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IRITUAL NOTEBOOK
A Place of Hope?
희망을 만나러 갑니다
Guideposts 2025 | 07
SPIRITUAL NOTEBOOK
Guideposts 2025 | 07
A Place of Hope?
희망을 만나러 갑니다
If, like me, you live with a chronic illness, you probably spend a lot of time
in waiting rooms. Did you ever think they could be…
당신이 나처럼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면, 많은 시간을 대기실에서 보낼 것이다.
그 대기실이… 희망의 장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By ROBERTA MESSNER, Huntington, West Virginia
로베르타 메스너 웨스트버지니아주 헌팅턴
I hobbled into the doctor’s office at the medical center, so weak and tired that I had to use a walker, too out of breath to mutter what I was thinking: I thought I was done with this, God.
You’d think that after almost six decades of living with neurofibromatosis, a genetic condition that caused painful and persistent tumors to grow on my face and body, that I would be used to this. After all, from the time I was diagnosed when I was nine, I had spent more hours in more doctors’ waiting rooms than I could count.
But just four years earlier, the pain that I’d contended with nearly all my life miraculously vanished. It was a healing I knew could come only from God, and I’d allowed myself to believe that my days of being ruled by pain and illness were over.
Only to have myself laid low by a medication side effect that was wreaking havoc on my body. Now here I was again, shuffling into a specialist’s waiting room—the gastroenterologist, this time—feeling defeated. My body had let me down. And it felt as if God had too.
I slumped into a hard-backed chair. None of the other patients even looked up. I couldn’t blame them. They probably just want to get this over and done with as much as I do.
절뚝이며 병원 진료실에 들어간 나는 힘도 없고 지쳐 보행기를 사용해야 했고, 숨이 가쁜 나머지 ‘하나님, 이 병은 다 나은 줄 알았습니다’라고 중얼거릴 힘조차 없었다.
얼굴과 몸에 고통스럽고 지속적인 종양이 자라는 유전질환인 신경섬유종증과 60여 년을 살아왔다면, 아마도 내가 이 상황에 익숙해졌다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결국, 아홉 살 때 진단을 받은 그때부터 나는 수많은 시간을 셀 수 없이 많은 의사의 대기실에서 보냈다.
그런데 딱 4년 전, 내가 거의 평생 씨름하던 고통이 기적적으로 사라졌다. 그것은 오직 하나님만이 주실 수 있는 치유임을 나는 알았고, 이제 고통과 병에 지배당하는 날들은 끝났다고 믿었다.
결과적으로 나는 약물 부작용으로 몸이 망가져 누워 있게 되었다. 그리고 지금은 여기 다시 몸을 힘겹게 끌며 또 다른 대기실에 와 있다. 이번에는 위장병 전문의다. 패배한 느낌이었다. 내 몸은 나를 실망시켰다. 하나님도 그러신 것 같았다.
나는 등받이가 딱딱한 의자에 털썩 앉았다. 다른 환자들은 아무도 고개를 들지 않았다. 그들을 탓할 수 없었다. 그들도 나처럼 이 시간을 끝마치고 싶어 할 테니까.
But the scene made me think of a long-ago morning my mother and I had spent in a room much like this one. Mom used to take me to neurofibromatosis specialists all over the country. That morning we were at a huge hospital in a city we had taken a train to. We sat in a row of hard plastic chairs with tired-looking strangers. Waiting. And waiting.
Mom had brought along an over-stuffed tote that would have filled Mary Poppins with envy. Mom had given it a name, of all things: In the Meantime. Her eyes took in the room as she pulled out storybooks and puzzles, as well as jars with glistening contents topped with doilies. “I brought along some of my peach preserves for everyone,” she announced. I cringed. With our country accents and ways, I was sure we would be the target of ridicule here in the city.
Instead, the most astonishing thing happened. Chairs scooted together. Stories tumbled out about grandmas’ kitchens in California and Maine and Michigan, where jellies glistened like precious jewels on windowsills. We weren’t strangers anymore. The hard plastic chairs hadn’t changed. Nor had the hardships in our lives. But we had.
그런데 그 모습을 보니 딱 이렇게 생긴 대기실에서 오래전 어머니와 함께 보내던 어느 아침이 떠올랐다. 어머니는 나를 전국의 신경섬유종증 전문의에게 데리고 다녔다. 그날 아침 우리는 기차를 타고 어느 도시의 대형 병원에 갔다. 우리는 딱딱한 플라스틱 의자에 지쳐 보이는 모르는 사람들과 함께 앉아 있었다. 기다리고, 또 기다리며.
엄마는 메리 포핀스(동화 속 등장인물로, 마법의 가방을 들고 다님-역자 주)도 부러워할 만큼 꽉꽉 채운 토트백을 들고 왔다. 엄마는 가방에 이름까지 지어 주었다. 이름은 ‘기다리는 동안’이었다. 엄마는 눈으로는 방을 둘러보며, 가방에서 동화책, 퍼즐뿐 아니라 도일리로 덮인 반짝이는 무언가가 든 유리병을 꺼냈다.
“여러분을 위해 복숭아잼을 가져왔어요.”
엄마는 말했다. 나는 얼굴이 화끈거렸다. 우리의 시골 사투리와 방식 때문에 이 도시에서 웃음거리가 될 거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아주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 사람들이 의자를 밀어 다가왔다. 창틀에 젤리가 소중한 보석처럼 반짝이던, 캘리포니아, 메인, 미시간주의 할머니의 주방에 관한 이야기가 여기저기서 나왔다. 우리는 더 이상 낯선 사람들이 아니었다. 딱딱한 플라스틱 의자도 그대로였다. 우리 삶의 고난도 그대로였다. 그러나 우리는 변했다.
Now I looked around the gastroenterologist’s waiting room. People were lost in their cell phones. Not a single soul made eye contact. I was on my own here.
A nurse informed me that blood work was required, which meant I had to go to the lab. I followed signs through an endless maze of hallways, pushing my walker. Finally I arrived at another waiting room filled with folks looking down at their phones. By then I was so wiped out, it didn’t quite register that most of them had chemo ports in their arms. I just collapsed into a seat to wait my turn to have blood drawn. All I could do was stare at the door to the lab.
A heaviness filled the room, the kind of heaviness that takes over when people are waiting to face something unwelcome.
The door suddenly opened, and a woman burst into the room, brandishing a tote that Mom would have approved of. “It’s the Chemo Crafter,” I heard a few patients say.
The Crafter headed straight for a man across from me. She reached into her tote and, with a flourish, pulled out a calico tool organizer. “I made this just for you,” she said, handing him the gift.
“My life’s held together with duct tape, ma’am,” the man said, tugging on a beard flecked with gray. “I haven’t done any work since the cancer hit, but this makes me want to visit my garage and see what I might be able to fi x up. Thank you kindly.”
The Crafter turned and took a long look at me, noting the silver and turquoise earrings that dangled to my shoulders. It had taken me 30 minutes to pull on a pair of socks, but I’d worn these earrings for some sense of normalcy. “Say, you like jewelry!” the Crafter hollered. “How about traveling light?”
The patient beside me explained, “She makes earrings from Dr. Pepper soda can tabs.”
How could I not be intrigued? I tried on a pair. By then, everyone else had put down their phones to watch the goings-on.
Wow, those earrings were light. Suddenly I felt lighter too.
“Roberta Messner!” a nurse beckoned from the doorway. “We’ve been looking all over for you.” I’d confused the oncology clinic with the lab.
I stood to leave, and the smiles of my comrades in waiting went with me. I may have been in the wrong waiting room, but God had put me right where I needed to be.
현재로 돌아와 나는 위장병 전문의의 대기실을 둘러보았다. 사람들은 모두 자신의 핸드폰에 빠져 있었다. 아무도 나와 눈을 마주치지 않았다. 나는 여기서 완전히 혼자였다.
간호사가 나에게 혈액 검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검사실로 가야 한다는 뜻이었다. 나는 보행기를 밀며, 표지판을 쫓으며, 끝없는 미로 같은 길을 따라갔다. 마침내 핸드폰을 들여다보는 사람들로 가득 찬 또 다른 대기실에 도착했다. 그즈음 나는 너무 지쳐서, 거기 있는 사람들 대부분이 팔에 케모포트를 꽂고 있다는 사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다. 피 뽑을 순서를 기다리기 위해 의자에 주저앉았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그저 실험실의 문을 응시하는 것이었다.
방 안은 무거운 공기로 가득 찼다. 사람들이 직면해야 할 원치 않는 어떤 일을 기다릴 때 느끼는 그런 무거움이었다.
문이 갑자기 열리더니 한 여자가 엄마가 좋아했을 법한 토트백을 과시하듯 흔들며, 대기실로 들어왔다.
“항암치료실 공예가네.”
몇몇 환자들이 하는 말이 들렸다.
그는 내 건너편에 있는 남자에게 곧장 다가갔다. 그는 토트백에 손을 넣더니, 과장된 몸짓으로 캘리코 원단으로 만든 공구 정리함을 꺼냈다.
“선생님을 위해 만든 거예요.”
남자에게 선물을 건네며 말했다.
“제 인생은 접착 테이프로 겨우 붙여 놓은 듯 불안합니다.”
남자는 희끗희끗한 수염을 당기며 답했다.
“암 투병 이후로 작업을 하지 못했지만, 이걸 받으니 다시 차고로 가서 고칠 게 없는지 살펴보고 싶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공예가는 돌아서서 나를 한참 바라보더니 내 어깨까지 내려온 은색 터키석 귀고리를 살폈다. 양말을 신는 데만 30분이 걸렸지만, 나는 정상적으로 보이려고 그 귀고리를 착용했다.
“보석을 좋아하는군요!”
공예가가 외쳤다.
“가볍게 다니는 건 어때요?”
옆에 앉은 환자가 말했다.
“저분은 닥터페퍼 캔 탭으로 귀고리를 만들어요.”
어떻게 궁금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귀고리를 하나 착용해 보았다. 순간, 사람들이 모두 핸드폰을 내려놓고 그 상황을 지켜보았다.
정말, 그의 귀고리는 가벼웠다. 갑자기 기분도 한결 가벼워진 느낌이었다.
“로베르타 메스너님!”
간호사가 출입구에서 불렀다.
“환자분을 찾으러 온 병원을 뒤졌어요.”
내가 종양학 클리닉과 검사실을 헷갈린 것이다.
내가 자리에서 일어나자, 대기실의 동료들이 나에게 미소를 지어 주었다. 비록 대기실을 잘못 찾아왔지만, 하나님께서는 내가 있어야 할 바로 그곳에 나를 보내 주셨다.
The day took me to two more waiting rooms. Even though the doctors couldn’t do much more than assure me the side effect would subside over time, I found my mind humming with possibility. Mom and the Crafter hadn’t let the surroundings keep them from being a blessing. Could I do the same?
On the way home, I stopped at a consignment store for a little diversion. Just inside the door was a magazine rack labeled “Free to a Good Home.” There was a brand-new Country Living, a Victoria—even a GUIDEPOSTS. A plan formed in my mind. I’d pack a tote with new magazines before my next doctor’s appointment. Then, in the waiting room, I’d strike up a conversation with the person next to me to get a sense of what they might like.
Two weeks later, I put my plan into action. “What do you like to do?” I asked the woman who sat down beside me in the waiting room, her cane clattering, her shoulders sagging.
“I used to love to host tea parties,” she said.
“Would you like this?” I asked, pulling the new Victoria from my tote. There was a blue-and-white china tea set on the cover.
“How lovely!” she said. “Are you sure I can keep this?” She sat up straighter, a soft smile crossing her face as she leafed through the magazine. It wasn’t a handmade gift like the Crafter offered. But it was heartfelt. And it took me out of myself.
Weeks later, I ran into the same lady at HomeGoods—in, you guessed it, the tea aisle. She was still on her cane but planning a gettogether with her daughters. “I’m going to try that crumb cake recipe in the magazine you gave me,” she said, “and serve it with raspberry tea.” I took home a box too.
그날은 대기실 두 곳을 더 가야 했다. 의사들은 약물 부작용이 시간이 지나면 사라질 것이라는 말밖에 해 줄 수 없었지만, 나의 마음은 가능성에 관한 생각으로 가득 찼다. 나의 어머니와 공예가는 환경이 축복을 가로막지 못하도록 만들었다. 나도 그렇게 할 수 있을까?
집으로 가는 길에 나는 한 중고상점에 들러 잠시 기분을 전환했다. 문을 열고 들어서자 ‘좋은 주인에게 무료로 드리는 잡지’라고 붙은 잡지 코너가 보였다. 새로 나온 컨트리 리빙, 빅토리아, 가이드포스트 잡지가 있었다. 나는 계획을 세웠다. 다음 병원 방문일에 새 잡지 몇 권을 가방에 챙겨 가기로 한 것이다. 그리고 대기실에서 옆에 앉은 사람에게 말을 걸어 무엇을 좋아하는지 알아낼 것이다.
2주 후, 나는 그 계획을 실행에 옮겼다.
“무엇을 하고 싶으세요?”
나는 대기실에서 바로 옆에 앉은 여성에게 물었다. 그의 지팡이가 바닥에 부딪히며 덜컹덜컹 소리를 냈고, 어깨는 처져 있었다.
“예전에는 티파티를 주최하는 걸 좋아했지요.” 그가 말했다.
“이거 읽어 보실래요?”
나는 가방에서 〈빅토리아〉 신간 잡지를 꺼내며 물었다. 표지에는 푸른색과 흰색의 찻잔 세트가 있었다.
“이럴 수가! 정말 제가 가져도 되나요?”
그는 더 곧게 허리를 세우더니 잡지를 넘겼다. 얼굴에 부드러운 미소가 번졌다. 그것은 공예가가 준 선물처럼 직접 만든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진심을 담은 선물이었다. 그리고 그 덕에 나의 상황에서도 잠시 벗어날 수 있었다.
몇 주 후, 나는 다시 그 여성과 홈굿즈(HomeGoods)라는 마트에서 만났다. 예상했겠지만 차를 파는 코너에서였다. 그는 여전히 지팡이를 짚고 있었지만, 딸들과 함께 모임을 계획하고 있었다.
“당신이 준 잡지에 나온 크럼즈 케이크 레시피를 해 볼 거예요. 라즈베리 차를 곁들이려고요.”
나도 라즈베리 차를 집어 들었다.
For my next doctor visit, I tucked packets of herbal tea in my tote. As I was sharing them along with my magazines, a nurse called for Roberta. I stood to follow her, and so did a couple others. Two of us were sent back to wait. “I haven’t known three Robertas my whole life,” a lady remarked.
Soon the whole place was a-chatter with nicknames people had come up with for Roberta. “What did they call you?” a fellow asked me.
“Back when I was a nurse, a restaurant delivery guy misspelled my name on the little brown bag: ROBESTA. The staff and patients got a kick out of it and took to calling me that. It stuck till the day I retired.”
An elderly man on oxygen, who hadn’t uttered a word, spoke between gulps of air. “You’re the best Ro-best-a I’ve ever known!”
Everyone chuckled at the dearness, the effort it had taken for that gentleman to give us a little joy when life had put us all on hold and we’d thought all we could do was wait. Not unlike those strangers in the long-ago waiting room with my mother. In life’s uncertain meantime, Mom had chanced vulnerability in order to offer the most important gift she could: herself. She hadn’t just dispensed puzzles and peach preserves that day. She’d created a place that brought people together, a place of hope. It brought to mind a verse from Isaiah: “They that wait upon the Lord shall renew their strength….”
God had been with us there, as he is in every waiting place. No chair or situation is ever too hard for him.
다음 병원 예약일에 나는 가방에 허브차를 넣어 갔다. 차와 잡지를 나눠 주는데 간호사가 “로베르타”를 호명했다. 간호사를 따라가려고 일어서는데 두 명이 더 일어났다. 우리 둘은 다시 대기실로 보내졌다.
“평생 살면서 만난 로베르타가 세 명도 안 되는데.”
다른 로베르타가 말했다. 순식간에 대기실은 사람들이 로베르타와 관련된 별명을 얘기하느라 떠들썩해졌다.
“사람들은 당신을 뭐라고 불렀나요?”
그중 한 명이 내게 물었다.
“제가 간호사였을 때, 어느 음식 배달원이 포장봉투에 제 이름을 ‘로베스타’라고 잘못 적었어요. 직원들과 환자들이 재미를 붙여서 저를 로베스타라고 불렀죠. 퇴직할 때까지 그렇게 불렸어요.”
한마디도 하지 않던, 산소마스크를 쓴 노인이 숨을 내쉬는 사이사이에 말했다.
“당신은 내가 아는 로-베-스-타-아 중 최고예요!”
모두가 그 노인의 다정함 그리고 인생이 우리를 멈춰 세워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곤 기다리는 것뿐이라고 생각하던 그때, 그 노인이 우리에게 작은 기쁨을 주기 위해 쏟은 노력에 웃음을 터뜨렸다. 마치 오래전 어머니와 함께 대기실에 앉아 있던 그 낯선 사람들과 똑같았다. 인생의 불확실한 그 순간에, 어머니는 가장 중요한 선물인 자신을 내어주기 위해 위험을 감수했다. 어머니는 그날 단순히 퍼즐과 복숭아잼만 나눠 준 것이 아니었다. 사람들을 불러 모으는 희망의 장소를 만든 것이다. 이사야서의 한 구절이 떠올랐다.
“오직 여호와를 앙망하는 자는 새 힘을 얻으리니….”
하나님은 우리와 함께 그곳에 계셨고, 동시에 모든 대기실에 함께하신다. 어떤 의자나 상황도 그분에게는 힘들거나 어렵지 않다.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기업은행 082-122183-04-029
(예금주 에프엔제이홀딩스 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