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함께

아프리카에선 단돈 천 원으로 

생명을 구할 수 있어요

Guideposts 2019 | 04


아이가 처음 홀로 서는 것만으로도 그날 하루는 금세 ‘진지한 날’이 돼 버린다. 아이들은 하루가 다르게 쑥쑥 큰다. 매 순간이 놓칠 수 없이 소중한 이유다. 김소은 서울여성의원 원장(52)도 늦둥이 딸아이의 매 순간을 빠짐없이 함께하고 싶었다. 하지만 ‘의사를 보는 게 평생 소원’이라는 아프리카 사람들의 절박함이 눈에 밟혔다. 그렇게 김 원장은 돌을 맞은 딸아이를 뒤로하고 처음 아프리카로 향했다. 그때만 해도 김 원장은 자신이 10년째 아프리카행 비행기를 타게 될 줄은 몰랐다.


김 원장은 1년에 한 번, 여름에만 쉰다. 지난 2008년 이후 매년 의료봉사를 위해 여름휴가를 썼으니, 김 원장은 10년째 쉬지 못한 셈이다. 그 역시도 지칠 때가 있다. 매년 여름이 돌아오면 ‘이번에는 그냥 쉴까’ 하는 생각이 스멀스멀 피어오른다. 게다가 갈 때마다 수천만 원은 우습게 든다.

비행기 값이며 약, 진료 장비 등 준비할 게 많아서다. 하지만 바로 앞 순서에서 진료가 끝나 아쉬워하던 얼굴들이 떠오른다. “꼭 다시 오겠다”며 손가락을 건 뒤 돌려보낸 환자들이다. 김 원장은 “아무래도 이 일을 그만둘 수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제가 의사라는 게 처음으로 기뻤어요”


김 원장에게 아프리카는 말라리아, 황열병, 장티푸스 등 온갖 병이 득실대는 위험한 곳에 불과했다. 그런 그가 아프리카 의료봉사를 시작하게 된 건 한 학생의 아프리카 봉사 후기를 듣고 나서다. 그 학생은 다니던 대학교를 그만두고 나이트클럽에서 일하며 소위 ‘깡패’ 처럼 살았다. 길에서 아프리카 봉사 프로그램을 소개하던 대학생들이 그를 보고 움찔 피할 정도였다. 우연한 마주침은 그 학생을 아프리카로 이끌었다. 그리고 그의 삶은 완전히 달라졌다. 김 원장은 “봉사를 통해서 새 삶을 사는 신비한 변화를 나도 느끼고 싶었다”고했다.


첫 의료봉사는 가나의 한 빈민촌에서 했다. 의료봉사 초보였던 김 원장은 현지에 말 그대로 아무것도 없을 줄은 상상도 못 했다. 타이레놀 시럽병 하나와 아스피린 몇 개만 들고 간 그였다. 김 원장은 “맨발로 3~4시간 걸어서 왔다는 사람들이 구름 떼

처럼 몰렸는데 나는 준비가 하나도 안 된 상태였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김 원장은 환자들에게 진단을 해 주며 약을 가져오지 못해 미안하다고 했다. 그러자 환자들은 “내 평생의 소원은 의사를 한 번 만나 보고 라도 죽는 것이었다”며 김 원장을 되레 위로했다.


김 원장은 말했다. “적당히 누리려고 의사가 됐어요. 돈도 많이 벌고 좋은 일도 할 수 있으니까. 그런데 의사 생활을 오래 하

다 보니 마음이 황폐해졌어요. 웬만한 일에는 울지도 않았죠. 다른 사람들한테 의사를 하라고 자신 있게 권하지도 못했어요. 그런데 아프리카에서 처음 느꼈어요. 내가 의사라는 게 너무 기쁘고 자랑스럽구나. 누군가가 저를 절실하게 필요로 한다는 건 정말 행복한 일이더라고요. 약을 받지 못해도 의사를 봤다는 사실만으로 그 사람들은 희망을 가졌어요.”




“머리카락보다 얇은 주삿바늘이 안 들어가요”


지금은 상황이 많이 좋아졌지만 김 원장이 의료봉사를 시작했을 때의 아프리카는 참 열악했다. 온 가족이 에이즈에 걸려 다 함께 죽음을 기다리는 광경도 여럿 봤다. 영양실조로 인한 탈수 현상으로 김 원장을 찾은 어린아이들을 볼 때면 마음이 찢어지는 듯했다.


그중에서도 김 원장은 토고에서 만난 ‘안토니오’라는 환자가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태어난 지 3~4개월 무렵이던 안토니오는 심각한 영양실조 때문에 생명이 위독한 상태였다.

“링거 하나만 꽂으면 살릴 수 있는데 혈관이 안 보이는 거예요. 스무 번이나 찔렀는데 도 안토니오는 울지 않았어요. 울 기력도 없고 아픔도 못 느끼기 때문이죠. 탈수가 되면 감각이 없으니까요. 발등에 있는 혈관을 겨우 찾았는데 주삿바늘이 안 들어가더라고요. 머리카락보다 가는 24게이지의 주삿바늘이었는데도요. 겨우 찔러 넣어 살렸어요. 그때만 생각하면 정말 아찔해요.”


한번은 진료 도중 살기를 느낀 적도 있단다. 2010년 말라위 빈민촌에서 있었던 일이다.

한 낡은 교회를 빌려 진료를 보는데 강도 행위를 하려는 조짐이 포착됐다. 김 원장은 “사람들이 너무 굶주리니까 살기가 느껴졌다”며 “약이 필요한 게 아니라 밥, 달러가 필요한 사람들이었다”고 회상했다. 봉사팀은 허겁지겁 짐을 챙겨 나와야 했다. 이 일로 빈민촌보다는 중심가에서 봉사활동을 하게 됐다. 김 원장은 걸을 기력이 없어 찾아올 수도 없는 빈민촌 환자들을 생각하면 가슴이 아프다.


김 원장은 매년 가는 아프리카에서 늘 배운다고 했다. 김 원장에 따르면 아프리카 난민들의 월평균 생활비는 300원이다. 1000원짜리 말라리아약은 그들에게 세 달치 생활비와 맞먹는 엄청난 금액이다. 김 원장은 “한국에서 1000원은 가치가 없다시피 한 돈이지만 그 들에겐 약을 사고 생명을 구할 수 있는 돈”이라며 느끼는 바가 많다고 했다. 사정이 이런데도 환자들은 봉사자들에게 옥수수 가루라도 주려고 한단다.


...

이후 내용은 2019년 4월호 잡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아프리카에서 받은 사랑 나눠 줄래요” 


김 원장은 아프리카에서 배운 사랑과 행복을 주변에 나눠 주고 싶다고 했다. 가장 가까이는 김 원장을 찾는 환자들에게다. 그는 “아프리카 난민들이 먹지 못하고 죽을병에 걸려서 힘들어한다면, 한국 사람들은 어떤 관념 속에서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다”며 “어머니가 되는 일이 위대하다는 것을 본인 스스로 깨우치고 행복하게 여길 수 있게끔 하고 싶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아프리카 봉사활동이 없었다면 이런 생각도 못 했을 거란다.

지역사회 청소년들에게도 꿈을 심어 주고 있다. “저는 청소년들에게 ‘배추벌레는 노력해서 나비가 되는 게 아니다’라고 꼭 말해 줍니다. 배추벌레는 시간이 지나면 어느덧 나비가 돼 창공을 날아요. 의사 같은 경우 워낙 되기가 힘드니까 시작도 해 보기 전에 지레 겁 먹는 친구들이 많습니다. 전 그들에게 현재의 나를 보지 말고 이미 꿈을 이룬 나를 상상해 보라고 해요.” 그는 일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진로나 학업에 대해서 상담해 주는 등 멘토 역할도 하고 있다.

“앞으로 죽을 때까지 계속 아프리카에 갈 거예요. 단 한 명이라도 저를 절실하게 필요로 한다면요. 의료봉사가 아니었다면 제 삶은 아마도 이렇게까지 풍요롭지 못했을 거예요.”

김 원장은 아프리카 의료봉사 및 도서벽지 무료진료 등을 통해 국가와 지역사회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8년 한국여성단체협의회(회장 최금숙)가 수여하는 ‘용신봉사상’을 받았다.


우편 보내실 곳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고객관리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계좌안내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

우리함께

"아프리카에선 단돈 천 원으로 생명을 구할 수 있어요"


Guideposts 2019 | 04



아이가 처음 홀로 서는 것만으로도 그날 하루는 금세 ‘진지한 날’이 돼 버린다. 아이들은 하루가 다르게 쑥쑥 큰다. 매 순간이 놓칠 수 없이 소중한 이유다. 김소은 서울여성의원 원장(52)도 늦둥이 딸아이의 매 순간을 빠짐없이 함께하고 싶었다. 하지만 ‘의사를 보는 게 평생 소원’이라는 아프리카 사람들의 절박함이 눈에 밟혔다. 그렇게 김 원장은 돌을 맞은 딸아이를 뒤로하고 처음 아프리카로 향했다. 그때만 해도 김 원장은 자신이 10년째 아프리카행 비행기를 타게 될 줄은 몰랐다.


김 원장은 1년에 한 번, 여름에만 쉰다. 지난 2008년 이후 매년 의료봉사를 위해 여름휴가를 썼으니, 김 원장은 10년째 쉬지 못한 셈이다. 그 역시도 지칠 때가 있다. 매년 여름이 돌아오면 ‘이번에는 그냥 쉴까’ 하는 생각이 스멀스멀 피어오른다. 게다가 갈 때마다 수천만 원은 우습게 든다.

비행기 값이며 약, 진료 장비 등 준비할 게 많아서다. 하지만 바로 앞 순서에서 진료가 끝나 아쉬워하던 얼굴들이 떠오른다. “꼭 다시 오겠다”며 손가락을 건 뒤 돌려보낸 환자들이다. 김 원장은 “아무래도 이 일을 그만둘 수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제가 의사라는 게 처음으로 기뻤어요”


김 원장에게 아프리카는 말라리아, 황열병, 장티푸스 등 온갖 병이 득실대는 위험한 곳에 불과했다. 그런 그가 아프리카 의료봉사를 시작하게 된 건 한 학생의 아프리카 봉사 후기를 듣고 나서다. 그 학생은 다니던 대학교를 그만두고 나이트클럽에서 일하며 소위 ‘깡패’ 처럼 살았다. 길에서 아프리카 봉사 프로그램을 소개하던 대학생들이 그를 보고 움찔 피할 정도였다. 우연한 마주침은 그 학생을 아프리카로 이끌었다. 그리고 그의 삶은 완전히 달라졌다. 김 원장은 “봉사를 통해서 새 삶을 사는 신비한 변화를 나도 느끼고 싶었다”고했다.


첫 의료봉사는 가나의 한 빈민촌에서 했다. 의료봉사 초보였던 김 원장은 현지에 말 그대로 아무것도 없을 줄은 상상도 못 했다. 타이레놀 시럽병 하나와 아스피린 몇 개만 들고 간 그였다. 김 원장은 “맨발로 3~4시간 걸어서 왔다는 사람들이 구름 떼처럼 몰렸는데 나는 준비가 하나도 안 된 상태였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김 원장은 환자들에게 진단을 해 주며 약을 가져오지 못해 미안하다고 했다. 그러자 환자들은 “내 평생의 소원은 의사를 한 번 만나 보고 라도 죽는 것이었다”며 김 원장을 되레 위 로했다.


김 원장은 말했다. “적당히 누리려고 의사가 됐어요. 돈도 많이 벌고 좋은 일도 할 수 있으니까. 그런데 의사 생활을 오래 하다 보니 마음이 황폐해졌어요. 웬만한 일에는 울지도 않았죠. 다른 사람들한테 의사를 하라고 자신 있게 권하지도 못했어요. 그런데 아프리카에서 처음 느꼈어요. 내가 의사라는 게 너무 기쁘고 자랑스럽구나. 누군가가 저를 절실하게 필요로 한다는 건 정말 행복한 일이더라고요. 약을 받지 못해도 의사를 봤다는 사실만으로 그 사람들은 희망을 가졌어요.”

“머리카락보다 얇은 주삿바늘이 안 들어가요”


지금은 상황이 많이 좋아졌지만 김 원장이 의료봉사를 시작했을 때의 아프리카는 참 열악했다. 온 가족이 에이즈에 걸려 다 함께 죽음을 기다리는 광경도 여럿 봤다. 영양실조로 인한 탈수 현상으로 김 원장을 찾은 어린아이들을 볼 때면 마음이 찢어지는 듯했다.


그중에서도 김 원장은 토고에서 만난 ‘안토니오’라는 환자가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태어난 지 3~4개월 무렵이던 안토니오는 심각한 영양실조 때문에 생명이 위독한 상태였다.

“링거 하나만 꽂으면 살릴 수 있는데 혈관이 안 보이는 거예요. 스무 번이나 찔렀는데 도 안토니오는 울지 않았어요. 울 기력도 없고 아픔도 못 느끼기 때문이죠. 탈수가 되면 감각이 없으니까요. 발등에 있는 혈관을 겨우 찾았는데 주삿바늘이 안 들어가더라고요. 머리카락보다 가는 24게이지의 주삿바늘이었는데도요. 겨우 찔러 넣어 살렸어요. 그때만 생각하면 정말 아찔해요.”


한번은 진료 도중 살기를 느낀 적도 있단다. 2010년 말라위 빈민촌에서 있었던 일이다.

한 낡은 교회를 빌려 진료를 보는데 강도 행위를 하려는 조짐이 포착됐다. 김 원장은 “사람들이 너무 굶주리니까 살기가 느껴졌다”며 “약이 필요한 게 아니라 밥, 달러가 필요한 사람들이었다”고 회상했다. 봉사팀은 허겁지겁 짐을 챙겨 나와야 했다. 이 일로 빈민촌보다는 중심가에서 봉사활동을 하게 됐다. 김 원장은 걸을 기력이 없어 찾아올 수도 없는 빈민촌 환자들을 생각하면 가슴이 아프다.


김 원장은 매년 가는 아프리카에서 늘 배운다고 했다. 김 원장에 따르면 아프리카 난민들의 월평균 생활비는 300원이다. 1000원짜리 말라리아약은 그들에게 세 달치 생활비와 맞먹는 엄청난 금액이다. 김 원장은 “한국에서 1000원은 가치가 없다시피 한 돈이지만 그 들에겐 약을 사고 생명을 구할 수 있는 돈”이라며 느끼는 바가 많다고 했다. 사정이 이런데도 환자들은 봉사자들에게 옥수수 가루라도 주려고 한단다.

“아프리카에서 받은 사랑 나눠 줄래요”


김 원장은 아프리카에서 배운 사랑과 행복을 주변에 나눠 주고 싶다고 했다. 가장 가까이는 김 원장을 찾는 환자들에게다. 그는 “아프리카 난민들이 먹지 못하고 죽을병에 걸려서 힘들어한다면, 한국 사람들은 어떤 관념 속에서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다”며 “어머니가 되는 일이 위대하다는 것을 본인 스스로 깨우치고 행복하게 여길 수 있게끔 하고 싶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아프리카 봉사활동이 없었다면 이런 생각도 못 했을 거란다.

지역사회 청소년들에게도 꿈을 심어 주고 있다. “저는 청소년들에게 ‘배추벌레는 노력해서 나비가 되는 게 아니다’라고 꼭 말해 줍니다. 배추벌레는 시간이 지나면 어느덧 나비가 돼 창공을 날아요. 의사 같은 경우 워낙 되기가 힘드니까 시작도 해 보기 전에 지레 겁 먹는 친구들이 많습니다. 전 그들에게 현재의 나를 보지 말고 이미 꿈을 이룬 나를 상상해 보라고 해요.” 그는 일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진로나 학업에 대해서 상담해 주는 등 멘토 역할도 하고 있다.

“앞으로 죽을 때까지 계속 아프리카에 갈 거예요. 단 한 명이라도 저를 절실하게 필요로 한다면요. 의료봉사가 아니었다면 제 삶은 아마도 이렇게까지 풍요롭지 못했을 거예요.”

김 원장은 아프리카 의료봉사 및 도서벽지 무료진료 등을 통해 국가와 지역사회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8년 한국여성단체협의회(회장 최금숙)가 수여하는 ‘용신봉사상’을 받았다.


우편 보내실 곳

[037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

우체국 사서함 181호

고객관리

Tel. 02-362-4000

(평일 09:00 ~ 17:00 | 점심 11:30 ~ 12:30)

E-mail. guideposts@fnnews.com

계좌안내

기업은행 082-112675-01-014

(예금주 가이드포스트코리아 주식회사)