGS

A Teacher’s Heart

진짜, 선생님


Guideposts 2025 | 05


NEW BEGINNINGS

Guideposts 2025 | 05

A Teacher’s Heart

진짜, 선생님


ㅡ 

It was my first teaching job—and my last, I hoped. 

Someone had other ideas

가르치는 일은 처음이었으며, 또한 마지막이기를 바랐다. 

하지만 그분의 생각은 달랐다.


By EMILY E. RYAN, League City, Texas

에밀리 E. 라이언  텍사스주 리그시티 




It took everything in me not to slam the door behind the last seventh grader who slouched out of my classroom at the end of my first day as a teacher. I collapsed against the wall and did breathing exercises, trying to slow the pounding of my heart.

The door opened. I was about to yell, “Classroom closed!” when I saw it was my friend Tabatha, who worked in the school office.

“So how’d it go?” she asked, her eyes twinkling at my obvious state of defeat.

“I can’t believe I have to do this all again tomorrow!”

“The first day is always the hardest,” she said. “It gets better from here, I promise.”

I wasn’t buying it. “Teaching is exhausting,” I said. “And this classroom feels like a prison. I can’t escape. I can’t be alone. I can’t even go to the bathroom when I need to.”

Tabatha picked up crumpled papers that littered the floor and straightened desks that had shifted every which way, as if they’d settled from the aftermath of an earthquake. “Are you scared being a teacher isn’t going to be what you expected?” she asked.

I thought back to my first year of college, when I’d had the misguided notion that I wanted an education degree so I could shape young lives and minds and help them fall in love with learning as much as I had. Part of my college training involved time in several classrooms, observing the realities of teaching. Impossible standards. Disrespectful, sometimes even hostile students. Unrealistic demands by administrators trying to hold on to their own jobs. The occasional entitled parent.

As soon as I could, I switched my major to English. I had no idea what career that might lead to. The only thing I knew was that I was never going to be a teacher.

Now my eyes met Tabatha’s. “Worse,” I said. “I’m afraid it’s exactly what I expected.”

Tabatha laughed, thinking I was joking, and left. I leaned my head against the wall, shut my eyes and pleaded, “God, get me out of here!”

Why had he put me in this situation? Wasn’t he supposed to know my every thought, my every need? I was totally unsuited for teaching. I was an introvert who longed for peace, quiet, order. After college, I’d worked in finance. Now I was a married, middle-aged mom of four children under 12. The past four years, I’d been writing part-time for a nonprofit ministry. That was my idea of a perfect job—work that did some good in the world, my own private office, time to be home with my kids. Then the non-profit closed.


교사로서의 첫날이 끝나갈 무렵, 마지막으로 교실을 구부정하게 걸어 나간 7학년 학생 뒤에서 문을 소리 내지 않고 닫느라 내 안의 모든 것이 필요했다. 쿵쾅거리는 심장을 진정시키려 애쓰면서 벽에 부딪혀 쓰러진 채 호흡 운동을 했다. 

문이 열려서 소리를 지르려던 참이었다. 

“수업 끝났어요!”

봤더니 교무실에서 일하는 친구 타바사였다. 

“그래서 어땠어?”

물어보는 친구의 눈은 누가 봐도 알아챌 나의 패배에 반짝반짝 빛났다. 

“내일 이걸 전부 또 해야 한다는 걸 믿을 수 없어!”

“언제나 첫날이 가장 힘들어. 이제부턴 나아질 거야. 약속해.”

그 말을 믿지 않았다.

“가르치는 일은 고역이야. 이 교실은 감옥 같아. 탈출할 수도 없고 혼자 있을 수도 없는데 화장실조차도 필요할 때 갈 수가 없어.”  

타바사는 바닥에 어지러이 흩어져 있던 구겨진 종이를 줍고 사방으로 움직인 책상을 정리했는데, 지진의 여파에서 수습되는 것 같았다. 친구가 물었다. 

“선생님이 되는 게 생각 같지 않을까 봐 두렵니?”  

대학교 신입생 시절을 떠올렸다. 당시에는 청소년의 삶과 정신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들이 나만큼 배움에 푹 빠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교육학을 전공하고 싶다는 헛된 생각을 품었다. 대학 교육의 일부는 다양한 교실에서 시간을 보내면서 교직의 현실을 관찰하는 일을 포함했다. 불가능한 기준, 무례하고 때로는 적대적인 학생들. 자신의 일자리를 지키려고 애쓰는 행정가들의 비현실적인 요구. 이따금 나타나는 도를 넘는 부모.    

가능한 한 빨리 전공을 영문학으로 바꿨다. 그게 어떤 직업으로 이어질지는 몰랐다. 내가 아는 건 절대 교사가 되지 않으리라는 것뿐이었다. 

이제 내 눈이 타바사의 눈과 마주쳤다.

“더 안 좋아. 내가 예상한 그대로일까 싶어서 두려워.” 

친구는 내가 농담한다고 생각해서 웃음을 터트리고는 떠났다. 벽에 머리를 기대고 눈을 감고는 간청했다.

“하나님, 저 좀 여기서 꺼내 주세요!” 

그분께서는 어째서 날 이런 상황에 두셨을까? 내 모든 생각과 욕구를 아셨어야 하는 거 아닐까? 나는 교직에 전혀 어울리지 않았다. 내성적인 사람으로 평온, 고요, 질서를 간절히 원했다. 대학 졸업 후에는 금융계에서 일했고, 지금은 기혼으로 열두 살 미만의 자녀 넷을 둔 중년의 엄마였다. 지난 4년 동안 비영리 단체를 위해 시간제로 글을 썼다. 거긴 내가 생각하는 최고의 일자리였다. 세상에 좋은 일을 하며 전용 사무실이 있고 집에서 아이들과 함께할 시간이 있었다. 그러다 비영리 단체가 문을 닫았다.



We couldn’t afford for me not to work, but I couldn’t find anything that meshed with my kids’ schedules. Out of desperation, I applied to be a sub at a private Christian school. One day, the principal called. “Our junior high English teacher just quit,” he said. “You have an English degree. Are you interested?”

I didn’t have any other option. And now my first day had confirmed what I’d decided in college: Teaching wasn’t for me. God couldn’t get me out of the classroom fast enough.

Except he didn’t. Day after day, I dragged myself home, drained. My students seemed intent on working my last nerve. I spent hours every evening grading papers and writing lesson plans, with barely any energy left for my own children. My husband heard plenty about how miserable and trapped I felt.

I kept my eyes open for other jobs. Nothing materialized. The prospect of having the summer off with my children was the only thing that got me through the rest of the school year.

But those eight weeks of summer break went by in the blink of an eye. Too soon, I was back in the lion’s den…I mean, the classroom. Every day was a slog for me. My prayer journal sounded like David’s laments in Psalms, where I poured out my bitterness and sadness. I tried to follow David’s example and trust in the Lord’s power. I knew he could deliver me from my situation. Why was he taking so long?


우리 형편으로는 내가 일하지 않을 수 없지만, 아이들의 일정과 맞는 일은 전혀 찾을 수 없었다. 절박한 심정으로 사립 기독교 학교의 임시 교사 자리에 지원했다. 어느 날 교장이 전화했다. 

“중학교 영어 교사가 사직을 했어요. 영문학 학위를 갖고 계시군요. 관심 있으세요?”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그리고 학교에서 보낸 첫날은 대학 때 내린 결정을 확인해 주었다. 교직은 내게 맞지 않았다. 하나님께서는 날 교실 밖으로 충분히 빨리 내보내시지 못했다. 

그분께서는 그렇게 하지 않으셨다. 날마다 힘겹게 집에 돌아오면 녹초가 되었다. 학생들은 내 인내심을 바닥까지 시험하는 일에 열중하는 것 같았다. 매일 저녁 과제를 채점하고 수업 계획안을 짜면서 시간을 보내면 내 아이들을 위한 에너지가 거의 남아 있지 않았다. 남편은 내가 얼마나 비참하고 덫에 걸린 기분인지를 수없이 들었다. 

다른 일자리가 있는지 눈을 똑바로 뜨고 살폈으나, 아무것도 실현되지 않았다. 여름에 쉬면서 내 아이들과 있을 수 있다는 기대만이 남은 학년을 버티게 했다. 

하지만 여름 방학 8주는 눈 깜짝할 새에 지나갔다. 나는 너무 빨리 사자 굴… 그러니까 교실로 돌아갔다. 날마다 강행군이었다. 쓰라림과 슬픔을 쏟아내는 기도 일기는 시편에 담긴 다윗의 탄식 같았다. 다윗을 본받고 주님의 힘을 믿으려 애썼다. 그분께서 날 이 상황에서 구원해 주실 수 있음을 알았다. 왜 이렇게 오래 뜸 들이시는 거지?



Later that school year, I was one of four teachers who chaperoned 54 students on a field trip to Washington, D.C. What an exhausting experience! I was glad to sink into my seat on the flight home. Until the pilot made an announcement: “We’ll be flying through severe turbulence. Please remain seated with seat belts fastened.”

The first few bumps were manageable. I flashed a smile to the students sitting near me, trying to look braver than I felt. Then the plane plummeted like a roller coaster. Kaylee, a red-headed eighth grader across the aisle from me, grabbed my hand, her fingernails digging into my palm. “Mrs. Ryan, will you pray?” she begged.

For some reason, this student trusted me. I couldn’t let her down. “God, we’re terrified and want this to be over,” I prayed aloud. “Please calm the air around us. Steady our nerves. Give us courage and peace, and remind us that you are carrying us through every second of this storm.”

The turbulence didn’t go away immediately, but my fear did. Even Kaylee and the other kids around me seemed to exhale in relief. When the plane finally landed, everyone erupted in whoops and cheers. I stepped off the plane feeling an unfamiliar softness toward my students. Instead of wanting to get away from them, I wanted to help them.

Back at school, I came to God with a very different request than I had over the past months. “Give me the heart of a teacher,” I asked. I kept praying that prayer, day after day.

Without meaning to, I had been kind of a “gotcha” teacher, expecting my students to grasp concepts the first time I presented them and making no secret of my disappointment when they struggled. As my attitude shifted, I found myself wanting to meet them where they were, to connect with them as individuals. I started caring about them, praying for them by name. And slowly they responded. They became more attentive, more eager to learn.

I read aloud to my students, bringing characters and plot alive for them. What a thrill it was to see them get caught up in a great book! With my encouragement, they began to take risks in their own writing, to unleash their creativity. Preparing and planning took even more time than it used to, but it felt as if I was investing not only in my students but also in myself.

I’d assumed I didn’t have the right skills or temperament to be a teacher. But I was discovering I could reach my students and do some good right there in the chaos of the classroom. Teaching gave me a sense of joy and fulfillment I’d never have experienced tucked away in a quiet private office.


학년 말에 나는 워싱턴 D. C.로 가는 현장 체험 학습에서 학생 쉰넷을 따라다니면서 챙기는 네 명의 교사 중 하나였다. 얼마나 고된 일이었는지! 돌아오는 비행기에서 내 자리에 털썩 주저앉게 되어 기뻤다. 기장이 안내 방송을 할 때까지는 그랬다. 

“강한 난기류를 통과해 비행할 예정입니다.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자리에 앉아 계십시오.” 

초기 몇 번의 흔들림은 참을 만했다. 스스로 느끼는 것보다 용기 있어 보이려고 가까이 앉은 학생들에게 미소를 흘끗 보였다. 그러다가 비행기가 롤러코스터처럼 곤두박질쳤다. 통로 맞은편에 앉아 있던 빨간 머리의 8학년 학생 케일리가 내 손을 꼭 잡았는데, 손톱이 내 손바닥을 파고들 지경이었다. 케일리가 간청했다. 

“라이언 선생님, 기도하실래요?” 

무슨 이유에서인지 이 학생은 날 믿었다. 학생을 실망시킬 순 없었다.

“하나님, 저희는 두렵고 이 상황이 끝나길 바랍니다. 부디 저희를 둘러싼 대기를 가라앉혀 주시고 저희의 초조함을 진정시켜 주세요. 용기와 평안을 주시고, 당신께서 저희를 도와 이 폭풍의 매 순간에서 벗어나게 하실 것임을 일깨워 주세요.”  

나는 큰 소리로 기도했다. 

난기류가 즉각 물러나지는 않았지만, 공포는 사라졌다. 케일리와 주변의 다른 학생들도 안도의 숨을 내쉬었다. 마침내 비행기가 착륙했을 땐 다들 환호성으로 들끓었다. 학생들을 향한 낯선 온화함을 느끼며 비행기에서 내렸다. 학생들로부터 도망치는 대신, 그들을 돕고 싶어졌다. 

학교로 돌아와서는 하나님께 지난 몇 달과는 확연히 다른 요청을 드렸다.

“제게 선생님의 마음을 주세요.” 매일같이 이 기도를 드렸다. 

그럴 의도는 아니었지만 나는 ‘단점을 찾아내는’ 교사였다. 개념을 처음 설명했을 때 학생들이 이해하기를 기대했으며, 아이들이 허덕일 때 실망감을 감출 마음도 없었다. 내 태도가 달라짐에 따라 학생의 입장에서 그들을 만나고 독립된 존재로서 소통하려는 나 자신을 발견했다. 학생들에게 신경 써서 이름을 부르며 그들을 위해 기도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천천히 학생들도 응답해 왔다. 점점 더 집중하고 배우려 했다. 

등장인물과 줄거리가 생생히 느껴지도록 학생들에게 큰 소리로 읽어 주었다. 아이들이 훌륭한 책에 빠져드는 모습을 보면 얼마나 짜릿한지! 내 격려에 힘입어 그들은 창의력을 발산하기 위해 자신의 글을 쓰는 모험을 시작했다. 준비하고 계획하느라 전보다 시간이 훨씬 더 오래 걸렸지만, 학생들뿐만 아니라 나 자신을 위해 투자하는 기분이었다.  

교사가 되는 데 적합한 기술이나 기질이 내게 없다고 여겼다. 하지만 혼란스러운 교실에서 학생들에게 손을 내밀고 좋은 일을 할 수 있음을 깨달았다. 가르치는 일은 조용한 개인 사무실에 처박혀 있을 때는 결코 경험하지 못한 환희와 성취감을 주었다.



One morning, I switched on the lights in my classroom to find it filled with balloons and streamers. Students leaped out from behind my desk. “Surprise!” they shouted. “Happy birthday!”

Behind them, my whiteboard was filled with heartfelt messages. “Best Teacher Ever.” “Thanks for being our teacher!” “We promise to listen and do our work today!”

God had worked a miracle of change. Not so much in my students or in my job, but in me. He had given me the heart of a teacher.

Spurred on to grow and improve, I took additional training and earned my professional certification, which landed me a job teaching English and language arts at a public junior high school, where I still work today.

Teaching is hard work. Being “on” all day in front of a roomful of teenagers remains challenging, and sometimes exhausting, for this introvert. There are still days when I wonder if I’m connecting with my students, if I’m making a difference.

That’s when I think about a student named Audrey, who was in my seventh-grade class. She didn’t enjoy reading, and I struggled to find a book that held her attention. Then she discovered romance novels. I read along with Audrey and asked her open-ended questions. What do you think about the character’s choices? How would you approach a situation like this? How has this book changed your relationship goals? She and I had great conversations. I encouraged Audrey to express her feelings freely in a journal. I told her how writing had helped me process my grief after my mother died when I was 10. Still, I couldn’t be sure what she would take away after a year in my class.

The following fall, Audrey, now an eighth grader, stopped by my room. She was on the girls’ volleyball team. Each player had been asked to thank her favorite teacher. “I chose you,” she said and handed me a note.

“Dear Mrs. Ryan,” Audrey had written. “I’m so glad I had you as my English teacher. You showed me how writing could help someone with something they’re going through. I never thought I would be a reader, but now I read every day. It’s crazy to me that God gave me you at the time I needed you the most. You gave me a sense of comfort and safety. You always made sure to ask if I was okay, especially when I was at my lowest. I will forever be grateful to you.”

On hard days, I reread Audrey’s note. It reminds me I’m exactly where I’m meant to be, doing work that changes lives, especially my own.


어느 날 아침, 교실의 불을 켰더니 풍선과 색테이프가 그득했다. 학생들이 내 책상 뒤에서 뛰어나와서는 외쳤다.

“짜잔! 생신 축하드려요!” 

학생들 뒤로는 진심 어린 메시지가 가득한 화이트보드가 있었다.

“최고의 선생님.” “저희 선생님이 되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오늘은 말씀 잘 듣고 열심히 하겠다고 약속합니다!” 

하나님께서는 변화라는 기적을 일구셨다. 학생들이나 내 일이 아니라, 내 안에서 만드셨다. 내게 선생님의 마음을 주셨다. 

성장하고 발전해야겠다는 자극을 받은 나는 교육을 더 받고 전문 자격증을 취득했다. 덕분에 공립 중학교의 영어 및 언어 과목 교사라는 일자리를 잡았고 오늘날까지 근무하고 있다.  

가르치는 일은 힘들다. 교실을 가득 채운 십대 앞에서 종일 ‘집중하는’ 일은 나같이 내성적인 사람에겐 여전히 어렵고 때로 기진맥진하게 만든다. 내가 학생들과 소통하고 있는지, 차이를 만들고 있는지 고민하는 날들도 여전히 있다.  

바로 그럴 때 7학년 학생이던 오드리를 떠올린다. 오드리는 독서를 좋아하지 않았기에 그녀의 관심을 끌 만한 책을 찾느라 고생했다. 오드리는 로맨스 소설을 찾았다. 같이 읽고 정해진 답이 없는 질문을 던졌다. 등장인물의 선택을 어떻게 생각하니? 너라면 이런 상황에 어떻게 접근하겠니? 이 책은 네가 관계에서 세운 목표를 어떻게 변화시켰니? 우리는 근사한 대화를 나눴다. 오드리가 일기장에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격려했다. 내가 열 살 때 어머니를 잃고 나서 느낀 깊은 슬픔을 다루는 데 오드리의 글이 도움이 되었다고 말해 주었다. 그렇지만 오드리가 1년 동안 내 수업을 듣고 무엇을 얻었는지는 확신하지 못했다. 

그다음 가을 8학년이 된 오드리가 내 교실에 들렀다. 오드리는 여자 배구팀 소속이었다. 각 선수는 가장 좋아하는 선생님에게 고마움을 전하라는 요청을 받았다. 

“저는 선생님을 택했어요.” 오드리가 이렇게 말하면서 쪽지를 건넸다. 

“라이언 선생님께. 선생님이 제 영어 선생님이어서 무척 기뻤어요. 글쓰기가 어려움을 겪는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셨어요. 스스로 독서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한 적이 한 번도 없는데 이제는 매일 책을 읽어요. 제게 선생님이 가장 필요한 시기에 하나님께서 선생님을 보내 주셨다는 사실은 정말 엄청난 일이에요. 선생님은 편안함과 안정감을 주셨어요. 특히 가장 힘들 때 언제나 제가 괜찮은지 물어봐 주셨죠. 영원히 선생님께 감사할 거예요.” 

힘든 날에는 오드리의 쪽지를 다시 읽는다. 그 쪽지는 내가 정확히 있어야 할 자리에서 삶을, 특히 내 삶을 바꾸는 일을 하고 있음을 일깨워 준다. 

우편 보내실 곳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고객관리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계좌안내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


우편 보내실 곳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고객관리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계좌안내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