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KING MARRIAGE WORK
No More Mr. Fix-It
해결사 노릇은 이제 그만
Guideposts 2025 | 07
MAKING MARRIAGE WORK
Guideposts 2025 | 07
No More Mr. Fix-It
해결사 노릇은 이제 그만
Who knew the answer to a common marital problem could come
from an animated kids’ movie like Frozen 2?
어린이 애니메이션 영화 〈겨울왕국 2〉에서
흔한 결혼 문제의 해답을 찾을 줄 누가 알았겠는가.
By ERIC STARK, Brazil, Indiana
에릭 스타크 인디애나주 브라질
I’d just pushed the button on the coffee maker when my wife walked into the kitchen. “Want a cup?” I asked her.
“I could use a pick-me-up,” Diane said and plopped down in a chair. “Susan is upset with me. She texted me a few days ago. I read the message while I was walking the dogs, but when I got back inside, I forgot to respond. It hurt her feelings. Now she says I’m not as good of a friend to her as she is to me.” She sighed. “I’m sure we’ll work it out, but I just feel rotten.”
“Did you tell her you were out with the dogs when her text came in?”
“Of course.”
I handed her the coffee. “You just need to tell her that you were busy and forgot to text her back.”
“I did.”
“Well, if you just explain to her what happened…”
“Don’t you think I tried that already?” Diane snapped.
“Why are you getting upset with me? I’m only trying to help.”
“By offering the most obvious suggestions in the world to me?” she said.
“I don’t know what you want me to say, Diane. I’m trying to help you fix your problem.”
“I don’t want you to fix my problem,” she said, her voice rising. “I just want you to listen.”
“I am listening. That’s why I was trying to help.”
“Your help isn’t what I need right now,” she said.
“But how can I…?” I began to argue, then realized this conversation wasn’t going anywhere. Like quite a few of our conversations lately. “I hope you and Susan work things out,” I said. I kissed Diane on the forehead and went upstairs to my home office.
커피머신 버튼을 막 눌렀을 때 아내가 부엌으로 들어왔다.
“한 잔 줄까?”
아내에게 물었다.
“카페인이 필요해.”
아내는 이렇게 말하며 의자에 털썩 주저앉았다.
“수잔이 나한테 화가 났어. 며칠 전에 나한테 문자를 보냈거든. 강아지들 산책시키는 동안 읽고 집에 돌아왔는데 답장하는 걸 깜빡했어. 그래서 마음이 상했나 봐. 자기만큼 나는 좋은 친구가 되어 주지 못한다더라고.”
다이앤이 한숨을 쉬었다.
“우린 잘 풀겠지. 그렇지만 좀 찝찝해.”
“문자가 왔을 때 강아지 산책 중이라고 말했어?”
“당연하지.” 나는 커피를 건넸다.
“바빠서 답장을 깜빡했다고 말하면 되잖아.”
“그렇게 했어.”
“그러니까 무슨 상황이었는지 수잔한테 설명해 주면….”
“내가 안 했을 것 같아?” 다이앤이 쏘아붙였다.
“왜 나한테 화내? 도와주려고 하잖아.”
“세상에서 가장 뻔한 조언을 해 주면서?”
“어떤 대답을 원하는지 모르겠어, 다이앤. 난 당신 문제를 해결해 주려고 한 것뿐인데.”
“당신이 내 문제를 해결해 주길 원한 게 아니야.”
다이앤이 목소리를 높였다.
“그냥 내 말을 들어주길 바란 거야.”
“듣고 있잖아. 그래서 도와주려 했던 거고.”
“지금 도움을 바라는 게 아니야.”
“그렇지만 내가 어떻게…?”
나는 따지려다가 이 대화가 계속 맴돌고 있다는 걸 알았다. 최근에 나눈 대화들처럼.
“당신과 수잔 일이 잘 풀리길 바랄게.”
나는 다이앤의 이마에 입을 맞추고 2층 서재로 올라갔다.
I’m an engineer. My brother and I had started our own company that made jet engine components. We’d sold it to a larger manufacturer. Now I run a small machine shop with a former colleague.
I had a lot of work to do. But my mind kept going back to the frustrating conversation with Diane.
We’ve been married 17 years (it’s a second marriage for both of us), and we have a great relationship. These days, though, it seemed as if anytime she talked to me about a problem she was having and I tried to help, she got mad at me. I didn’t know what to do.
That evening, I found Diane in the kitchen, dicing chicken. She turned to the stove to stir something. All four burners had a pot on them, and both racks in the oven were full too. When all five of our children lived with us, this wasn’t unusual, but now that only our youngest son was still at home, it had been a while since our kitchen was this busy.
“What are you making?” I asked.
“I’m multitasking. I’m making our dinner for tonight, plus I’m getting a head start on the casserole I’m taking to our small group at church tomorrow night.”
“Need help?”
“You can set the table.”
As I grabbed plates from the cabinet, Diane said, “I’m trying to figure out how I’m going to get everything done tomorrow before I need to leave for church. I’m not sure what time to put the casserole in the oven.”
“You need to leave at 5:30, so just count backward for however long it takes to cook.”
She stopped chopping and shot me a look. “I’m not stupid,” she said. “I have a Zoom meeting for work right when the casserole needs to go in the oven. I’m trying to decide if I should bake it earlier in the day and then reheat it before we leave.”
“I’d offer to put it in the oven, but I’ll be at the shop tomorrow. I was just planning to meet you at the church.”
“That’s fine. I’ll figure it out.”
“When I have a lot to do, I write out a schedule for the day to make sure I don’t forget anything.”
“Yeah, thanks. I hadn’t thought of that,” she said, her sarcasm punctuated with an eye roll.
“Why are you annoyed? I’m trying to help.”
“Sometimes your help comes across like criticism.”
“What do you mean?”
“Your suggestions make me feel as if you think I’m dumb.”
“I don’t think that at all. But if you don’t want my suggestions, I don’t know how to help.”
“I just want you to listen,” she said, in the voice she uses when she’s told our son the same thing a dozen times.
나는 엔지니어다. 형과 나는 제트 엔진 부품을 만드는 회사를 만들었다. 우리는 그 회사를 더 큰 제조사에 매각했다. 현재 나는 전 직장동료와 함께 작은 기계 가공소를 운영하고 있다. 나는 할 일이 많았다. 하지만 다이앤과 나눈 답답한 대화가 계속 떠올랐다.
우린 결혼한 지 17년이 되었다(둘 다 재혼이다). 사이도 아주 좋다. 그런데 요즘 아내는 자신의 문제에 대해 내가 도와주려고 할 때마다 화를 낸다.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그날 저녁, 다이앤이 주방에서 닭고기를 썰고 있었다. 다이앤은 가스레인지로 다시 가더니 뭔가를 휘저었다. 네 개의 화구 위에 냄비가 모두 올려져 있고, 오븐도 위아래 칸 다 차 있었다. 다섯 아이들이 함께 살던 시절에는 특별한 일이 아니었지만, 지금은 막내아들 하나만 같이 살기 때문에 이런 정신없는 주방은 오랜만이었다.
“뭐 만들고 있어?”
내가 물었다.
“여러 요리를 동시에 하는 중이야. 오늘 저녁 준비하면서 내일 저녁 교회 소모임에 가져갈 캐서롤도 미리 해 놓으려고.”
“도와줄까?”
“식탁 좀 차려 줘.”
내가 찬장에서 접시를 꺼내는 동안 다이앤이 말했다.
“내일 교회 가기 전에 모든 걸 다 끝낼 수 있을지 걱정이야. 캐서롤을 언제 오븐에 넣어야 할지도 모르겠고.”
“당신 다섯 시 반에 나가야 하니까 조리 시간만큼만 뒤로 빼면 되겠네.”
다이앤은 썰기를 멈추고 나를 노려봤다.
“나 바보 아니야.”
“캐서롤을 오븐에 넣어야 하는 시간에 일과 관련된 줌 회의가 있어. 오전에 미리 구워 놓고 가기 전에 데워야 하나 고민 중이야.”
“내가 넣어 주고 싶은데 내일 작업장에 가 봐야 해서. 당신은 교회에 가서 만나려고 했거든.”
“됐어. 내가 알아서 할게.”
“나는 할 일이 많으면 하나라도 빠뜨리지 않으려고 하루 일정을 써서 정리해.”
“그래, 고마워. 그 생각은 못 했네.”
다이앤이 비꼬듯 말하며 눈을 굴렸다.
“왜 짜증을 내? 도와주려는데.”
“당신이 도와주려고 할 때 가끔 비판하는 것처럼 들려.”
“무슨 뜻이야?”
“당신이 조언할 때 내가 뭘 되게 모르는 사람처럼 생각하는 것 같아.”
“난 전혀 그렇게 생각 안 해. 그런데 내 조언이 싫다면 어떻게 도와줘야 할지 모르겠어.”
“그냥 내 말을 들어줘.”
아내는 마치 우리 아들에게 같은 말을 여러 차례 했을 때처럼 내게 말했다.
Dinner that night was kind of tense. While Diane and our son chatted, I prayed silently. God, I hate arguing with Diane. Help me understand her better. This is a problem I don’t know how to fix, and it’s driving me crazy.
A few days later, I was babysitting my two-year-old granddaughter, Sawyer. As she did every time she came over, she asked me to put on her favorite Disney movie, Frozen 2. I was lying on the floor, coloring with Sawyer, barely paying attention to the movie, when I heard someone onscreen say, “I’m here. What do you need?”
Wait a minute—what was that?
Over my granddaughter’s objections, I rewound the movie and watched the scene again. Everything was falling apart for Anna, the princess. Things couldn’t have been worse for her. Yet the prince, Kristoff, didn’t step in and take over. He put his arm around her and said, “I’m here. What do you need?”
A simple question with a lot of depth to it. Asking “What do you need?” didn’t assume that I knew what was best for the other person or that I knew what they wanted. As I said, I’m an engineer, a real Mr. Fix-It. Troubleshooting is my default mode. But now that I thought about it, jumping in with suggestions could end up being more about what I needed—which was to feel useful—than what the other person needed in the moment.
Like with Diane. She didn’t need me to fix her problems. She was smart, accomplished and more than capable of solving things on her own. After all, she’d managed our household for years, juggling our five kids’ numerous activities along with her freelance writing career and church and volunteer commitments.
그날 저녁 식사 시간은 긴장된 분위기였다. 다이앤과 아들이 대화를 나누는 동안, 나는 속으로 기도했다.
‘하나님, 저는 다이앤과 다투기 싫습니다. 아내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이 문제의 해결 방법을 몰라서 너무 답답합니다.’
며칠 후, 나는 두 살짜리 손녀, 소여를 돌보고 있었다. 우리 집에 올 때마다 늘 그러듯이 소여는 가장 좋아하는 디즈니 영화 〈겨울왕국 2〉를 틀어 달라고 했다. 바닥에 엎드려 소여와 색칠놀이를 하느라 영화에 별로 집중하지 않고 있는데, 영화 속 한 인물이 이렇게 말하는 게 들렸다.
“내가 여기 있어. 무엇이 필요해?”
잠깐만! 뭐라고 했지?
손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나는 영화를 되감아 그 장면을 다시 봤다. 공주 안나의 모든 삶이 무너지고 있었다. 그보다 더 나빠질 순 없었다. 그런데 크리스토프 왕자는 개입해서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 않았다. 그는 안나를 안으며 이렇게 말했다.
“내가 여기 있어. 무엇이 필요해?”
단순하지만 깊은 의미가 있는 질문이었다. ‘무엇이 필요해?’라는 말에는 상대방에게 무엇이 최선인지 혹은 상대가 무엇을 원하는지 내가 알고 있다는 전제가 없다. 내가 말했듯, 나는 엔지니어다. 말 그대로 ‘타고난 해결사’다. 문제 해결이 내 기본 설정이다. 그러나 지금 와서 생각해 보니, 해결책부터 먼저 제안한 건 그 순간 상대방이 필요한 것이라기보다 내가 필요한 것, 즉 내가 쓸모 있는 사람처럼 느끼고 싶은 마음에서 비롯된 행동이었을지도 모른다.
다이앤만 해도 문제 해결을 원하지 않았다. 다이앤은 똑똑하고 유능하며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충분했다. 어쨌든 다이앤은 수년간 프리랜서 작가 일, 교회 일, 봉사활동을 하는 동시에 다섯 아이의 다양한 활동은 물론 우리 가정을 책임졌다.
The next morning, Diane was sitting on our bed, frowning at her phone. “Ugh, I missed a deadline,” she said. “I put it in my calendar wrong.”
“I’m sure if you just…” I started to say, but then I caught myself. I sat down next to her and put my arm around her. “I’m here,” I said. “What do you need?”
Her eyes widened with surprise. “It’s that writing assignment I’ve been working on. I’d planned to turn it in on Friday, but my editor just emailed me. Turns out, it was due yesterday. I got my dates mixed up.”
I fought the urge to offer a suggestion. Instead, I said, “Happens to the best of us.” “I hate when I forget things. It makes me feel like a failure.”
Diane wasn’t looking for suggestions about how to be more organized. She didn’t want help, or else she would’ve asked for it. She just wanted to feel heard.
The best way to support her was to listen, as she’d been asking me to do all those other times. “You’re not a failure,” I said. “Everyone drops the ball once in a while.”
She nodded. “I know, but my work is important to me. I want to do the best I can.”
“I understand. You finish that assignment. I’ll take care of the dogs.”
I walked the dogs, then came inside and started the coffee. While I waited for it to brew, I said a quick prayer of gratitude that God had helped me see things through my wife’s eyes. For her, fixing problems wasn’t loving. Listening was. I would try to do better at that.
When I found Diane, she was already at her computer, hard at work. As I handed her the coffee, she glanced up with a smile and thanked me. I knew it was for a lot more than the caffeine boost.
다음 날 아침, 다이앤이 침대에 앉아 찡그리며 핸드폰를 보더니 말했다.
“아, 마감일을 놓쳤네. 달력에 날짜를 잘못 적어 놨어.”
“내 생각에 당신이…” 하고 말하려다 멈추고 아내를 감싸 안았다.
“내가 여기 있어. 뭐가 필요해?”
아내가 놀라서 눈이 커졌다.
“원고 쓰고 있던 거 있잖아. 금요일에 제출할 계획이었는데, 방금 편집자한테 이메일이 왔어. 마감일이 어제였네. 날짜를 착각했어.”
나는 조언을 하고 싶은 충동을 억눌렀다. 대신 이렇게 말했다.
“누구든지 그런 실수를 해.”
“나는 할 일을 까먹는 게 싫어. 실패한 것처럼 느껴지거든.”
다이앤은 더 체계적인 사람이 되기 위한 조언을 구한 것이 아니었다. 도움을 원한 것이 아니었다. 도움이 필요했다면 요청했을 것이다. 그녀는 단지 들어주길 원했다.
아내를 지지하는 최고의 방법은, 아내가 내내 요청하던, 바로 그저 들어주는 것이었다.
“당신은 실패자가 아니야. 누구나 한 번은 실수해.”
다이앤이 고개를 끄덕였다.
“알지만 나한테 일은 정말 중요해. 최선을 다하고 싶어.”
“이해해. 그 일 마무리해. 내가 강아지들 산책시킬게.”
나는 강아지들을 산책시키고, 집에 돌아와 커피를 내리기 시작했다. 커피를 내리는 동안, 아내의 눈으로 상황을 볼 수 있도록 도와주신 하나님께 짧게 감사 기도를 드렸다. 아내에게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은 사랑이 아니다. 경청이 사랑이다. 그 부분을 나는 더 노력할 것이다.
다이앤을 찾았을 때, 다이앤은 이미 컴퓨터 앞에 앉아 열심히 일하고 있었다. 커피를 건네자, 다이앤은 미소를 지으며 고개를 들고는 고맙다고 말했다. 나는 그 말이 단순히 카페인 덕분이 아님을 알았다.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기업은행 082-122183-04-029
(예금주 에프엔제이홀딩스 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